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해에서의 저주파 단상태 잔향음 모델 (L-HYREV: Low-frequency Hanyang univ. Reverberation model)을 개발하였다. 음선이론 (ray-theory)에 기초한 전파모델은 해저 내로 투과되는 음파에 대한 효과를 적절하게 고려할 수 없으므로, 해저 내 상호작용을 계산할 수 있는 전파모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AM(Range dependent Acoustic Model)을 이용해서 전달손실을 계산 후, 다중경로 확장모델 (multi-path expansion model)을 이용해서 산출한 전달손실을 보정하였다.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GSM (generic sonar model) 잔향음 모의 신호 및 실측 잔향음 신호와 비교하였으며, 비교 결과 GSM보다 L-HYREV 모델이 저주파 잔향음 예측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w-frequency mono-static reverberation model for shallow-water environment is present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transmission loss model to calculate the sub-bottom interaction because the ray-based transmission loss model is difficult to compute the pressure accurately which penetrate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거 리와 시간의 사상에 따른 오차를 제거하고, 고유음선을 계산시 전달손실에 퇴적층 내 상호작용에 대한 음선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PE (parabolic equation)를 이용한 전달손실을 보정하는 음선 이론과 음파이론을 병합하는 새로운 천해 단상태 저주파 잔향음 모델 (L-HYREV: Low-frequency mono-static HanYang univ. REVerberation model)을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거 리와 시간의 사상에 따른 오차를 제거하고, 고유음선을 계산시 전달손실에 퇴적층 내 상호작용에 대한 음선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PE (parabolic equation)를 이용한 전달손실을 보정하는 음선 이론과 음파이론을 병합하는 새로운 천해 단상태 저주파 잔향음 모델 (L-HYREV: Low-frequency mono-static HanYang univ. REVerberation model)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거리독립 저주파 잔향음 예측 모델인 L-HYREV를 개발하였다. 해양환경을 고정시킨 후 잔향음 준위를 비교한 결과, RAM을 이용하여 해저 내 상호작용을 고려한 잔향음 준위가 GSM의 모의신호보다는 LWAD Exercise 99T의 실측자료와 시간이 지날수록 비교적 경향이 일치함을 알 수 있다.

가설 설정

  • 그림 6은 L-HYREV 모델과 GSM 모델 그리고 LWAD Exercise 99-1 실측자료의 잔향음준위를 비교한 것이다' 원활한 비교를 위해서 수직축을 달리 했는데, L-HYREV 모델과 GSM 모델의 잔향음준위에 대한수직축은 왼쪽을 사용하며, 오른쪽 수직축은 실측자료에 대한 축이다. 또한 실측값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 모델의 음원준위는 215 dB로 가정하였으며, 이것은 대부분의 선체부착소나 (hull-mounted SONAR)의 음원준위에 해당되는 것이다. GSM과 L-HYREV의 음원준위를 달리한다 하더라도 선체부착 소나의 음원준위의 예측치 차이가 크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그림에서와 같이 잔향음준위는 비슷한 양상을 나타낸다.
  • 주파수는3,500 Hz, 펄스길 이 (pulse length)는 500 msec 그리고 풍속은 5 kts이다. 또한 음원준위는 일반적인 능동소나의 평균값을 고려하여 215 dB을 가정했다. RAM에서 해저 퇴적층에서의 상호 작용을 계산하기 위한 지음향인자는음속이 1650m/s이고 밀도는 1.
  • 주파수는3,500 Hz, 펄스길 이 (pulse length)는 500 msec 그리고 풍속은 5 kts이다. 또한 음원준위는 일반적인 능동소나의 평균값을 고려하여 215 dB을 가정했다. RAM에서 해저 퇴적층에서의 상호 작용을 계산하기 위한 지음향인자는음속이 1650m/s이고 밀도는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