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암, 항콜레스테롤, 항산화 및 면역증강 효과와 피부재생 효과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이 밝혀지고 있는 $\beta$-1,3/1,6-글루칸은 크게 식물성 유래, 효모 및 곰팡이 유래, 버섯 유래의 것으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풀루란을 생산하는 Aureobasidum pullulans ATCC 42023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얻은 변이주인 Aureobasidum puiluian SM-2001 균주가 생산하여 체외로 분비하는 고분자 중합체를 핵자기 공명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beta$-1,3- 및 $\beta$-1,6- 결합이 서로 혼재되어 있는 $\beta$-1,3/1,6-글루칸의 전형적인 구조임을 확인하였으며, 평균 분자량은 2.6$\times$$10^{5}$ 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beta$-1,3/1,6-글루칸의 생산에 최적인 탄소원이 설탕임을 확인하였으며, 0.5% (w/v)의 설탕을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약 50%의 변환율로 $\beta$-1,3/l,6-글루칸을 생산할 수 있었다. 이는 생물공학적인 방법으로 $\beta$-1,3/l,6-글루칸의 생산을 의미하며 저렴한 생산비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을 의미한다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duction of the exopolymer by 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 UV induced mutant of A. pullulans ATCC 42023, was investigated. The exopolymer produced by A. pullulans SM-2001 was confirmed to be ${\beta}$-1,3-linked homoglucans containing a few ${\beta}$-1,6-linked single g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의 배양액에서 분리 , 정제한 6-1, 3/1, 6-글루칸의 분자량은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Viscotek,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컬럼은 측정할 수 있는 분자량의 허용범위가 5X10"인 TSK PWXL6000 (Viscotek, USA)을 사용하였다. 시료를 100 ppm의 NaNeSigma Co.
  • A. pullulans SM-2001 배양액에서 분리·정제한 고분자 중합체의 화학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8-1, 3- 결합의 커드란, B-1, 6- 결합의 푸슈투란을 표준 물질로 사용하여 핵자기공명분석기로 화학 구조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18-20).
  • 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의 건조 균체량은 배양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여 얻은 균체를 동일한 양의 증류수로 세척한 후, 8(rc에서 일정한 무게를 얻을 때까지 건조하여 균체량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a-1,4-1,6-글루칸인 풀루란을 생산하는 A. pullulans ATCC 42023(15)에 자외선을 처리하여 변이주를 얻은 후, 이변이 주들을 배양하여 배양액 중에 생산한 고분자 중합체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고분자 중합체를 화학적 처리 방법으로 정량분석을 하였고, 핵자기공명(NMR) 분석기를 사용하여 화학구조를 확인하였으며 , 크로마토그라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 pullulans ATCC 42023(15)에 자외선을 처리하여 변이주를 얻은 후, 이변이 주들을 배양하여 배양액 중에 생산한 고분자 중합체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고분자 중합체를 화학적 처리 방법으로 정량분석을 하였고, 핵자기공명(NMR) 분석기를 사용하여 화학구조를 확인하였으며 , 크로마토그라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핵자기공명 분석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생산되는 고분자중합체가 6-1, 3/1, 6-글루칸임을 확인하였으며, 位1, 3/1, 6-글루칸의 생산에 영향을 주는 탄소원의 종류 및 농도 등과 같은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저렴한 생산비로 8-1, 3/1, 6-글루칸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 (17). 분석은 시료 1.0 inL 어) 80%(w/v) 페놀용액 0.2 mL을 첨가한 후, 황산 5.0 m을 넣고 혼합한 다음 분광광도계(Helios B, ThermoSpectronic, England)이용하여 490 nm 의 파장에서 시료의 흡광도를 읽어 측정하였으며, 표준시료는 0.01-0.05 mg/mL 농도의 포도당으로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비교하였다.
  • Refractive index detectorfViscotek, USA)를사용하였으며. 분자량이 5.80X103에서 1.06 X106 사이의 각기 다른 분자량을 갖는 6개의 풀루란(pulhilan, Sigma Co., USA) 을 사용하여 분자량의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 용액을 8000xg의 범위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제거한 후, 침전물을 95% 에탄올로 2회 세척하였다. 세척한 침전물을 적당한 양의 증류수에 용해시킨 다음, 2일 동안에 5회 증류수를 바꾸어 주면서 투석하여 염성분을 포함한 저분자 물질을 제거하였다. 투석 믹"(Dialysis membrane, Spectrum Lab.
  • USA)을 사용하였다. 시료를 100 ppm의 NaNeSigma Co., USA) 수용액에 0.1% 내외의 농도로 녹여 0.45 呻 membrain filter로 여과한 후, 100 *L를 inject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상은 HPLC용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유속은 0.
  • 분리한 고분자 중합체를 화학적 처리 방법으로 정량분석을 하였고, 핵자기공명(NMR) 분석기를 사용하여 화학구조를 확인하였으며 , 크로마토그라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핵자기공명 분석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생산되는 고분자중합체가 6-1, 3/1, 6-글루칸임을 확인하였으며, 位1, 3/1, 6-글루칸의 생산에 영향을 주는 탄소원의 종류 및 농도 등과 같은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저렴한 생산비로 8-1, 3/1, 6-글루칸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 침전된 각 시료를 건조시켜 5 mg 취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해시켜 핵자기공명 분석기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핵자기공명 분석은 70笆에서 500MHz Varian Unity Plus Spectrometer(Varian Co., USA)를 통해 분석하였고, Trimethylsilane(TMS, Pierce Biotech., USA)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A. pullulans SM-2001에 의한 伊1, 3/1, 6-글루칸의 생산에 미치는 탄소원의 영향을 Table 1에 나타냈다 본 실험에 사용된 탄소 원은 포도당, 젖당, 만노오스(mannose), 설탕, 맥아당, 텍스트린(dextrin) 및 수용성 전분이었다. 포도당, 젖당 및 만노오스와 같은 단당류와 설탕 및 수용성 전분의 농도를 0.
  • 명명하였다{12, 16). A. pullulans SM-200l의 배지는 5.0g/L의 K2HPO4, 1.0g/L의 NaCl, 0.2g/L의 MgSO4·7H2O, 0.6g/L의 (NH4)2SO4(Sigma Co., USA) 및 2.5g/L의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Difco Lab., USA) 이 포함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탄소 원으로는 설탕을 20%(w/v) 농도로 증류수에 녹여 멸균한 후, 멸균된 배지에 무균적으로 0.5~2.0%(w/v)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07).
  • Aureobasidum pullulans ATCC 42023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얻은 변이주들 중에서 8-1, 3/1, 6-글루칸을 생산하여 체외로 분비하는 변이주를 획득하고, Aureobasidum pullulans SM-2001 로 명명하였다{12, 16). A.
  • 본 연구는 2002년 부산. 울산지방중소기업청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 사용한 표준시료는 커드란(curdlan, Sigma Co., USA), 푸 슈트란 (pustulan, Calbiochem. Co., Germany)이며, 각각 8-1, 3-및 /3-1, 6- 결합의 포도당으로 구성된 다당류이다. 각 시료 및 A.
  • , USA) 에 섞어서 하루 동안 70 ℃ 에 방치하여 용해시켰으며, 용해된 M 글루칸에 에탄올을 1 inL을 첨가하여 하루간 4C에서 방치한 후 원심분리를 하였다. 침전된 각 시료를 건조시켜 5 mg 취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해시켜 핵자기공명 분석기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핵자기공명 분석은 70笆에서 500MHz Varian Unity Plus Spectrometer(Varian Co.

