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서의 피부 및 뇌혈류에 미치는 고려홍삼 사포닌 및 비사포닌의 영향
Effects of Crude Saponin and Saponin-free Fraction of Korea Red Ginseng on the Skin and Cerebral Blood Flow in the Rats 원문보기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高麗人參學會誌, v.26 no.3 = no.67, 2002년, pp.132 - 138  

김신희 (충남의대 생리학교실) ,  김국성 (충남의대 생리학교실) ,  박진봉 (충남의대 생리학교실) ,  한찬수 (충남의대 생리학교실) ,  김광진 (충남의대 생리학교실) ,  김신혜 (건양의대 생리학교실) ,  김세훈 (건양의대 생리학교실) ,  남기열 (한국인삼연초연구원) ,  전병화 (충남의대 생리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혈류량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레이져 도플러 혈류량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피부혈류 및 뇌혈류량에 미치는 고려홍삼의 사포닌과 비사포닌의 효능을 연구하고자 고려홍삼의 정맥내 복강내 및 구강내로 주입하고 혈류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려 홍삼의 사포닌 성분은 피부혈류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뇌혈류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다. 고려 홍삼의 비사포닌 성분은 피부혈류량 및 뇌혈류량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고려홍삼사포닌에 의한 뇌혈류량의 증가는 복강내 및 경구로 투여할 경우는 관찰할 수 있으나 정맥내로 직접 투여할 경우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고려홍삼의 사포닌 성분은 뇌혈류량을 증가시키는 혈류개선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tudy the effect of Korea red ginseng (KCG) on the skin and cerebral blood flow, we evaluated the change of skin perfusion rate and cerebral perfusion rate after the intravenous, intraperitoneal, and oral administration of crude saponin (CS) and saponin-free fraction (SFF) of KRG in the rats.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경구로 고려홍삼을 투여 후 뇌혈류량의 변화를 측 정하기 위하여 양쪽 경동맥을 결찰하여 전두엽의 뇌혈류향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모델은 고려홍삼이 뇌혈류를 증가시킨다면 양쪽 경동맥의 결찰후 뇌 전두엽의 뇌 혈류는 기저동맥으로 부터의 뇌혈류 증가에 의하여 보상되어 혈류의 감소가 적을 것으로 생각되어 이러한 동물모델을 이 용하고자 하였다.
  • 일반적으로 고려홍삼은 주로 정맥내 투여나 복강내 투여하는 경우보다는 경구로 복용되는 물질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 서는 고려홍삼의 사포닌과 비사포닌을 구강내로 주입하여 뇌 혈류량 및 피부혈류량의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려홍삼 사포닌을 투여한 군에서 피부혈류량은 증가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혈류량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레이져 도플러 혈류량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피부혈류 및 뇌혈류량에 미치는 고려홍삼의 사포닌과 비사포닌의 효능을 연구하는 한편 고려홍삼의 투여경로에 따른 혈류량의 변화를 연구하여 고려홍삼의 혈액순환개 선제로서의 효능을 부분적으 로 밝히고자 한다.
  • 본 실험에서는 백서에서 양쪽 경동맥에 의하여 공급되는 뇌 혈류량의 기여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안구의 혈류량의 변화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백서에서 혈류량을 측정하는 같은 쪽의 경동맥을 결찰 할 경우 안구의 혈류량은 감소되었으나 뇌혈 류량은 변화되지 않았다.
  • 그러나 경구로 고려홍삼을 투여 후 뇌혈류량의 변화를 측 정하기 위하여 양쪽 경동맥을 결찰하여 전두엽의 뇌혈류향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모델은 고려홍삼이 뇌혈류를 증가시킨다면 양쪽 경동맥의 결찰후 뇌 전두엽의 뇌 혈류는 기저동맥으로 부터의 뇌혈류 증가에 의하여 보상되어 혈류의 감소가 적을 것으로 생각되어 이러한 동물모델을 이 용하고자 하였다.35, 36) 본 실험에서 고려홍삼 사포닌을 경구로 투여한 군에서 양쪽 경동맥 결찰시 뇌혈류의 감소는 식염수 투여군에 비하여 현저히 적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en, X., Gillis, C. N. and Moalli, R. : Br J Pharmacol 82, 485-91. (1984) 

  2. Chang, S.J., Suh,J.. S., Jean, B. H., Nam, K. Y. and Park, H. K. : Korean J Ginseng Sci 18, 95-101 (1994) 

  3. Jean, B. H., Kim, C. S., Park, K. S., Lee, J. W. and Chang, S. J. :Proceeding of '99 Korea-Japan Ginseng Symposium 8096 (1999) 

  4. Jean, B. H., Kim, C. S., Kim, H.S., Park, J. B., Nam, K. Y. and Chang, S. J.. : Acta Pharmacologica Sinica 21, 10951100 (2000) 

  5. Kang, S. Y., Kim, S. H., Schini, V. B. and Kim, N. D. : General Pharmacology 26, 483-487 (1995) 

  6. Kim, N. D., Kang, S. Y., Kim, M. J., Park, J.. H. and SchiniKerth, V. B. :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367, 51-57 (1999) 

