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진 산채 혼합물을 함유한 김치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against Oxidative Neuronal Cell Death of Kimchi Containing a Mixture of Wild Vegetables with Nitrite Scavenging Activ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0, 2015년, pp.1458 - 1469  

강경훈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해양산업연구소) ,  박시영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해양산업연구소) ,  권기한 (광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희경 (광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성현 (세계김치연구소) ,  김정균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해양산업연구소) ,  정미자 (광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NaNO_2$ 모델계와 배추에 함유된 아질산염에 대한 9종류 산채들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진 산채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김치(MWV)의 뇌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모든 시료에서 pH 4.2에서보다 pH 1.2에서 높았고, 다래순 추출물과 참취 추출물(AS)은 pH 1.2에서 90% 이상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나타내었다. AS, 더덕, 잔대, 도라지 및 민들레 추출물들(CL, AT, PG, TO)은 pH 4.2에서 다른 추출물보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이 높았다. CL, AT, PG 및 TO는 배추에 함유된 아질산염에 대해 높은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더하여 항산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뇌신경세포 사멸에 대한 MWV의 영향을 사람의 뇌 신경모세포종 SK-N-SH 세포 내에서 연구하였다. MWV 추출물은 SK-N-SH 세포에서 $H_2O_2$에 의해 유도된 세포 사멸ROS 생성을 약화시켰다. MWV 추출물은 일반김치 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작용을 보여주었다. MWV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H_2O_2$)에 대항하여 뇌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NSA) of nine kinds of wild vegetables in a $NaNO_2$ model system and nitrite of Chinese cabbage as well as the inhibitory effect of kimchi containing a mixture of wild vegetables (MWV) with nitrite scavenging 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식품 중에 질산염, 아질산염 및 아민류가 든 식품을 섭취했을 때 위 내에서 니트로사민이 생성될 수 있다(3). 그러므로 아질산염을 효과적으로 소거하면 니트로사민 생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아질산염 소거 효과 및 김치의 건강 증진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제품화를 위해 김치에 첨가했을 때 소비자의 입맛에도 맞는 천연소재를 발굴하고자 하였고, 먼저 다양한 산채들을 이용하여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니트로사민 저감화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진 더덕, 잔대, 도라지, 민들레 등 9종의 산채를 발굴하였고,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이들 천연소재의 최적 배합비를 가진 혼합물을 이용한 김치를 제조하여 유산균 변화, 항산화 효과, 뇌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 등을 알아보았다.
  • 국제적으로 김치에 니트로사민 생성에 대한 보고는 전무하지만 국내에서는 김치 내 니트로사민이 검출된다는 보고들이 있다(30, 3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니트로사민 저감화의 방안으로 배추에 함유된 아질산염 소거에 의한 김치에서 생성 가능한 니트로사민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소재를 찾고자 하였다.
  • 0 부근에서 아질산염 소거 작용이 있어야 한다. 또한 김치를 섭취 후 배추에 함유된 아질산염 및 환원미생물에 의해 배추에 함유된 질산염이 아질산염으로 전환된 것이 산성조건인 위 내에서 젓갈에 함유된 제2급 아민과 반응하여 다량의 니트로사민이 생성될 수 있지만 김치는 대부분 주식과 함께 섭취하므로 식사 후는 위 내 pH가 3.0~4.5가 되므로 아질산염 소거 작용 소재 선택 시 pH 4.2에서 효과가 높은 것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라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pH 4.2에서 아질산염 소거 작용이 높은 소재인 산마늘, 도라지, 더덕, 잔대 및 민들레 추출물(AV, PG, CL, AT, TO)을 계속되는 실험을 위해 선택하였다. 5종류의 산채를 이용하여 김치양념에 첨가할 산채 혼합물의 최적 배합비 개발을 위해 다양한 혼합물을 만들어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관능검사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최적 배합비 혼합물은 더덕 물 추출물(CLE) : 잔대 물 추출물(ATE) : 도라지 물 추출물(PGE) : 민들레 물 추출물(TOE)을 1: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추출물 그리고 더덕 분말 : 잔대 분말 : 도라지 분말 : 민들레 분말을 1: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분말이었으므로(관능검사 자료 미제시), 계속되는 실험에서는 산마늘을 제외한 도라지, 더덕, 잔대 및 민들레를 선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NaNO2 모델계와 배추에 함유된 아질산염에 대한 9종류 산채들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진 산채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김치(MWV)의 뇌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모든 시료에서 pH 4.
