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화단백질의 형성에 미치는 인삼의 효과
Effects of Ginseng on the Formation of Glycated Protein 원문보기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高麗人參學會誌, v.26 no.4 = no.68, 2002년, pp.173 - 177  

맹성호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  전강웅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  배진우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당화헤모글로빈의 형성을 포함한 당뇨병에 대한 인삼의 보호작용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인산완충용액으로 포도당(1.5 g/dl), 헤모글로빈(10 g/dl) 및 홍삼액기스(0.5 g/dl)의 혼합용액(1 : 1 : 1, v/v/v)을 생산하여 시험관에 옮긴 후 37$^{\circ}C$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또한 웅성 백서를 각 군당 20두씩 할당하여 건강한 군과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군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인삼투여군과 그 대조군으로 나누어 홍삼액기스를 음용수에 용해하여 100 mg/kg/day의 용량을 3개월 동안 투여하였다. 혈당의 농도와 당화헤모글로빈의 비율은 시판되는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홍삼액기스를 첨가한 시험관의 당화헤모글로빈이 첨가하지않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12.17$\pm$1.01% : 15.9$\pm$ 1.95%, p<0.01) 홍삼액기스를 투여한 당뇨쥐의 혈당은 그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3개월 후의 당화헤모글로빈의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15.1$\pm$2.06% : 20.1$\pm$2.9%, p<0.05). 또한 3개월 후 홍삼액기스를 투여한 당뇨쥐는 그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 되었으며 음수량이 감소 되었다. 이런 결과들로 보아 인삼은 당화단백질의 형성을 저혈당 작용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effects of red ginseng on the formation of glycated protein in vivo and in vitro. The mixtures (1 : 1 : 1, v/v/v) with glucose (1.5 g/dl, hemoglobin (10 g/d) and red ginseng extract (0.5 g/dl) in 0.067 M phosphate saline buffer were incubated for 5 days in shaking water bath (3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0.067 M의 인산완충용액(PBS)으로 희석하여 헤모글로빈(시그마) 10 g/d/, 포도당(시그마) 1.5 g/d/, 및 홍삼액기스(홍삼정 골드, 한국인삼공사) 0.5 g/d/의 농도를 생산하여 대조군 (Control)에는 헤모글로빈과 인산완충용액을 1: 2(v/v)로 혼합하였으며 포도당첨가군(Glucose)에는 헤모글로빈, 포도당 및 인산 완충용액을, 인삼처치군(Gl+Ginseng)에는 헤모글로빈, 포도당 및 홍삼액기스를 1:1:1 (v/v/v)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그리고 혼합액을 37℃에서 70 RPM으로 5일간 배양한 후 2000 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일부 변성된 헤모글로빈을 침전시킨 후 상등액을 채취하여 당화헤모글로빈 측정용 키트인 Glyc-Affinity GHB(Isolab, USA)를 이용하여 당화율 (%)를 측정하였다.
  • 150-200 g의 웅성 백서인 Sprague-Dawley를 조당 20두씩 3개조{정상대조군(Healthy), 당뇨대조군(Diabetes), 인심처치군 (Ginseng)}로 분할하여 일반적인 동물실의 조건에서 3개월 동안 사육하였다. 먼저 무작위로 선정된 20두의 미정맥에서 채혈한 혈액으로부터 공복시의 혈당과 당화헤모글로빈의 비율을 측정하여 실험전의 값으로 사용하였다.
  • 5 g/d/의 농도를 생산하여 대조군 (Control)에는 헤모글로빈과 인산완충용액을 1: 2(v/v)로 혼합하였으며 포도당첨가군(Glucose)에는 헤모글로빈, 포도당 및 인산 완충용액을, 인삼처치군(Gl+Ginseng)에는 헤모글로빈, 포도당 및 홍삼액기스를 1:1:1 (v/v/v)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그리고 혼합액을 37℃에서 70 RPM으로 5일간 배양한 후 2000 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일부 변성된 헤모글로빈을 침전시킨 후 상등액을 채취하여 당화헤모글로빈 측정용 키트인 Glyc-Affinity GHB(Isolab, USA)를 이용하여 당화율 (%)를 측정하였다.
  • 먼저 무작위로 선정된 20두의 미정맥에서 채혈한 혈액으로부터 공복시의 혈당과 당화헤모글로빈의 비율을 측정하여 실험전의 값으로 사용하였다. 당뇨대조군과 인삼처치 군에는 streptozotocin 50 ㎎/㎏을 미정맥으로 투여하여 당뇨병을 유발한 후 인삼처치군에는 성인의 투여링을 참고하여 홍삼액기스(홍삼정골드, 한국인삼공사) 100 ㎎/㎏의 용량을 일일 음수량에 희석하여 투여하였다. 매달 음수량과 체중을 관찰하였으며 동물을 최소 12시간 굶긴 후 오전 8-9시에 미정 맥에서 0.
  • 당뇨대조군과 인삼처치 군에는 streptozotocin 50 ㎎/㎏을 미정맥으로 투여하여 당뇨병을 유발한 후 인삼처치군에는 성인의 투여링을 참고하여 홍삼액기스(홍삼정골드, 한국인삼공사) 100 ㎎/㎏의 용량을 일일 음수량에 희석하여 투여하였다. 매달 음수량과 체중을 관찰하였으며 동물을 최소 12시간 굶긴 후 오전 8-9시에 미정 맥에서 0.5-1 ml를 채혈하여 Accutrend Glucometer (Behringer Mannheim, Germany)에 의하여 혈당을, Glyc- Affinity GHB 키트(Isolab, USA)로 당화헤모글로빈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 사육하였다. 먼저 무작위로 선정된 20두의 미정맥에서 채혈한 혈액으로부터 공복시의 혈당과 당화헤모글로빈의 비율을 측정하여 실험전의 값으로 사용하였다. 당뇨대조군과 인삼처치 군에는 streptozotocin 50 ㎎/㎏을 미정맥으로 투여하여 당뇨병을 유발한 후 인삼처치군에는 성인의 투여링을 참고하여 홍삼액기스(홍삼정골드, 한국인삼공사) 100 ㎎/㎏의 용량을 일일 음수량에 희석하여 투여하였다.

