$\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밤나무잎의 항주름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Chestnut Leaf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6 = no.158, 2013년, pp.751 - 756  

장민정 (더마텍코리아(주)) ,  전동하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김세현 (국립산림과학원) ,  한상익 (농촌진흥청) ,  이진태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령목의 산림의 경제적 가치를 증진하고자 밤나무 잎에 함유된 물질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의 기능을 규명하여 화장품 산업에 적용하기 위하여 천연소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능 측정을 위한 실험으로 DPPH radical 소거능ABTS cation radical 소거능을 실시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항산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BHA를 이용하여 밤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세톤 추출물의 경우 시료 농도에 따라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 증가 정도가 컸으며, 열수 추출물은 10 u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밤잎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이 높고 피부에서 흔히 일어나는 활성산소에 대한 노화 방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세톤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그 효과가 없었으나 에탄올 추출물 100 ug/ml에서 64.6%의 우수한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3가지 추출물은 100 ug/ml에서 열수 추출물 18.0%, 아세톤 추출물 14.3%, 에탄올 추출물 5.3%의 순으로 collagenase 저해활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천연물질을 이용한 연구결과와 비교 시 밤잎 추출물은 주름개선에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주름개선 원료로의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밤잎은 항산화항노화 효소 활성을 갖는 천연소재로서 주름개선 소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임삼 효능 평가 등의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된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old age chestnut tree that loss function chestnut leaf renewal efficiency enlargement and development of cosmeceutical product by purpose. Chestnut leaf (CL) exhibits numerous pharmacological effect including anti-allergy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However, the anti-wrinkle effec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밤나무 잎을 아세톤, 에탄올, 증류수를 용매로 사용하여 주름개선효과시험 및 항산화 효과시험을 통해 밤잎의 화장품원료로의 이용가치를 규명함으로서 산림자원을 이용한 고부가성 소재 개발을 위한 기술 개발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밤나무잎의 성분은 무엇인가? 밤나무잎의 성분은 gallic acid, methyl gallate, 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로 알려져 있다[9]. 밤나무는 모든 부위에 걸쳐 약리효과가 있는 것으로 한방에서는 알려져 있으며[21], 특히 밤나무 잎은 알레르기성 질환 및 천식에 치료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2, 28].
밤나무 잎은 어떤 질환에 효과가 있는가? 밤나무잎의 성분은 gallic acid, methyl gallate, 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로 알려져 있다[9]. 밤나무는 모든 부위에 걸쳐 약리효과가 있는 것으로 한방에서는 알려져 있으며[21], 특히 밤나무 잎은 알레르기성 질환 및 천식에 치료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2, 28].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하며, 탄력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 원인은 무엇인가?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하며, 탄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는 내적으로 신진대 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피부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피부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또한 강한 주름과 두꺼운 피부로 특정 지어지는 광노화 피부는 자외선에 의해 증가되는 자유 라디칼 및 유해 활성 산소종에 의한다. 이런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collagen, elastin, hyaluronic acid 등 구조 단백질을 생성하는 능력이 감소하고, 신호전달체계가 불완전해 지면서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콜라겐의 생합성이 감소하여 주름이 생성되며 탄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2. Brand-Wiliams, W., Cuvelier, M. E and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Technology 28, 25-30. 

  3. Cannell, R. J., Kellam, S. J., Owsianka, A. M. and Walker, J. M. 1987.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54, 4-10. 

  4. Chance, B., Sies, H. and Boveris, A. 1979. Hydroperoxide metabolism in mammalian organs. Physiol Res 59, 527-605. 

  5. Cho, E. A., Cho, E. H., Choi, S. J., Park, K. H., Kim, S. Y., Jeong, Y. J., Ku, C. S., Ha, B. J., Jang, D. I. and Chae, H. J. 2011. Screening of anti-wrinkle resource from herbal medicinal extracts and stability test of its cosmetic products. Korean J Mediicinal Crop Sci 19, 126-135. 

  6. Choi, O. B. 2005. Active compounds and antimicrobial effects from castanea crenata leaf. Korean J Food Nutr 18, 367-372. 

  7. Choi, Y. H., Kim, J. H., Kim, M. J., Han, S. S. and Rim, Y. S. 2000. Antioxidative compounds in leaves of castanea crenata s. et z. Korean J Med Crop Sci 8, 373-377. 

  8. Choi, O. B., Kim, K. M., Yo, G. S. o and Park, K. H. 1998. Anti-allergic effects of castanea crenata leaf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68-471. 

  9. Choi, S. W. and Kim, H. J. 1998. Inhibitioin of tyrosinase activity by polyphenols of chestnut leaf. HSJAS 6, 321-327. 

