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자생 산돌배와 돌배나무의 조성, 분포, 입지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Habitat of the Ussurian Pear and Chinese Pear, Korean Wild Specie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16 no.2, 2002년, pp.160 - 171  

송종석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안영희 (중앙대학교 생물자원과학계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원식물로 유용한 야생배인 산돌배와 돌배나무군락의 종조성, 분포, 입지조건을 해석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따른 조사가 함백산, 소백산. 일월산, 주왕산. 가야산 등지에서 실시되었다. 이것은 군락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개생태학적인 특성을 파악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본 연구 결과, 야생 배나무류를 포함하는 삼림 식생은 두 군집과 두 군락으로 식별되었다: 우산나물-졸참나무군집, 물개암나무-신갈나무군집, 단풍취-신갈나무군락, 물푸레나무-산돌배군락, 이 중 우산나물-졸참나무군집과 물개암나무-신갈나무군집은 우리나라 참나무삼림의 분포유형에서 제각기 남부형 및 중\ulcorner북부형에 속한다. 그러므로 야생 배나무류는 주로 한국의 냉온대 낙엽수림 영역에 제한되며, 부분적으로 우점하거나 단독으로 출현하는 것이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야생 배나무류는 교목과 아교목층에 출현하는데, 이것은 이 종이 양수이고 임관의 다른 구성종과 함께 실생으로 발생하였음을 암시한다. 이를 반영하여 야생배나무류는 보통 SE-SW방향에 분포하였다. 또 야생 배나무류를 포함하는 삼림의 임관은 열려 있는 경우가 많았다. 다양성은 우산나물-졸참나무군집이 높았고, 다른 군락들은 비교적낮았다. 상급단위로서 식별된 군락은 조록싸리-졸참나무군단, 철쭉-신갈나무군단; 당단풍-신갈나무군목; 신갈나무군강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clarify the species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habitat of the Korean wild Pyrus ussuriensis and P. pyrifolia communities, that are so expected as a useful resource plant,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phytosociological method on Mts. Hambaek, Ilwol, Sobaek, Juwang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욱이 분류형질이 불안정한 개체도 있고 또 실지 야외조사가 결실기가 아닌 때에 행해지기도 하여 종레벨 이하의 분류군을 나누는 기준형질을 관찰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형질이 비교적 확실하게 나타났을 때 관찰한 결과 조사지역 중 야생배나무류인 돌배나무와 산돌배가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어서 이 두 종에 대한 연구에 중심을 두었다.
  • 큰기름새, 산박하, 굴참나무, 우산나물. 왕머루 등의 종군을 지역의 표징종 및 식별종으로 하는 본 군집을 제창하였다.
  • 국내에서 이들 각 삼림대의 식생을 종합 상재 도의 형태로 전체적으로 체계화한 논문으로 는 宋鍾頂(1988), 宋鍾® 等(1990), Song(1991: 1992), Kim(1990: 1992), Takeda et aL(1994) 이 있다. 이들 논문에 나타난 종합상재도표에서 야생배나무류의 출현상황을 점검하여 보았다. 그 결과 먼저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에 해당하는 동백나무군 강역에는 종합상재도표에서나 혹은 종조성표에서나 전혀 야생 배나무류가 출현하지 않았다.
  •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제반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야생배를 포함하는 식물군락의 분포와 입지환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조사, 해석하였다. 아울러 개생태학적인 특성을 군락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파악하려고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광식(편)(1982) 한국의 기후. 일지사, 서울, 446쪽 

  2. 송종석, 노광수, 정화숙. 송승달. 大野啓-. 持田幸良(1999) 대구, 구미, 김천 시역의 팔공산. 금오산, 황악산에 분포하는 참나무류 삼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3): 220-233 

  3. 이경준, 한상섭, 김지홍, 김은식(1996) 산림생태학. 향문사, 서울. 395쪽 

  4. 이우철(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1688쪽 

  5.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90쪽 

  6. 임록재(편)(1996-2000) 조선식물지 제1권-제9권.과학기술출판사. 평양 

  7. 장규관, 송호경. 김성덕(1997) 식물사회학적 방법과TWINSPAN에 의한 강원도 신갈나무림의 분류에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6: 214-222 

  8. 정태현(1943) 조선삼림식물도설. 조선박물연구회, 서울. 683쪽 

  9. 중앙관상대 (1991) 한국기후표. 서울, 294쪽 

  10. 吉良龍夫(1948) 溫量指數による垂直的な氣候帶のわかちかたについて. 寒地農學2:143-173 

  11. 宋鍾碩(1988)韓園の針廣混交林に開する植物社會的硏究. Hikobia 10:145-156 

  12. 末鍾碩,中西哲,伊藤秀三(1990)韓國の照葉樹林の植生學約硏究. 植物地理分類硏究38:127-136 

  13. 紫田桂太(편) (1957) 資源植物事典. 北隆館, 東京, 904쪽 

  14. 佐竹義輔.原寬,亘理俊次,富成忠夫(1992)日本の野生植物木本 I.平凡社. 東京, 321쪽 

  15. Braun-Blanquet(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Springer-Verlag, Wien, 865pp 

  16.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Eugen Ulmer, Stuttgart, 136pp 

  17. Kim, J. W.(1990) A syntaxonomical scheme for deciduous oak forest of South Korea. Abstr. Bot. 14: 51-81 

  18. Kim, J.W.(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 PhD. Thsis, Wien University, 314pp 

  19.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547 pp 

  20. Pielou, E.C.(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ey, New York, 286pp 

  21.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Ltd., New York, 165pp 

  22. Simpson, E.H.(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23. Song, J. S.(1991) Phytosociology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in Korea I. Syntaxonomical interpreta-tion. Ecol. Res. 6:1-19 

  24. Song, J. S.(1992) A comparative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subalpine coniferous forests in Northeastem Asia. Vegetatio 98:175-186 

  25. Takeda, Y., S. Nakanishi and D. Choe(1994) Phytoso-ciological study on natural summer-green forests in Korea. Ecol. Res. 9: 21-32 

  26. Van Der Maarel, E.(1979) Transformation of cover-abundance values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s on community similarity.Vegetatio 39: 97-1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