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빈도해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산악형 강수해석
Orographic Precipitation Analysis with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2 no.6, 2009년, pp.465 - 480  

윤혜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주)삼안 수자원부) ,  엄명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조원철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허준행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산악효과를 야기하는 지형인자와 강수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섬 전체가 산악지형인 제주도의 연평균강수량과 지수홍수법으로 산출한 확률강우량을 강수자료로 사용하여 산악효과를 야기하는 지형인자로 선정한 고도, 위 경도와 회귀모형을 구성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연평균강수량과 고도와의 선형관계가 확률강우량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고도이외에 위도, 경도를 각각 추가인자로 고려할 경우 강우량과 더욱 강한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고도와 위도, 경도를 모두 고려한 회귀모형을 이용한 지형공간분석 결과 제주도의 실제 강수특성과 마찬가지로 남동부로 편중된 강수형태를 보여 모형의 적합성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과 무관하게 높은 고도에서 회귀식의 유효성이 감소하므로, 높은 고도에서의 추가적인 산악효과인자의 강수량에 대한 영향이 존재될 것으로 판단되므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ingl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were used to deriv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altitude, latitude and longitude in Jejudo. The sing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focused on whether orographic effect was existed in Jejudo by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지형의 영향을 받는 강수형태를 지닌 제주도의 강우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강수에 영향을 주는 지형인자를 채택하고 강수와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우선 연평균 강수량과 채택한 지형인자들과의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제주도의 산악 효과가 강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고,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별 지형인자와 강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지역빈도해석에서 대상지역을 소지역으로 분할할 때 각 소지역의 확률분포형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소지역별 자료의 수문학적 동질성 여부는 Eq.
  • N개의 지점을 보유한 지역에서 자료개수 ni를 갖는 지점 i에 대하여 Qi,j , j = 1,⋯ ni의 관측자료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Q(F) (0≤f≤1)는 지점 i에서 quantile 함수를 나타내며, 동질한 지역에 대해 quantile은 Eq.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제주도의 기상관측소 17개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지형공간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어떻게 요약되는가? 1) 고도와 연평균강수량의 단일회귀분석 결과 대체로 고도의 증가에 다른 강수증가의 경향을 보여 제주도의 강수는 산악효과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고도를 비롯하여 평면적 지역위치와 강수량과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위도와 강수량과의 관계는 매우 약하지만 위·경도를 모두 고려하였을 경우는 강한 상관성을 나타났다. 3) 확률강우량과 고도를 이용한 단일회귀분석결과 연평균강수량과 동일한 선형비례관계를 도출하였다. 지속기간과 재현기간이 길어질수록 도출된 회귀식의 기울기가 커져 지속기간과 재현기간의 증가에 따른 강수량에 대한 고도의 영향이 가중됨을 확인하였으나 재현기간의 경우 지속기간에 비해 기울기의 증가율이 작게 나타나 재현기간과 산악 효과는 약간의 관계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 크기는 무시할 만큼 작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짧은 지속기간에 대하여 회귀식의 유효성이 작게 나타났으며, 긴 지속시간에 대하여는 높은 고도 지역에서의 잔차가 크게 발생해 산악효과가 복잡하게 얽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확률강우량과 고도 및 위·경도의 다중회귀분석에서 위·경도를 고려하여 강수량을 추정할 경우 회귀식의 적합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시간이 길어질수록 위·경도보다 고도의 영향이 강하게 작용하는 경향을 가진다. 5) GIS를 이용한 각 회귀모형의 지형공간분석결과 고도와 강수량, 고도와 지속기간 사이의 선형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형인자로 위·경도를 추가로 고려하였을 경우 남동쪽으로 편중된 실제 강수량의 분포형태가 나타났다.
지역빈도해석은 무엇인가? 지역빈도해석은 불확실성을 내포한 확률수문량의 정확한 산정을 위해 지점빈도해석을 보완한 방법으로 자료 보유기간이 비교적 짧아 자료보유기간보다 긴 재현 기간에 대한 설계수문량 산정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에서 설계수문량을 재산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방법이다. 지역빈도에 사용되는 여러 지점의 자료는 동질한 지역의 자료로 각 지점별로 규모는 다르지만 동일한 분포형으로부터 추출된 자료로 간주하여, 각 지역에 적합한 확률분포형을 선정하는데 이용된다.
다중회귀분석은 무엇인가? 다중회귀분석은 변수간의 함수관계를 추구하는 통계적 방법으로 종속변수를 설명하기 위하여 두 개 이상의 독립변수를 사용하는 선형회귀모형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자연적 현상을 설명하는데 있어 종속변수(y)는 두 개 이상의 독립변수에 의해 좌우되는 경우가 있으며, 설명력 있는 적절한 독립변수를 여러 개 선택하여 이들의 함수로 종속변수를 나타낼 경우 회귀식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진성, 임해욱, 엄명진, 김원일, 안원식 (2008).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강우의 공간보정과 분포형모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30-134 

