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단미술요법이 여대생의 신체상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Body Image and Self-esteem in College Wome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2 no.5, 2002년, pp.743 - 755  

정길수 (경인여자대학 간호과) ,  이성은 (경인여자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8-week, 16-sess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body image and self-esteem in college women. Method: Data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58 college women in Inchon who were selected by criteria of this study, from the 6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에서는 본 연구글과외 논외에 도옴이 될 수 있는 미 숱치료를 적응한 신체상 개선 프로그램 올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에>프로그램외 내응은 다르지만 심상 치료나 현실치료를 적응한 다른 연구들과 본 연구 글과를비교해보았다.
  • 딱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부 여대생외 긍정적 신체상 형성 올 위하여 독자적인 중재로서 체계화되고 임상 실무에서 적응할 수 있는 집단미숱요범이 일부 여대생외 신체 상과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집단미숱요범이 여대생외 신체상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 계 (non-equivalent control groip pre-post test design)외 유사실험연구이다.
  • 이는 개인외 정체성과 자기 가치 외 근본이 되는 자아외 증심개념이기도 하다 (Wassner, 1展2). 본 연구에서는 Secoi션와 Joward (19贸)가 개발한 신체만족도 측정도구 (E做 Cathexis Scaled BCS)를 이응하여 측정된 점수이다.
  • 조소g*lpting) 및 꼴라쥬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미숱재료를 제공한다(Jung 1999). 연구에서는 일련외 구조화된 미숱홭동으로서 준비홭동>본홭동 및 토른으로 구성되며 일주일에 2회기씩 8주간 층 16회기에 걸쳐 진행되는 일련외 치료적 미숱홭동올 외미한다.
  • 본 연구외 목적은 여대생올 대상으로 신체상개선 집단 미 숱요범 올 개발하여 적 응함으로서 여 대생들외 신체 상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狈1년 3월부터 5월까지 K여대에 입학한 신입생으로 집단미숱요범에 참여한 실험군 17명과 대조군 41명이 최종분석에 포함되었으며>본 연구를 틍해다옴과 같은 글과를 얻었다

가설 설정

  • 1) 집단미숱요범에 참여한 여대생은 참여하지 않은 여대생보다 신체상 점 수가 높올 것이다.
  • 2) 집단미숱요범에 참여한 여대생은 참여하지 않은 여대생보다 자존감 점수가 높올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ung, K. S. (1999).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mental status in chronic schizopherenic in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aejeon, Korea 

  2. Fisher, S. (1990). The evolution of psychological concepts about the body. In T. F. Cash & C. pruzinksy(ed.), Body images: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3-20). New York : Guilford 

  3. Jung Y. N. (2000).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y applying reality therapy on the body image and depression of adolescent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4. Kim, D. Y. (2000). The effects of the body image improvement program-centered on the high school girls. Unpublished master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Korea 

  5. Lee, K. W. (2000). Application of the group art treatment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6. Lee, S. Y., & Lee, K. H. (1999). Art therapy program on psychiatric patient's self 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Korean J. Psychiatric Nursing, 8(1), 121-133 

  7. Liebmann, M.(1986). Art therapy for groups : a handbook of themes, games and exercise. Cambridge, Massachusetts : Brookline Books 

  8. Musa, H. E. & Roach, M. E.(1973). Adolescent appearance and self-concept. Adolescence, 8, 385-394 

  9. Price, B. (1990). A model for body-image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5, 585-596 

  10. Sankowsky, M. H. (1981). The effect of a treatment based on the use of guided visuo-kinesthetic imagery are the alteration of negative body-cathexis in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Boston 

  11. Stuart, G. W. & Sundeen, S. J. (1983). Prinnciple and practice of psychiatric nursing(2nd ed.). St. Louis, Missouri : Mosby Company 

  12. Wassner, A. (1982). The impact of mutilating surgery or trauma on body imag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9(3), 86-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