  7. Chen, X. : Clinical & Experimental Pharmacology & Physiology 23, 728-732 (1996). 

  8. Gillis, C. N. : Biochemical Pharmacology 54, 1-8 (1997) 

  9. Chen, X. and Lee, T.J. F. :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15, 15-18 (1995) 

  10. Han, S. W. and Kim, H. :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28, 573-580 (1996) 

  11. Kim, H.J., Woo, D. S., Lee, G. and Kim,J. J. : Br J Urol 82, 744-8 (1998) 

  12. Jean, B. H., Kim, C. S., Park, K S., Lee, J. W, Park, J. B., Kim, K J., Kim, S. H., Chang, S. J., Nam, K. Y. : GenPharmacol 35, 135-141 (2000) 

  13. Jaenicke, B., Kim, E. J., Ahn, J. Wand Lee, H. S. : Arch Pharm Res 14, 25-9 (1991) 

  14. Park, J. K., Nam, K. Y., Hyan, H. C., Jin, S. H., Chepurnov, S. D. and Chepunora, N. E. : Korean J. Ginseng Sci 18, 3238 (1994) 

  15. Lee, S. C., Moon, Y. S. and You, K. H. : J Ethnopharmacol 69, 1-8 (2000) 

  16. Oh, J. S., Park, C. W. and Moon, D. Y. : Korean J, Pharmacol. 5, 23-28 (1969) 

  17. Wen, T. C., Yoshimura, H., Matsuda, S., Lim, J. H. and Sakanaka, M. : Acta Neuropathol 91, 15-22 (1996) 

  18. Lim, J. H., Wen, T. c, Matsuda, S., Tanaka, J., Maeda, N., Peng, H., Aburaya, J., Ishihara, K. and Sakanaka, M. : Neurosci Res 28, 191-200 (1997) 

  19. Wang, Y., Wang, B. X., Liu, T. H., Minami, M., Nagata, T. and Ikejima, T. ; Acta Pharmacologica Sinica 21, 792-796 (2000) 

  20. Han, K H., Choe, S. C, Kim, H. S., Sohn, D. W., Oh, B. H., Lee, M. M., Park, Y. B., Choi, Y. S., Sea, J. D., Lee, Y. W and Nam, K. Y.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 Therapeutics 3, 198-208 (1995) 

  21. Jean, B. H., Kim, C. S., Park, K. S., Lee, J. W, Park, J. B., Kim, K. J., Kim, S. H., Chang, S. J. and Nam, K. Y. : General Pharmacology (2001) 

  22. Kim, Y. C., Kim, S. R., Markelonis, G. J. and Oh, T. H. :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53, 426-432 (1998) 

  23. Cho, S. H., Choi, S. H., Choi, J. W, Kim, D. H., Shin, K. H., Chun, Y. S. and Chun, B. G. :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1, 345-353 (1997) 

  24. Lim, J. H., Wen, T. C., Matsuda, S., Tanaka, J., Maeda, N., Peng, H., Aburaya, J., Ishihara, K. and Sakanaka, M. : Neuroscience Research 28, 191-200 (1997) 

  25. Liquan, Z., jinyan, W. and Qinlian, Z. : Journal of Xi'An Medical University, Chinese Edition 19, 543-544+624 (1998) 

  26. Xuejiang, W, Magara, T. and Konishi, T. : Free Radical Research 31, 449-455 (1999) 

  27. Zhang, Y. G. and Liu, T. P. : Chinese Journal of Pharmacology & Toxicology 8, 7-12 (1994) 

  28. Zhang, Y. G. and Liu, T. P. : Zhongguo Yao Li Xue Bao 17, 44-8. (1996). 

  29. Jeong, T. C., Kim, H. J., Park, J. I, Ha, C. S., Park, J. D., Kim, S. I. and Roh, J. K : Planta Medica 63, 136-140 (1997) 

  30. Facino, R. M., Carini, M., Aldini, G., Berti, E and Rossoni, G. : Planta Medica 65, 614-619 (1999) 

  31. Kim, H., Chen, X. and Gillis, C. N. : Biochemical &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189, 670-676 (1992) 

  32. Chen, X., Salwinski, S. and Lee, T.J. : Clin Exp Pharmacol Physiol 24, 958-9 (1997) 

  33. Reed, R. K, Bowen, B. D. and Bert, J. L. : Am J Physiol 257, H2081-91 (1989) 

  34. Sparks, H. V., Jr. and Belloni, F. L. : Annu Rev Physiol 40, 67-92 (1978) 

  35. Iwasaki, Y., Ito, S., Suzuki, M., Nagahori, T., Yamamoto, T. and Konno, H. : J Neurol Sci 90, 155-65 (1989) 

  36. Prado, R, Watson, B. D. and Wester, P. : J Cereb Blood Flow Metab 13, 720-3 (1993) 

  37. Block, E, Schwarz, M. and Sontag, K. H. : Neurosci Lett 144, 124-6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