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odium metabisulfite와 adipic acid가 마늘 농축액의 저장 중 갈변현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dium Metabisulfite and Adipic Acid on Browning of Garlic Juice Concentrate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18 no.1, 2002년, pp.73 - 80  

배수경 (오뚜기 중앙연구소) ,  김미라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늘즙을 9$0^{\circ}C$에서 가열, 45$^{\circ}C$에서 감압 가열, -5$0^{\circ}C$에서 동결 농축하여 마늘 농축액을 제조하였고 이 때 농축 전후로 1% adipic acid와 1% sodium metabisulfite를 첨가하였다. 제조된 마늘 농축액을 4$^{\circ}C$$25^{\circ}C$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이들의 갈변도및 색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adipic acid나 sodium metabisulfite가 첨가된 마늘 농축액이 무첨가 마늘 농축액에 비해 갈변이 억제되었으며 adipic acid 보다는 sodium metabisulfite를 첨가한 농축액에서 갈변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첨가물의 첨가시기에 따른 효과를 보면 9$0^{\circ}C$ 가열 농축액에서는 농축 후에 sodium metabisulfite를 첨가한 것이 가장 갈변이 억제되었으며, 45$^{\circ}C$에서 감압 가열 농축액과 -5$0^{\circ}C$ 동결농축액에서는 농축 전에 sodium metabisulfite를 첨가한 농축액에서 갈변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5$0^{\circ}C$ 동결농축액은 저장동안 무첨가액의 갈변이 크게 증가함으로써 갈변억제제의 사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9$0^{\circ}C$ 가열 마늘 농축액의 저장 중 색도 변화에서는 sodium metabisulfite를 첨가한 농축액의 L값이 adipic acid 첨가액보다 높고 a값과 b값은 낮아 갈변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45$^{\circ}C$에서 감압 가열 농축액과 -5$0^{\circ}C$ 동결농축액에서도 sodium metabisulfite를 첨가한 농축액의 a값과 b값이 adipic acid를 첨가한 농축액보다 낮아 갈변억제에 sodium metabisulfite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sodium metabisulfite and adipic acid on the color changes of garlic juice was evaluated. The garlic(Uisung variety) juice was extracted and 1% sodium metabisulfite and 1% adipic arid were added to the garlic juice before or after concentration. Garlic juice was concentrated by heating ...

주제어

참고문헌 (24)

  1. 경기도 농촌진흥원, 농축산물 가격동향과 유통정보.14, 1993 

  2. 배수경, 김미라 : 농축방법에 따른 마늘 농축액의 저장안정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0(3):615, 1998 

  3. 김병삼, 박노현, 박무현, 한봉호, 배태진 : 마늘 착즙의제조 및 비점 상승의 추정. 한국식품과학회지,22(4):486, 1990 

  4. 김병삼, 박노현, 박무현, 한봉호, 배태진 : 마늘 착즙및 농축액의 Rheological Properties. 한국식품과학회지,22(6):646, 1990 

  5. O'Brien, J.M. and Labuza, T.P. : Symposium providesnew insights into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s. FoodTechnol, 48(7):56, 1994 

  6. Sciancalepore, V. : Enzymatic browning in five olivevarieties. J. Food Sci., 50(4): 1194, 1985 

  7. Valero, E., Varon, R. and Garcia-Caimona, F.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 oxidase from Airengrapes. J. Food Sci., 53(5):1482, 1988 

  8. Bae, R.N. and Lee, S.K. : Factors affecting browningand its control methods in chopped garlic. J. Kor. Soc.Hort. Sci., 31(3):213, 1990 

  9. Pruthi, J.S., Singh, L.J. and Girdhari, L. : Non-enzymatic browning in garlic during storage. Food Sci., 9(7):243,1960 

  10. 박우포, 조성환, 이동선 최소가공채소류에 적합한 갈변방지제의 선발. 한국식품과학회지, 30(2):278, 1998 

  11. 김영애 : 마늘가수분해물의 갈변반응에 미치는 항갈색화제의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2):201, 1998 

  12. Hendel, C.B., Bailey, G.F. and Taylor, D.H. :Measurement of nonenzymatic browning of dehydratedvegetables during storage. Food Technol., 4:344, 1950 

  13. Va'Mos-Vigyazo, L. : Polyphenol oxidase and peroxidasein fruits and vegetables. CRC Crit. Rev. Food Sci.Nutri., 15:49, 1981 

  14. Zhuk, Y.T. and TsapaIova, I.E. : Acitivity of enzymesand changes in carbohydrate complex of ediblemushrooms during the drying period. IZV. Vyssb.Uchetbn. Zaved. Pishch. Teknd., 3:60, 1974 

  15. Benjamin, N.D. and Montgomery, M.W. : Polyphenoloxidase of Royal Ann cherries: purification andcharacterization. J. Food Sci., 38:799, 1973 

  16. Montgomery, M.W. and Sgarbien, V.C. : Isoenzymes ofbanana polyphenol oxidase. Phytochemistry, 14:1245,1975 

  17. Halim, D.H. and Montgomery, M.W. : Polyphenoloxidase of d'Anjou pears (Pyrus communis L.). J. FoodSci., 43:603, 1978 

  18. Mayer, A.M. and Harel, E.: Polyphenol oxidase in plants.Phytochemistry, 18:193, 1979 

  19. Walker, J.R.L. and Reddish, C.E.S. Note on the use ofsysteine to prevent browning in apple products. J. Sci.Food Agric., 15:902, 1964 

  20. Montgomery, M.W. : Cysteine as an inhibitor ofbrowning in pear juice concentrate. J. Food Sci., 48:951,1983 

  21. Sayavenra-Soto, L.A. and Montgomery, M.W. : Inhibitionof polyphenoxidase by sulfite, J. Food Sci., 51:1531,1986 

  22. Valero, E., Varon, R. and Garcia-Carmona, F. : Kineticstudy of the effect of metabisulfite on polyphenoloxidase. J. Agric. Food Chem., 40(5):904, 1992 

  23. FDA, Sulfitmg agents; revocation of GRAS status for useon 'fresh' potatoes served or sold unpackaged orunlabled to consumers. Food & Drug Admin., Fed, Reg.,55:9826, 1990 

  24. 김문규, 장기운, 이광승, 우인식. 마늘 가공품목의 다변화 연구. 농촌진흥청.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