데이터처리

  • 시험관 실험에서는 동일 실험을 7회 반복한 결과를, 동물실험에서는 군당 20두에 대한 결과를 평균±표준편차로 기록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SAS의 독립적인 t-test에 의하여 p<0.05일 경우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Furth A. J. : Analytical Biochem 175, 347-360 (1988) 

  2. Brownlee M., Vlassara H. and Cerami A. : Ann Intern Med 101, 527-537 (1984) 

  3. Monnier, V. M., Cerami, A. : Science 211, 491-493 (1981) 

  4. Worner, W., Bae, J. W., Pfleiderer, S. and Rietbrock. N. : N. schniedberg Arch of Pharm Suppl 340, 424 (1990) 

  5. Fluckiger, R and Winterhalter, K. G. : FFBS Lett 71, 356-360 (1976) 

  6. Kohn, R. R., Cerami, A. and Monnier, V. A. : Diabetes 33, 57-59 (1984) 

  7. Valssara, H., Brownlee. M. and Cerami, A. : Diabetes 32, 670-674 (1983) 

  8. Crompton, M., Rixon, K. C. and Harding, J. J. : Exp Eye Res 40, 297-311 (1985) 

  9. Lewis, B. S. and Harding, J. J. : Exp Eye Res 50(5), 463-467 (1990) 

  10. Sensi, M., Pricci, F, De Rossi, M, G. and Morano, S. : Clin Chem 35(3), 384-387 (1989) 

  11. Harding, J. J., Egerton, M. and Harding, S. S. : Acta Ophthalmol 67, 518-524 (1988) 

  12. Ortwerth, B. J. and Olesen, P. R. : Exp Eye Res 47(5), 737-750 (1988) 

  13. Ceriello, A., Giugliano, D., Quatraro, A, Dello Rsso, P. and Torella, R. : Diabete-Metab 14(10), 40-42 (1988) 

  14. Hunt, J. V., Dean, R. T. and Wolff, S. P. : Biochem J 256, 205-212 (1988) 

  15. Kim, H. S. and Lee, B. M. : J Toxicol Environ Health: 8, 583-98 (2001) 

  16. 이화재, 김동윤, 장재철 : 고려인삼학회지 23(3), 182-189 (1999) 

  17. Konno, C., Murakami, M., Oshima, Y. and Hikino, H. : J. Ethnopharmacol 14(1), 69-74 (1985) 

  18. Oshima, Y., Konno, C. and Hikino, H. : J. Ethnopharmacol 14(2-3), 255-9 (1985) 

  19. Chung, S. H., Choi, C. G. and Park, S. H. : Arch Pharm Res 24(2), 214-8 (2001) 

  20. SoItaniemi, E. A., Haapakoski, E. and Rautio, A. : Diabetes Care 18(10), 1373-5 (1995) 

  21. Vuksan, V., Sievenpiper, J. L., Wong, J., Xu, Z. : Am J Clin Nutr 73, 753-8 (2001) 

  22. Vogler, B. K., PittIer, M. H. and Ernst, E. : Eur J Clin Pharmacol 55(8), 567-75 (1999) 

  23. 배진우 : 에탄올의 약동학에 미치는 홍삼액시스의 효과. 고려인삼학회지 23(3), 172-175 (1999) 

  24. 배진우 : 홍삼복방 시제품의 임상학적 숙취해소 효능 규명. 2000년 인삼 연구결과 년차 보고서 88-97 

  25. Koo. M. W. L. : Effects of ginseng on ethanol induced sedatior in mice. Life Science 64(2), 153-160 (1999) 

  26. Lee Y. J., Pantuck C. B., Pantuck E. J. : Effect of ginseng on plasma levels of ethanol in the rat. Planta Med. 59, 17-19 (1993) 

  27. Onomura M., Tsukada H., Fukuda K., Hosokawa M., Nakamura H., Kodama M., Ohya M., Seino Y. : Effects of ginseng radix on sugar absorption in the small intestine. Am J Chin Med 27(3-4), 347-54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