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료자원으로서 Chufa (Gyperus esculentus L.)의 생장특성과 사료가치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Chufa (Cyperus esculentus L.) for Forage Resource 원문보기

한국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v.22 no.1, 2002년, pp.1 - 8  

이성규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황의경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ufa(Cyperus esculentus L.)는 고온성 사초과 식물의 일종으로 여름기간에 잘 자란다. 지상부는 주로 잎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부는 수염뿌리가 뭉쳐 나있고 끝에 괴경이 달린다. 파종 당년에는 출수가 되지 않고 괴경을 많이 생산한다. 번식은 괴경에서 분얼이 많이 나오는 영양번식을 하며 이 분얼이 다발모양(bunch type)의 포기를 형성한다. 성숙기의 초고는 73~75cm 전후이며 7월 중순에 거의 성장이 완료된다. 포기당 분얼의 수는 7월말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8월 이후는 서서히 증가하지만 생장이 빈약하였다. 지상부의 최종 생초수량은 40.3ton/ha, 건물수량은 12.2ton/ha이다. 재생력은 생장초기에는 강하지만 2회 예취후는 재생력이 급격히 떨어진다. 무예취구에서 최종 수확기의 포기당 괴경의 수는 722개, 1$m^2$ 당 생체량은 4.2kg, 건물량은 1.9kg이었다. 예취구의 경우 괴경의 생산량은 예취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8월 이후에는 이미 괴경생산이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보였다. chufa의 영양생장기 지상부 사료가치는 우수하였으나 생장이 진행될수록 낮아졌다. 최종 수확한 지상부의 조단백질, NDF, ADF, DMD, TDN 함량은 각각 6.1%, 81.5%, 39.8%, 33.2%39.40%, 괴경의 영양성분은 각각 6.0%, 68.3%, 15.5%, 50%, 51.8%였으며, 특히 지방 함량은 16.2%로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ufa (Cyperus esculentus L.) belongs to one of the sedge family and pows well in summer. The aboveground part of chufa is mostly consisted of leaves and the underground part is mostly composed of a clump of fibrous root with tuber. At the seeding year, it does not reproductive development but prod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chufa가 고온성식물임을 감안하여 夏節期 조사료자원으로서 재배가능성과 지상부와 괴경의 연간 수량 및 영양성분을 평가하여 새로운 식품, 음료 또는 사료자원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따라서본 시험에서는 chufh의 발아에서 성숙기까지 초고, 분얼, 개화, 지하경 및 근경에 대한 조사하였다. 아울러 조사료로서 이용가능성을 밝히기 위하여 생초량, 건물량 그리고 재생력을 생육기별로 비교하였다.
  • 결정하는데 대단히 중요하다. 본 시험에서는 chufa의 지상부를 1차 예취한 후 재생과 괴경의 생산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장이 진행되는 동안 지상부의 예취시기를 달리하였을 때 예취 후 괴경의 생산량을 무예취구(control)와 비교하였다(Table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동암, 김병호, 김창주. 1987. 초지학총론. 선진문화사. 서울 

  2. 김동암, 권찬호, 한건준. 1992. 청예용 호밀의 수확시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2(3):173-177 

  3. 김동암, 김문철, 전우복, 신정남, 권찬호, 금종송, 임상훈. 1998. 목초 및 사료작물 정부장려품종의 지역적응성평가. V.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사초수량과 사료가치. 한국초지학회지 18(1):11-18 

  4. 재규, 서성. 1989. 월동전후 초지관리에 관한 연구. VII. 봄철건초이용초지에서 이른봄 추비 시용시기가 목초의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9(3):148-152 

  5. 김종관, 김동암. 1993. 가을파종시기가 사초용 연맥의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3(3):195-202 

  6. 농촌진흥청. 1981. 한국표준사료성분표.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축산시험장 

  7. 서성, 신동은, 정의수, 강우성, 양종성. 1997. 조?만생 orchardgrass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한국초지학회지 17(1):27-34 

  8. 윤용범, 정순영, 이주삼. 1994. 파종시기가 Pearl millet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4(2):125-131 

  9. 이종경, 김동암, 이관영, 이성철. 1996. 초지형과 Endophyte 감염이 tall fescue의 수량, 사료가치 및 가축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6(4):275-282 

  10. Abe A. and S. Horii. 1977. Application of various fiber fraction and cellulase method of forage. J. japan Grassl. Sci. 20:16-21 

  11. A.O.A.C. 1980. Official metods of analysis(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12. Crampton, E.W. and I.A. Maynard. 1938. The relaton of cellulose and lignin content to th nutritive value of animal feeds. J. Nutrition. 15:383-395 

  13.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Apparatus, reagents, procedures, and some application). ARS, USD Agr. Handbook. No. 397 

  14. Hall, D.W. and V.V. Vandiver: 2000. Yellow Nutsedge, Cyperus esculentus L. University of Florida, Institude of Food and Agricultural Sciences. http://edis.ifas.ufl.edu/BODY_FWO14 

  15. Harris, P.J. and R.D. Hartley. 1980. Phenolic constituents of cell walls of Monocotyledones. Biochem. Syst. Ecol. 8:153-160 

  16. Linssen, J.P. H., G.M. Kielman, J.L. Cozijnsen, W. Pilnik. 1988. Comparison of chufa and olive oils. Feed Chem. 28:279-285 

  17. Linssen, J.P.H., J.L. Cozijnsen, W. Pilnik. 1989. Chufa(Cyperus esculentus): A new source of dietary fiber. J. Sci. Foo Agric. 49:291-296 

  18. Primo, E. and B. Laufuente. 1965. This is Horchata. Proc. 1st Int. Congr. Food Sci. Technol. 4:678-6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