  2. 류종인, 방익찬 (1997). '제주지방의 집중호우 경향분석.' 제주대 해양연구논문집, 제주대학교해양연구소, 제21권, pp. 113-123 

  3. 엄명진, 조원철, 임해욱 (2007). '지속시간 및 표고에 따른 강우량 보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7호, pp. 511-521 

  4. 유철상, 전경수, 김기욱 (2004). '한강유역 강수의 산지효과 추정 -I. 회귀분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학토목학회, 제24권, 제1B호, pp. 33-39 

  5. 제주도 기후특성집 (2003). 제주지방기상청 

  6. 제주도특별자치구 홈페이지. http://english.jeju.go.kr/, (2008년 11월 접속) 

  7. Basist, A., Bell, G. D. and Meentemeyer, V. (1994). 'Statistical relationships between topography and precipitation patterns.' Journal of climate, Vol. 7, No. 9, pp.1305-1315 

  8. Daly, C., Neilson, R. P. and Phillips, D. L. (1994). 'A statistical-topographic model for mapping climatological precipitation over mountainous terrain.'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33, No. 2, pp. 140-158 

  9. Hosking, J. R. and Wallis, J. R. (1997).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n Approach based on L-Mo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Marquinez, J., Lastra, J. and Garcia, P. (2003). 'Estimation models for precipitation in mountainous regions: the use of GIS and mul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hydrology, Vol. 270, pp. 1-11 

  11. Naoum, S. and Tsanis, I. K. (2004b).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GIS module using spatial variables to model orographic rainfall.' Journal of hydroinformatics, Vol. 6, No. 1, pp. 39-56 

  12. Ninyerola, M., Pons, X. and Roure, J. M. (2000). 'A methodological approach of climatological modelling of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through GIS techniques.' Journal of Climatology. Vol. 20, No. 14, pp. 1823-1841 

  13. Peck, E. L. and Schaake, J. C. (1990). 'Network design for water supply forecasting in the west.' Water Resour. Bull., Vol. 26, pp. 87-99 

  14. Schermerhorn, V. P. (1967). 'Relations between topography and annual precipitation in western Oregon and Washington.' Water Resour. Res., Vol. 3, pp. 707-711 

  15. Spreen, W. C. (1947). 'A determination of the effect of topography upon precipitation.' Trans. Amer. Geophys. Union, Vol. 28, pp. 285-290 

  16. Trefry, C. M., Watkins, D. W and Johnson, D. L. (2005). 'Regional reinfall frequency analysis for the State of Michigan.' Jo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0, No. 6, pp. 437-449 

  17. Weisse, A. K. and Bois, P. (2001). 'Topographic effects 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fall and mapping in the French Alp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40, No. 4, pp. 720-740 

  18. Wotling, G., Bouvier, Ch., Danloux, J. and Fritsch, J. -M. (2000). 'Regionalization of extreme precipitation distribution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s of the topographical environment.' Journal of hydrology. Vol. 233, pp. 86-10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