이론/모형

  • 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의 배양에 의한 -1, 3/1, 6-글루칸의 생산성은 phenol-sulfuric acid method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7). 분석은 시료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Naohito, O., U. Michkharu, T. Aiko, T. Kazuhiro, N. M. Noriko, A. Yoshiyuki, W. A. Maki, T. Hiroshi, T. Shigenori, and Y. Toshiro (1999), Solubilization of yeast cell wall , $\beta$ -(1->3)-D-glucan by sodium hypocWorite and dimethyl sulfoxide extraction, Carbohydr. Reserch. 316, 161-172 

  2. Navarini, L., J. Bella, A. Flaibani, R. Gilli, and V. Rizza (1996),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solution properties of an acidic branched (1->3)- $\beta$ -D-glucan from Aureobasidium pullulans, Bio. Macromol. 19, 157-163 

  3. Sandu1a, J., G. Kogan, M. Kacurakova, and E. Machova (1999), Microbial (1->3)- $\beta$ -D-glucans, their preparation,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Carbohydr. Polymers, 38, 247-253 

  4. Bobek, P. and S. Galbavy (2001), Effect of pleuran (beta-glucan from Pleurotus ostreatus) on the antioxidant status of the organism and on dimethylhydrazine-induced precancerous lesions in rat colon, Br. J. Biomed. Sci. 58(3), 164-168 

