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잎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the Fraction Isolated from Pyrus ussuriensis Leave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99 no.6, 2010년, pp.885 - 890  

이창언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김영훈 ((주)메디웨이코리아 피부과학연구소) ,  이병근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도형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잎에서 추출한 분획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여 화장품소재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산돌배나무 잎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60% acetone-$H_2O$(6:4, v/v)로 추출하고, 아세톤 가용부를 분획하여 동결건조 시켰다. 아세톤 및 물 가용부를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메탄올 MeOH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또한 MeOH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MICgel을 이용했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Silica-gel TLC로 확인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에서 914 mg/g으로 정량되어 높은 함량이었다.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의 100 ppm농도에서 80%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 중 한 분획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은 1000 ppm에서 77%의 활성을 보였다. 분획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10 ppm에서 38%의 저해률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은 항산화효과를 가진 천연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pplication as ingredients of cosmetics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function for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action isolated from Pyrus ussuriensis leaves. The dried leaf of Pyrus ussuriensis were extracted with acetone-$H_2O$ (6:4, v/v), co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산돌배나무 잎에 함유된 물질의 생리활성적인 기능을 규명하며, 식품과 제약 그리고 화장품 산업에 적용하기 위하여, 천연소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산돌배나무 잎의 생리활성 성분을 알아보고자 분리·정제를 한 결과, 첫 번째 분획물에서 8개의 분획물을 획득하여 이 분획물들에 대해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 여능, SOD 유사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산돌배나무 잎에서 분획물을 분리하여 항산화효과를 실험하여 식품, 화장품 및 바이오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천연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돌배나무란? 본 연구의 공시수종인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Maximowicz)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서, 민간에서는 열매를 토사(吐瀉), 개선(疥癬), 해열 등의 약재로 쓰여 왔으며(김태정, 1996; Cho et al., 2004), 예로 부터 조상들이 즐겨먹는 과일의 한 종류로서 잘 알려져왔다.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의 100 ppm농도에서 80%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 중 한 분획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은 1000 ppm에서 77%의 활성을 보였다. 분획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10 ppm에서 38%의 저해률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은 항산화효과를 가진 천연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간에서는 산돌배나무 열매를 어떻게 이용해 왔는가? 본 연구의 공시수종인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Maximowicz)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서, 민간에서는 열매를 토사(吐瀉), 개선(疥癬), 해열 등의 약재로 쓰여 왔으며(김태정, 1996; Cho et al., 2004), 예로 부터 조상들이 즐겨먹는 과일의 한 종류로서 잘 알려져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 II. 서울대학교출판부. 삼성문화인쇄. 186p. 

  2. Aoshima, H., Tsunoue, H., Koda H. and Y. Kiso.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ournal of Agricultural Food Chemistry 52: 5240-5244. 

  3. Association of Analytical Chemists.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OAC. 14th ed.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Analytical Chemists INC. 

  4. Bauer, G. 2000.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Efficient, selective and interactive signals during intercellular induction of apoptosis. Anticancer Research 20: 4115-4139. 

  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6. Brand-Wiliams, W., Cuvelier, M.E. and Berste, C. 1995. Use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ebensmittel Wissenschaft und Technologie 28: 25-30. 

  7. Choi, H.J., Park, J.H., Han, H.S., Son, J.H., Son, G.M., Bae, J.H. and Choi, C. 2004. Effects of polyphenol compound from Korean pear on lipid metabolism.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3: 299-304. 

  8. Choinacki, T. and Vogtman, T. 1984. The occurrence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C_{50}-C_{60}$ polyphenols and of $C_{100}$ and similar long-chain polyphenols in leaves of plant. Acta Biomaterialiia. Acta Biochim. Polinica 31: 115-126. 

  9. Frankel, E.N. 1996. Antioxidants in lipid foods and their on food quality. Food Chemistry 57: 51-54. 

  10. Hatano, T., Yasuhara, T., Fukuda, T., Noro, T. and Okuda, T. 1989. Phenolic constituents of licorice. II. Structures of licopyranocoumarin, licoarylcoumarin and glisoflavone, and inhibitory effects of licorice phenolics on xanthine oxidase.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37(11): 3005-3009. 

  11. Hwang, H.S., Lee, Y.K. and Lee, K.G. 2006. Fractionation of Banaba Leaves Extract (Lagerstroemia speciosa L. Pers)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Food Engineering Progress 10: 120-124. 

  12. Ito, N., Fukushima, S., Hasegawa, A., Shibata, M. and Ogis, O.T. 1983. Carcinogenicity of butylated hydroxy antisole in F344 rats. Health and National Cancer Institute 70: 343-347. 

  13. Jeong, C.H., Kang, S.T., Joo, O.S., Lee, S.C., Shin, Y.H., Shin, K.H., Cho, S.H., Choi, S.G. and Heo, H.J. 2009.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effect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commerG. ltyree, PtivitOolong, and Blac tea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6(2): 230-237. 

  14. Kelley, W.N and Wyngaarden, J.B. 1974. Enzymology of gout. Advances in Enzymology and Related Areas of Molecular Biology 41: 1-33. 

  15. Kim, S.R, Ha, T.Y., Song, H.N., Kim, Y.S and Park, Y.K. 2005.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for kabocha squash and pumpki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7: 171-177. 

  16. Lee, J.H and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of Korea plant food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6: 310-316. 

  17.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47: 468-74. 

  18. Moon, J.S., Kim, S.J., Park, Y.M., Hwang, I.S., Kim, E.Y., Park, J.W., Park, I.B., Kim, S.W., Kang, W.G., Park, Y.K. and Jung, S.T. 2004. Anticirobial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1: 207-213. 

  19. Pavlii, O.L. and Makarova, G.V. 1968. Studies of flavonoide of Sorbus pendula L. 3.chemical studies of substances GP-1, GP-3. Farmatsevticheskii Zhurnal 23(6): 67-72. 

  20. Pryor, W.A. 1986. Oxy-radicals and related species : their formation, lifetimes, and reactions. Annual Review of Physiology 48: 657-667. 

  21. Shin, D.H. 1997. The study course and movement of natural antioxidants. Korean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0: 14-18. 

  22. Stirpe, F. and Della Corte, 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to oxidase (type O).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44(14): 3855-3863. 

  23. Wyngaarden, J.B. and Holmes, E.W. 1977. Molecular nature of enzyme regulation in purine biosynthsis. Ciba Foundation Symposium 48: 43-64. 

  24. Yu, T.J. 1989. Sikpumbogam. Munundang, Seoul, Korea pp. 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