  • 본 연구에서는 더덕, 잔대, 도라지 및 민들레 추출물이 배추에 함유된 아질산염을 소거하는 것을 보여주었고, 이들 결과는 김치 양념으로 사용 가능한 천연소재, 유산균 등을 이용하여 니트로사민의 전구물질인 아질산염을 소거함으로써 김치의 니트로사민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을 가능성을 더욱 증가시킨 결과를 제시하였다.
  • 알츠하이머형 치매(Alzheimer's disease)와 같은 신경계 질환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신경세포가 손상되어 결국 신경세포가 사멸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ROS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으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부작용이 적은 천연소재에서 유래된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24,34,35). 본 연구에서는 산채 혼합물 첨가 김치가 항산화 효과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항하여 뇌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먼저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1)MWV is the abbreviation of kimchi containing mixture extract and mixture power of wild vegetables.
  • 2)NS: Data within a same item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 2)Value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within the same kind of wild vegetabl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4)NS: Data within the same kind of wild vegetable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잔대의 효능은? 더덕은 폴리페놀 성분 및 사포닌계 성분이 주요 생리활성 물질이고 혈청지질 감소 효과, 면역 증진 효과,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 및 항산화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9-12). 잔대는 항산화, 항비만, 고지혈증 개선, 항돌연변이, 항암 등의 효과가 알려져있으며(13,14), 도라지는 고지혈증 개선 효과, 항산화, 항돌연변이 및 니트로사민 중에서 가장 강력한 발암 물질 중 하나인 N-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 억제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15,16). 민들레(Taraxacum officinale)는 약용식물로서 주요 성분은 페놀류와 플라보노이드류인데 강한 항산화능, 고지혈증 예방 효과, 위장염 예방 효과, 항염증 효과와 같은 다양한 약리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있다(17-21).
더덕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은? 더덕(Codonopsis lanceolata), 잔대(Adenophora triphylla),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한국인이 즐겨 섭취하는 산채류 식품들이다. 더덕은 폴리페놀 성분 및 사포닌계 성분이 주요 생리활성 물질이고 혈청지질 감소 효과, 면역 증진 효과,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 및 항산화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9-12). 잔대는 항산화, 항비만, 고지혈증 개선, 항돌연변이, 항암 등의 효과가 알려져있으며(13,14), 도라지는 고지혈증 개선 효과, 항산화, 항돌연변이 및 니트로사민 중에서 가장 강력한 발암 물질 중 하나인 N-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 억제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15,16).
김치의 니트로사민이 생성될 수 있는 산성조건은 몇 도에서 며칠간 숙성시켰을 때 가능한가?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와 무는 질산염과 아질산염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1), 새우젓, 멸치젓 등과 같은 젓갈은 아민류, 특히 2급 아민인 dimethylamine(DMA)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3) 김치는 니트로사민 생성 가능성이 높은 음식이다. 김치는 15°C에서 6일간 숙성시켰을 때 pH가 4 이하로 떨어지고(7), 4°C에서 4주간 숙성시켰을 때 pH가 4 부근으로 떨어져 산성조건이 되어(8) 니트로사민 생성이 가능한 조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김치 섭취 과정에서 타액에 함유된 환원미생물에 의해 질산염이 아질산염으로 전환될 수 있어 아질산염이 위 내에 도달하게 되면 산성조건 하에서 젓갈에 함유된 제2급 아민과 반응하여 다량의 니트로사민 생성이 가능하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Jo SA, Kim EH, Han SH, Yuk DH, Kim JH, Park SG. 2010. Analysis of nitrate contents of agricultural products by HPLC-UV. 2010.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35-1339. 