  5. Delatte, S. J., J. Evans, A. Hebra, W. Adamson, H. B. Dthersen, and E. P. Tagge (2001), Effectiveness of beta-g1ucan collagen for treatment of partical-thickness burns in children, J. Pediatr. Surg. 36(1), 113-118 

  6. Hetland, G., N. Dhno, I. S. Aaberge, and M. Lovik (2000), Protective effect of $\beta$ -glucan against systemic Streptococcus pneumoniae infection in mice, FEMS Immunol. Med. Microbiol. 27(2), 111-116 

  7. Nicolosi, R., S. J. Bell, B. R. Bistrian, I. Greenberg, R. A. Forse, and G. L. Blackburn (1999), Plasma lipid changes after supplementation with beta-glucan fiber from yeast, Am. J. Clin. Nutr. 70(2), 208-212 

  8. Tokunaka, K., N. Dhno, Y. Adachi, N. Miura, and T. Yadomae (2002), Application of Candida solubilized cell wall $\beta$ -glucan in antitumor immunotherapy against P815 mastocytoma in mice, Int. J. Immunopharmacol. 2(1), 59-67 

  9. Dhno, N., T. Miura, N. N. Miura, Y. Adachi, and T. Yadomae (2001), Structure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hypochlorite oxidizes zymosan, Carbohydr. Polymers, 44, 339-349 

  10. Kraus, J., W. Blaschek, M. Schlitz, and G. Franz (1992), Antitumor Activity of Cell Wall beta-1,3/1,6-Glucans from Phytophthora Species, Planta. Med. 58, 39-42 

  11. Ukawa, Y., H. Ito, and M. Hisamatsu (2000), Antitumor effects of (1→3)-β-D-glucan and (1→6)-β-D-glucan purified from newly cultivated mushroom, Hatakeshimeji (Lyophyllum decastes Sing.),J. Biosci. Bioeng. 90, 98-104 

  12. Lee, J. W., W. G. Yeomans, A. F. Allen, F. Deng, R. A. Gross, and D. L. Kaplan (1999), Biosynthesis of novel polymers by Aurobasidium pullulans, Appl. Environ. Microbiol. 65, 5265-5271 

  13. Kim. J. H.. M. R. Kim, J. H. Lee, J. W. Lee, and S. K. Kim (2000), Produc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ullulan by Aureobasidium pullulans using glucosamine, Biotechnol. Lett. 22, 987-990 

  14. Navarini, L., J. Bella, A. Flaibani, R. Gilli, and V. Rizza (1996),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solution properties of an acidic branced (1->3)-)- $beta$ -D-glucan from Aureobasidium pullulans, Int. J. Bioi. Macromol. 19, 157-163 

  15. Ueda, S., K. Fusita, K. Komatsu, and Z. Nakashima (1963),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e genus Pullularia, Appl. Microbiol. 11, 211-215 

  16. Bouveng, H. D., H. Kiessling, B. Lindberg, and J. McKay (1963), Polysaccharides elaborated by Pullularia pullulans, Acta Chem. Scand. 17, 797-800 

  17. Dubois, M., K. A. Gilles, J. K. Hamilton, P. A. Rebers, and F. Smith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18. Deslandes, Y., R. H. Marchessault, and A. Sarko (1980), Triple-helical structure of (1-3)- $\beta$ -D-glucan, Macromol. 13, 1466-1471 

  19. Harada, T., M. Masada, K. Fujimori, and I. Maeda (1966), Production of a firm, resilient gel-forming polysaccharide by a mutant of Alcaligenes faecalis var. myxogenes 10C3, Agric. BioI. Chem. 30, 196-198 

  20. Sathyanarayana, B. K. and E. S. Stevens (1983), Theoretical study of the conformations of pustulan (1-6)-beta-D-glucan, J. Biomol. Struct. Dyn. 1(4), 947-959 

  21. Ebbole, D. J. (1998), Carbon catabolite repression of gene expression and condition in Neurospora crassa, Fungal Gen. BioI. 25, 15-21 

  22. Anwar, M. N., M. Suto, and F. Tomita (1996), Isolation of mutants of Penicillium purpurogen resistant to catabolite repress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45, 684-687 

  23. Wolff, J. A., C. H. MacGregor, R. C. Eisenberg, and P. V. Phibbs Jr. (199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tabolite repression control mutants of Pseudomonas aeruginosa PAD, J. Bacterial. 173, 4700-4706 

  24. Gancedo, J. M. (1998), Yeast carbon catabolite repression, Microbiol. Mol. BioI. Rev. 62, 334-3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