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초액의 아질산염 소거, 전자공여작용 및 대두유에 농도별(0.5, 1 및 5%)로 첨가하여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아질산염 소거 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pH가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pH 1.2의 경우 100 ${\mu}\ell$/mL의 농도에서 80%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자공여작용은 50 ${\mu}\ell$/mL의 농도에서 약 80%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목초액을 첨가하지 않은 대두유를 control로 사용하였고, 0.1% BHT를 첨가한 대두유는 비교군으로 사용하여 5$0^{\circ}C$에서 10일간 저장하면서 실험을 하였다. 과산화물가는 목초액 1%와 5% 첨가군이 control과 BHT 첨가군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TBA가는 5% 목초액에서 가장 낮았고, 1% 목초액, 0.1% BHT 및 0.5% 목초액 첨가군 순으로 나타났다. 산가는 5% 목초액 첨가군이 가장 낮았고, 0.1% BHT, 1% 및 0.5% 목초액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itrite scavenging, eletron donating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ood vinegar on soybean oil. Wood vinegar was added to soybean oil in the quantities of 0.5, 1 and 5%.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all concentrations diminished at higher pH,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 목초액을 식품보존제 및 항산화제 등의 첨가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순도의 목초액을 이용하여 아질산염 소거, 전자공여 작용 및 대두유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hahi, F. and Wanasundara, P. (1992) Phenolic antioxidants. Critical Review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32:67 

  2. 芝崎勳 (1983) 抗菌性 天然添加物 開發の 現況は 使用上の 問題點. New food industry, 25, 28-31 

  3. Cho, H.S. and Ahn, M.S. (1999)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phenolic acids in defatted sesame meal on the soybean oil. Korean J. Dietary Culture. 14(1):43-48 

  4. Kwak, H.J., Kwon, Y.J., Jeong, P.H., Kwon, J.H. and Kim, H.K. (2000)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onion(Allium cep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9-355 

  5. Park, B.H., Choi, H.K. and Cho, H.S. (2001)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green tea on soybean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552-556 

  6. Hisasi Yoshimura. et al. (1993) Promoting effect of wood vinegar compounds on the mycelial growth of two basidiomycete. Tran. Myco. Soc. Japan. 141-151 

  7. Akio Yasuhara. et al. (1987) Volatile componuds in Pyroligneous Liquids from Karamatu and Chisima-sasa. Agric. Bio. Chem. 51(11):3049-3060 

  8. T $\'{o}$ th, L. and Potthast, K. (1984) Chemical aspects of the smoking of meat and meat products. Adv. Food Research, 29, 87-158 

  9. Pszczola, D.E. (1995) Tour highlights production and uses of smoke-based flavors. Food Technol. 49, 70-74 

  10. Guill $\'{e}$ n, M.D. and Manzanos, M.J. (1996) Study on the components of an aqueous smoke flavoring by means of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gas chromatography with mass spectrometry and flame ionization detectors. Adv. Food Sci,(CTML) 18, 121-127 

  11. Guill $\'{e}$ n, M.D. and Ibargoitia, M.L (1998) New components with potential antioxidant and organoleptic properties, detected for the first time in liquid smoke flavoring preparations. J. Agric. Food Chem., 46, 1276-1285 

  12. Yatagai, M., Unrinin, G. and Sugiura, G. (1986) By-products of wood carbonization. Tars form mangrove, sugi ogalite, wheat straw and chishima-sasa. Mokuzai Gakkaishi, 32, 467-471 

  13. Sugiura, G. (1972) In Mokuzai Kokyo Handbook. Forestry and Forest Res. Inst.(ed). Maruzen, Tokyo, p. 930 

  14. Gray, J. and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5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16. AOCS (1978) Sampling and analysis of commercial fat and oils, 3rd edition. Cd 8-53. Am. Oil Chem. Soc., Chicago 

  17. Kosugi, H., Kojima, T. and Kikugawa, K. (1989)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from peroxidized lipids. Lipids, 24, p. 873 

  18. AOCS (1978) Sampling and analysis of commercial fat and oils, 3rd edition. Cd 3a-63. Am. Oil Chem. Soc., Chicago 

  19. Kim, N.K., Cho, S.H., Lee, S.D., Ryu, J.S. and Shim, K.H. (2001) 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Phyllostachys sp.)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4), 475-4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