  2. Kim JD, Lee OH, Lee JS, Jung HY, Kim B, Park KY. 2014. Safety effects against nitrite and nitrosamines as well as anti-mutagenic potentials of kale and Angelica keiskei vegetable ju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207-1216. 

  3. Chung MJ, Lee SH, Sung NJ. 2002. Inhibitory effect of whole strawberries, garlic juice or kale juice on endogenous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in humans. Cancer Lett 182: 1-10. 

  4. Sohn SM, Oh KS. 1993. Influence of nitrogen level on the accumulation of $NO^{3-}$ on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radish and cucumber. J Korean Soc Soil Sci FERT 26: 10-19. 

  5. Sohn SM, Oh KS. 1993. Study on utility of nitrate content in edible parts of crops as an indicator of simplified judgment for superior agricultural products by low nitrogen input. Korean J Organic Agriculture 2: 2-15. 

  6. Bang BH, Seo JS, Jeong EJ. 2008.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21: 51-55. 

  7. Bong YJ, Jeong JK, Park KY. 2013.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tar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717-1726. 

  8. Yun JY, Jeong JK, Moon SH, Park KY. 2014. Effects of brined baechu cabbage and seasoning on fermentation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081-1087. 

  9. Han EG, Cho SY. 1997. Effects of Codonopsis lanceolata water extract on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in carbon tetrachloride 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181-1186. 

  10. Han EG, Sung IS, Moon HG, Cho SY. 1998. Effects of Codonopsis lanceolata water extract on the levels of lipid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940-944. 

  11. Whang WK, Park KY, Chung SH, Oh IS, Kim IH. 1994. Flavonoids from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Kor J Pharmacogn 26: 204-208. 

  12. Jeon SM, Kim SY, Kim IH, Go JS, Kim HR, Jeong JY, Lee HY, Park DS.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cessed Deoduck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924-932. 

  13. Choi HJ, Chung MJ, Ham SS. 2010. Antiobese and hypocholesterolaemic effects of an Adenophora triphylla extract in HepG2 cells and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Food Chem 119: 437-444. 

  14. Ham YA, Choi HJ, Kim SH, Chung MJ, Ham SS. 2009. Antimutagenic and antitumor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5-31. 

  15. Chung MJ, Kim SH, Park JW, Lee YJ, Ham SS. 2012.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attenuates vascular endothelial cell injury by oxidized low-density lipoprotein and prevents high-fat diet-induced dyslipidemia in mice by up-regulating antioxidant proteins. Nutr Res 32: 365-373. 

  16. Kim SH, Chung MJ. 2015. Safety and anticancer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516-523. 

  17. Kweon MH, Hwang HJ, Sung HC. 2001.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vel chlorogenic acid derivatives from bamboo (Phyllostachys edulis). J Agric Food Chem 49: 4646-4655. 

  18. Williams CA, Goldstone F, Greenham J. 1996. Flavonoids, cinnamic acids and coumarins from the different tissues and medicinal preparations of Taraxacum officinale. Phytochemistry 42: 121-127. 

  19. Noh KH, Jang JH, Kim JJ, Shin JH, Kim DK, Song YS. 2009. Effect of dandelion juice supplementation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angover in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683-693. 

  20. Cho SY, Park JY, Oh YJ, Jang JY, Park EM, Kim MJ, Kim KS. 2003. Effect of dandelion leaf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676-682. 

  21. Jeon HJ, Kang HJ, Jung HJ, Kang YS, Lim CJ, Kim YM, Park EH. 2008.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araxacum officinale. J Ethnopharmacol 115: 82-88. 

  22. Seo J, Lim H, Chang YH, Park HR, Ham BK, Jeong JK, Choi KS, Park SB, Choi HJ, Hwang J. 2015. Effect of Jeju Citus unshiu peel extracts before and after bioconversion with cytolase on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RAW264.7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331-337. 

