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주파 해수면 생성 배경소음 모델과 응용
Mid-high frequency ocean surface-generated ambient noise model and its applications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5 no.5, 2016년, pp.340 - 348  

이근화 (세종대학교 국방시스템공학과) ,  성우제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수면 생성 배경소음에 대한 코히런스함수를 계산하기 위한 음선 기반 모델은 거리와 방위각에 대한 이중적분의 형태를 띤다. 이를 수치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이론적인 고려사항은 본 저자들의 과거의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되었으나, 해양 환경에서의 수치 해석은 수행된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천해와 심해 환경에서 수치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코히런스함수는 해저 퇴적층음속에 의존하며, 심해보다는 천해에서 해저 퇴적층음속에 민감하다는 것을 보였다. 비슷한 경향이 수신기 쌍의 자세가 변하는 경우에도 관찰된다. 추가적으로 소음수신각에 대한 소음인텐서티를 표현하기 위한 후처리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 기술은 Harrison의 준해석적 모델과 비교할 때, 출력 자료의 형식에 대한 음선 기반 모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y-based model for the calculation of the ocean surface-generated ambient noise coherence function has the form of double integral with respect to a range and a bearing angle. While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bout its numerical implementations was partly given in the past work of authors, the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으로부터 1 kHz에서 20 kHz의 중고주파 소나에서 사용가능한 중고주파 음선기반모델을 유도하고 근사해석을 수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Lee와 Seong의 소음코히런스함수에 대한 일반적인 공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해양환경에 대해 수치해석을 수행했다.
  • 그래서 소나배열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해양소음의 방향성을 보여주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음선기반모델의 산출결과에 대한 후처리를 통해 해양소음의 방향성을 도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고주파 해수면 배경소음 예측모델 소개했다. 또한 해당 모델을 수치적으로 구현할 때의 고려사항에 대해 서술하고 천해 및 심해 환경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했다.
  • 본 절에서는 천해와 심해에서 해저퇴적층의 음속이 달라질 때 코히런스함수의 변화를 관찰했다. 천해는 수심 60 m의 Pekeris 도파관을 가정했고, 심해는 수심 2000 m의 동해여름음속을 갖는 해양환경을 가정했다.
  • 우선 청음기 쌍의 자세각의 변화에 따른 특성을 살펴본다. Fig.

가설 설정

  • (2)에서 r에 대한 적분은 수신 각인 θr에 대한 적분으로 치환 할 수 있을 것이다.
  • 2는 Pekeris 도파관의 환경에서 청음기 쌍의 자세각과 d/λ에 따른 코히런스함수의 변화를 그린 것이다. Pekeris 도파관은 수심 100 m의 진흙퇴적층으로 가정했고, 청음기 쌍은 수심 30 m에 놓여있다고 생각했다. Fig.
  • 또한, 해수면 소음원은 해수면에 가까운 수심에 분포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 결과로서 해수면 소음원에서 상향되는 음장과 하향되는 음장은 마치 하나의 dipole 음장처럼 거동한다고 가정했다. 물론 수식 상으로는 굳이 dipole 음원으로 취급하지 않고 monopole 음원으로 취급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 본 절에서는 천해와 심해에서 해저퇴적층의 음속이 달라질 때 코히런스함수의 변화를 관찰했다. 천해는 수심 60 m의 Pekeris 도파관을 가정했고, 심해는 수심 2000 m의 동해여름음속을 갖는 해양환경을 가정했다. 해저퇴적층은 진흙, 모래, 굵은 모래로 가정했으며, 각각의 음속은 1490 m/s, 1690 m/s, 1890 m/s이다.
  • 천해는 수심 60 m의 Pekeris 도파관을 가정했고, 심해는 수심 2000 m의 동해여름음속을 갖는 해양환경을 가정했다. 해저퇴적층은 진흙, 모래, 굵은 모래로 가정했으며, 각각의 음속은 1490 m/s, 1690 m/s, 1890 m/s이다. 해저 퇴적층 감쇠계수는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파수 영역의 코히런스함수에도 해양소음간섭법에서 개척한 여러 응용분야들을 적용할 수 있는 이유는? 최근 미국에서는 해양소음간섭법[9]을 발전시켜 지음향 역산이나 음향측심에 활용하고 있다. 해양소음간섭법에 사용하는 소음교차상관함수는 본 연구주제인 코히런스함수와 푸리에 변환 쌍을 이룬다. 따라서 주파수 영역의 코히런스함수에도 해양소음간섭법에서 개척한 여러 응용분야들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해양배경소음의 발생 원인은? 해양배경소음은 난류에 의한 변동, 선박 항행, 해양 생물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1] 중고주파수 소나에서 관심 있는 대역인 1 kHz 이상의 영역에서는 해양파에 의한 해수면 소음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양파에 의한 해수면 소음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주파수 대역은? 해양배경소음은 난류에 의한 변동, 선박 항행, 해양 생물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1] 중고주파수 소나에서 관심 있는 대역인 1 kHz 이상의 영역에서는 해양파에 의한 해수면 소음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 해양파에 의한 해양배경소음의 에너지는 대부분 해수면 근처의 넓은 영역에서 해양파에 의한 기포의 생성과 소멸에 의해 생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W. M. Carey and R. B. Evans, Ocean Ambient Noise: Measurement and Theory (Springer, New York, 2011), pp. 1-9. 

  2. P. Ferat and J. Arvelo, "Mid to high-frequency ambient noise anisotropy and notch-filling mechanisms," in Proc. HFOAC, 497-507 (2004). 

  3. M. J. Buckingham, "On the two-point cross-correlation function of anisotropic, spatially homogeneous ambient noise in the ocean and its relationship to the Green's function," J. Acoust. Soc. Am. 126, 3562-3576 (2011). 

  4. F. B. Jensen, M. B. Porter, W. A. Kuperman, and H. Schdmidt, Computational Ocean Acoustics, 2nd Edition (Springer, New York, 2011), pp. 661-704 and 147-148. 

  5. B. F. Cron and C. H. Sherman, "Spatial correlation functions for various noise models," J. Acoust. Soc. Am. 34, 1732-1736 (1962). 

  6. C. H. Harrison, "Formulas for ambient noise level and coherence," J. Acoust. Soc. Am. 99, 2055-2066 (1996). 

  7. K. Lee and W. Seong, "Ray-based model for spatial coherence of ocean surface-generated noise and its approximation in a triplet array," IEEE J. Ocean. Eng. to be published. Available: http:/dx.doi.org/10.1109/JOE.2016.2550280. 

  8. D. R. Barclay and M. J. Buckingham, "The depth-dependence of rain noise in the Philippine Sea," J. Acoust. Soc. Am. 133, 2576-2585 (2013). 

  9. L. A. Brooks and P. Gerstoft, "Ocean acoustic interferometry," J. Acoust. Soc. Am. 121, 3377-3385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