  10. Choi, O. B., Yoo, G. S. and Park, K. H. 1999.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water extracts with castanea crenata leaf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128-1131. 

  11. Demina, N. S. and Lysenko, S. V. 1996. Collagenolytic enzymes synthesized by microorganisms. Mikrobiologiia 65, 293-304. 

  12. DeWitt, D. L., Rollins, T. E., Day, J. S., Gauger, J. A. and Smith, W. L. 1981. Orientation of the active site, and antigenic determinants of prostaglandin endoperoxide of synthase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J Bio Chem 256, 10375-10382. 

  13. El-Domyati, M., Attia, S., Saleh, F., Brown, D., Birk, D. E., Gasparro, Ahmad, F., H. and Uitto, J. 2002. Intrinsic aging vs. photoaging: a comparative histopath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y of skin. Exp Dermatol 11, 398-405. 

  14. Giacomoni, P. U. and Rein, G. 2001. Factors of skin ageing share common mechanisms. Biogerontology 2, 219-229. 

  15. Grant, N. H. and Alburn, H. E. 1959. Studies on the collagenases of Clostridium histolyticum. Arch Biochem Biophys 82, 245-255. 

  16. Jayat, C. and Ratinaun, M. H. 1993. Cell cycle analysis by flow cytometr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Biol Cell 78, 15-25. 

  17. Kwak, Y. J., Lee, D. H., Kim, N. M. and Lee, J. S. 2005. Screening and extraction condition of anti-skin aging elastase inhibitor from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 Crop Sci 13, 213-216. 

  18. Kim, J. S. and Lee, U. 2009. Survey of costs for chestnut production in main cultivation oregions. J Korean For Soc 98, 504-511. 

  19. Kim, S. N., Lee, S. H., Lee, B. K. and Jang, I. S. 2002. A compositions containing Anthriscus sylvestris Hoffmann extract or Petroselinum sativum Miller extract for external application having effects of improving skin wrinkle. Korea Patent 10-2002-0079594. 

  20. Kim, M. J., Kim, J. Y., Choi, S. W., Hong, J. T. and Yoon, K. S. 2004.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thamus tinctorius) seed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n 30, 15-22 

  21. Kwan, S. B. 1990. In atlas of pharmacognogy encylophedia (plants), pp. 806-808, Yonglim Press, Seoul. 

  22. Lee, T. B. 1994. In illustrated flora of Korea, pp. 274, Hyangmiin Press, Seoul. 

  23. Lee, S. Y., An, J. H. and Cho, H. Y. 200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MP-1 inhibitor Peptide from Crataegus pinnatifida bunge in fibroblast cell line HS68cell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60-65. 

  24. Lee, S. Y., Hwang, E. J., Kim, G. H., Choi, Y. B., Lim, C. Y. and Kim, S. M. 2005.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ves and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L. Korea J Med Crop Sci 13, 93-100. 

  25. Mauviel, A., Halcin, C., Vasiloudes, P., Parks, W. C., Kurkinen, M. and Uitto, J. 1994. Unncoordinate regulation of collagenase, stromelysin, and tissue inhibitior of metalloproteinase genes by prostaglandin E2: selective enhancement of collagenase gene express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in culture. J Cell Biochem 54, 465-472. 

  26. Pentland, A. P., Shapiro, S. D. and Welgus, H. G. 1995. Agonist-induced expression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and metalloproteinase by human macrophages is regulated by endogenous prostaglandin E2 synthesis. J Invest Dermatol 104, 52-57. 

  27. Roberta, R., Nicoletta, P., Anna, P., Ananth, P., Min, Y. and Catherine, R. 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28. Roberto, C. 1984. In the macdonald encyclopedia of medical plants, pp. 72, Macdonald press. Britain. 

  29. Roth, G. J., Siok, C. J. and Ozols, J. 1980.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rostaglandin synthetase from sheep vesicular gland. J Biol Chem 255, 1301-1304. 

  30. Tsuji, N., Moriwaki, S., Suzuki, Y., Takema, Y. and Imokawa, G. 2001. The role of elastases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74, 283-290. 

  31. Wang, M. F., Shao, Y., Li, J. G. and Zhu, N. Q. 1999. Antioxidative phenolic glycosides from sage (Salivia officinalis). J Nat Prod 62, 454-456. 

  32. Wlaschek, M., Tantcheva-Poor, I., Naderi, L., Ma, W., Schneider, L. A., Razi-Wolf, Z., Schuller, J. and Scharffetter-Kochanek, K. 2001.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ol B 63, 41-51. 

  33. Wunsch, E. and Heindrich, H. G. 1963. Zur quantitativen Bestimmung der Kollagenase. Biol Chem 333, 149-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