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물리 탐사자료의 지구통계학적 분석에 의한 부산 동남해안 지역의 해수침투 특성
Characteristics of Sea Water Intrusion Using Geostatistical Analysis of Geophysical Surveys at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Busan, Korea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7 no.3, 2002년, pp.3 - 17  

심병완 (부경대학교 환경지질학과) ,  정상용 (부경대학교 환경지질학과) ,  김희준 (부경대학교 탐사공학과) ,  성익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김병우 (부경대학교 환경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산시 동남해안 지역에서 해수침입의 지역적 특성과 해수침입의 범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하수 모니터링공의 자료분석과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이용하였다. 강수에 의한 직접적인 지하수의 충진으로 모니터링 우물에서의 지하수위는 강수량과 비례하지만 전기전도도는 강수량과 대체로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니터링 우물에서 전기전도도는 약 24m심도에서 급격히 증가되어 26m전후에서 20,000$\mu\textrm{s}$/cm를 초과하였고, 지하수위와 전기전도도를 비교한 결과, 지하수위가 낮아질수록 해수와 담수의 경계면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교차상관성 분석에 의하면 지하수위와 강수량은 시차가 0일 때 교차상관 계수가 최대이지만, 전기전도도와 강수량의 교차상관계수는 시차가 9일 때 최대로 나타났다. 이것은 지하수위 변동이 강수에 의하여 단시간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해수와 담수의 경계면은 강수에 의하여 매우 느리게 반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2개의 측선에서 실시된 수평전기탐사 자료의 역산결과, Line 1에서는 동쪽 끝에서 내륙으로 약 14m지점까지, Line 2에서는 동남쪽 끝에서 내륙으로 약 25m지점까지 해수가 침투한 것으로 나타났다 5월과 7월에 슬럼버져 배열의 수직전기탐사를 실시하여 획득한 자료는 각각 대수정규분포를 나타내었고, 크리깅에 의한 겉보기비저항 분포도와 전기비저항 분포도를 비교하면 5월보다 7월에 비저항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6, 7월에 내린 강수로 지하수의 함양량이 증가하여 대수층내 해수의 농도가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겉보기비저항의 수직단면도 및 평면도 그리고 전기비저항 분포도를 분석한 결과. 지구통계학적 기법은 해안 지역에서의 전기비저항 분포 변화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ta analysis of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and geostatistical methods are used to identify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sea water intrusion and the range of sea water intrusion at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Busan, Korea. Rainfall and groundwater level of two monitoring wells show a linear c...

주제어

참고문헌 (23)

  1. 이치섭, 김희준, 공영세, 이정모, 장태우. 2001,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이용한 경주 개곡리 지역의 단층조사, 물리탐사. 4(4), pp. 124-132(2001) 

  2. 대한광업진흥공사, 해남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 (2000) 

  3. 정상용, 심병완, 김규범, 강동환, 박희영.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한 영산강,섬진강 유역의 지하수 수질특성 연구. 지하수환경. 7(3), pp. 125-132(2000) 

  4. 정상용, 강동환, 박희영, 심병완. 부산지역 지하수 오염현황 분석을 위한 지구 통계기법의 응용, 지질공학. 10(3), pp. 247-261(2000) 

  5. Figueira, R., Space-Time Geostatistical Modeling: A Case Study of Sea-Salt Measured on Lichens, Geoenv Ⅱ -Geostatistics for Environmental Applications, pp.53-64(1999) 

  6. Isaaks, E.H. , and Srivastava, R.M. Applied Geostatistics, Oxford Univ., (1989) 

  7. Istok, J.D., Smyth, J.D., and Flint, A.L, Multivariate geostatistial analysi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a case history, Ground Water, 31, pp.63-74 (1993) 

  8. Juang, K.W., and Lee, D.Y., Simple indicator kriging for estimating the probability of incorrectly delineating hazardous areas in a contaminated site, Environ. Sci. Technol., 32, pp.2487-2493 (1998) 

  9. Smith, M.L., and Williams R.E., Examination of methods for evaluating remining a mine waste site. Part II. Indicator kriging for selective remediation, Eng. Geol., 41, pp.23-30 (1996) 

  10. Weber, D., Easley D., and Englund E., Probability of plume interception using conditional simulation of hydraulic head and inverse modeling, Math. Geol., 23, pp.219-239 (1991) 

  11. Woldt, W., Hagemeister M.E., and Jones, D.D, Characterization of an unregulated landfill using surface-based geophysics and geostatistics, Ground Water, 36, pp.966-974 (1998) 

  12. Abdul Nassir S.S., Lake M.M, Lee C.Y., and Nawawi M.N.M, Salt-water intrusion mapping by geostatistical imaging surveys, Geophys. Prosp., 48, pp .647-661 (2000) 

  13. Ebraheem, A.M., Senosy M.M., and Dahab K.A., Geoelectrical and hydrogeochemical studies for delineating ground-water contamination due to saltwater intrusion in the north part of the Nile delta, Egypt, Ground water, 35, pp.216-222 (1976) 

  14. Kalinski, R.J., and Kelly, W.E., and Bogardi, I., Combined use of geoelectric sounding and profiling to quantify aquifer protection properties, Ground water, 31, pp.538-544 (1993) 

  15. Stewart, M., Layton M, and Lizanec T., Application of resistivity survey to regional hydraulic reconnaissance, Ground Water, 21, pp.42-48 (1983) 

  16. Stewart, M., and Gay M.C., Evaluation of transient electromagnetic soundings for deep detection of conductive fluids, Ground Water, 24, pp.351-356 (1986) 

  17. 부경대학교. 대연 전화국 연결 통신구 공사로 인한 부경대학교 시설물 피해영향조사 연구(2/4), (1997) 

  18. Kim, H. J., Two-dimensional resistivity inversion with smoothness constraint, J. Geol. Soc. Korea., 26, pp.12-17 (1990) 

  19. Zohdy, A.A.R., Eaton,G.P. and Mabey, D.R., Application of surface geophysics to ground-water investigations, USGS--TWRI Book 2, Chapter D1. (1974) 

  20. Hohn, M.E., Geostatistics and Petroleum Geology, (1999) 

  21. Matheron, G., The intrinsic random functions and their applications, Advanced Applied Probability, 5, pp.439-468 (1973) 

  22. Delfiner, P., Linear Estimation of Non Stationary Spatial Phenomena, Advanced Geostatistics in the Mining Industry, edited by M. Guarascio, M. David,and C. Huijbregts, D. Reidel Pub. Co., Dordrech-Holland, pp.49-68 (1976) 

  23. 부경대학교, 대연 전화국 여결 통신구 공사로 인한 부경대학교 시설물 피해영향조사 연구(4/4),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