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대구지역 오존농도 예측
Prediction of Ozone Concentration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Daegu area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1 no.7, 2002년, pp.687 - 696  

최성우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  최상기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  도상현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ir quality monitoring data and meteorology data which had collected from 1995. 1. to 1999. 2. in six areas of Daegu, Manchondong, Bokhyundong, Deamyungdong, Samdukdong, Leehyundong and Nowondong,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 of ozone. A equation of multiple r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995년에서 1999년의 대구광역시의 대기 오염자료와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고농도 오존일의 시계열적 요소를 더한 다중회귀모델을 개발하여 예측치와 관측치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그 결과로부터 오존예보 모델의 유의성을 진단해보고 앞으로의 대기질관리와 오존 예보모델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오존 대상 권역을 나누지 않고 전역을 한 지역으로 처리함으로써 효율과 제도의 신뢰성보다는 제도를 시행한다는 자체에 너무 의미를 두고 있으며, 오존 발생과 분포의 국지성을 완전히 무시하였다. 본 연구는 1995년에서 1999년의 대구광역시의 대기 오염자료와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고농도 오존일의 시계열적 요소를 더한 다중회귀모델을 개발하여 예측치와 관측치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그 결과로부터 오존예보 모델의 유의성을 진단해보고 앞으로의 대기질관리와 오존 예보모델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단기간 고농도 오존의 위해성과 관련하여 세계보건기구(W阳0)는 고농도 오존의 권고 기준치 농도는 60 ppb으로 정하였으며 13), 우리나라의 경우 8시간 평균기준치가 60 ppb이하, 1시간 평균 환경기준치는 100 ppb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 오존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최근 5년 동안 대구지역의 6개 지점에서 측정된 시간별 오존농도를 이용하여 60 ppb이상의 고농도 오존으로 정의하고 고농도 오존의 발생현황 및 기상요인과 대기오염물질과의 시간적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오존농도가 60 ppb 이상일 경우에는 천식을 가진 환자의 증세가 더욱 악화될 수 있을 정도의 오염도S로 오존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될 수 있는 농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송동욱, 김영만, 1991, 서울시 지역별 $SO_2$ 오염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8(4), 23-30. 

  2. 나진균, 1989, 도심지역에서의 풍속에 따른 $SO_2$ 농도변화, 한국대기보전학회지, 5(2), 97-105. 

  3. 김상진, 이산훈, 정 용, 1988, AIRMA model에 의한 서울시 일부지역 $SO_2$ 오염도의 월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 한국대기보전학회지, 4(2), 72-81. 

  4. 김용국, 1996, 하계의 일최고 오존농도 예측을 의한 신경망모델의 개발,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0(4), 224-232. 

  5. 조희구, 김해경, 이규태, 1993, 서울 수도권 지역의 광화학 오존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0(2), 169-179. 

  6. 하수호, 1993, 부산시 대기오염 물질간의 상관도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9(3), 94-103. 

  7. 김영성, 1996, 1991-1993년 사이 우리나라의 오존 농도 변화,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2(1), 55-66. 

  8. 김용국, 1996, 수도권지역의 광화학 오존 농도 예측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허정숙, 김동술, 1993,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서울시 고농도 오존의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9(3), 207-215. 

  10. 박옥현, 1987, 부산에서의 고농도 오존일의 기상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9(3), 9-16. 

  11. Kelly, N. A., M. A. Ferman, and G. T. Wolf, 1986, The chemical meterologic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high and low ozone concentration in South- eastern Michigan and nearly areas of Ontar, JAPCA, 36, 150-158. 

  12. Larsen, R. I., 1985, An air quality data analysis system for interrelating effects, 1962-1979, Atmos. Environ., 19, 437-464. 

  13. WHO, 1987, Air quality guidelines for Europe, WHO regional publication, European series, 23, Copenhagen. 

  14. WHO, 1978, WHO photochemical oxidants,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7, Geneva, Switzerlan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