  23.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e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4. Chung MJ, Park YI, Kwon KH. 2015. Neuroprotective effects of Cirsium setidens, Pleurospermum kamtschaticumin, and Allium victorials based on antioxidant and p38 phosphorylation inhibitory activities in SK-N-SH neuronal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r 44: 347-355. 

  25. Jung MH, Lee SS, Park SH, Hwang HJ. 2013. The antioxidant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 Xanthium strumarium Linn, and Lonicera japonica. J Life Sci 23: 643-649. 

  26.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9-36. 

  27. Ku KH, Lee KA, Park W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kimchi added ginseng during fermentation peri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444-1448. 

  28. Kwon SC, Jeon T, Park JS, Kwak JS, Kim T. 2012.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E and xanthine oxidas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Jubak (alcohol filter cak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191-1196. 

  29. Lee HJ, Do JR, Kwon JH, Kim HK. 2012. Physiological proper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based on their extraction condition. Korean J Food Preserv 19: 271-277. 

  30. Kim KR, Shin JH, Lee SJ, Kang HH, Kim HS, Sung NJ. 2002.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in kimchi and saltfermented fish under stimulated gastric digestion. J Fd Hyg Safety 17: 94-100. 

  31. Ku KS, Shin JH, Chung MJ, Lee SJ, Sung NJ. 1999.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during fermentation of kakdug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3-39. 

  32. Oh HJ, Kim CS. 2007.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ed soybean foods (Chungkukjang,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503-1510. 

  33. Sung JM, Choi HY. 2009. Effects of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salted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6: 772-781. 

  34. Heo HJ, Lee CY. 2005. Strawberry and its anthocyanins reduce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J Agric Food Chem 53: 1984-7989. 

  35. Kim D, Chae HS, Kim NY, Jang A. 2013.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donkey's bone and skin extracts on SK-N-SH cells. J Life Sci 23: 1019-1024. 

  36. Ahn HY, Heo SJ, Kang MJ, Lee JH, Cha JY, Cho YS. 2011.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f and fruit extracts from Thuja orientalis. J Life Sci 21: 746-752. 

  37. Shin JH, Kim R, Kang MJ, Kim GM, Sung NJ. 2012. Qual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garlic-added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9: 539-546. 

  38.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31-336. 

  39. Haber D, Siess MH, Canivenc-Lavier MC, Le Bon AM, Suschetet M. 1995. Differential effects of dietary diallyl sulfide and diallyl disulfide on rat intestinal and hepatic drugmetabolizing enzymes. J Toxicol Environ Health 44: 423-434. 

  40. Choi JM, Lee S, Park KY, Kang SA, Cho EJ. 2014. Protective effect of kimchi against $A{\beta}_{25-35}$ -induced impairment of cognition and memo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360-366. 

  41. Lee YO, Cheigh HS. 1996.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freeze dried kimchi. J Life Sci 6: 66-71. 

  42. Lee AY, Choi JM, Lee S, Kim HY, Lee S, Cho EJ. 2013.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flavonoids from Taraxacum coreanum against oxidative stress in neuronal cel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and amyloid beta. Kor J Pharmacogn 44: 263-268. 

  43. Kim SM, Chung MJ, Ha TJ, Choi HN, Jang SJ, Kim SO, Chun MH, Do SI, Choo YK, Park YI. 2012. Neuroprotective effects of black soybean anthocyanins via inactivation of ASK1-JNK/p38 pathways and mobilization of cellular sialic acids. Life Sci 90: 874-882. 

  44. Matsukawa J, Matsuzawa A, Takeda K, Ichijo H. 2004. The ASK1-MAP kinase cascades in mammalian stress response. J Biochem 136: 261-265. 

  45. Rincon M, Flavell RA, Davis RA. 2000. The JNK and P38 MAP kinase signaling pathways in T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Free Radic Biol Med 28: 1328-1337. 

  46. Chang L, Karin M. 2001. Mammalian MAP kinase signalling cascades. Nature 410: 137-1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