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에 노출하여 치사시킨 어류의 해수저장 중 선도변화
Effect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 on the Quality Changes of Fish during Storage in Seawater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17 no.4, 2002년, pp.193 - 200  

김지회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위생과) ,  이희정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위생과) ,  김태진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유현덕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김풍호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위생과) ,  박정흠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로 폐사한 어류를 식품원료나 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방어(Seriola quinqueradiata),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등 양식어류 3종을 이 적조에 노출하여 치사시켰다. 이 치사어류를 동 적조수에 저장하면서 저장시간에 따른 생균수, 휘발성염기질소 및 관능적 변화 등을 공기 중에서 질식시킨 후 신선한 해수에 저장한 어류와 비교하였다. 시험어 근육중 생균수는 저장 6시간 이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휘발성염기질소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치사 후 해수에 저장된 각 시험어 근육중 휘발성염기질소 및 생균수 함량의 변화는 적조해수에서 치사.저장한 시험구가 공기 중에서 질식시킨 대조구보다 약간 빠른 증가 경향을 보였으나, 시험구와 대조구간의 관능적 변화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적조로 폐사한 어류 3종을 해수에 저장하였을 때 12시간이 경과하여도 근육에서 초기 부패단계의 기준인 VBN 30 mg/100g 및 생균수 $10^{5}$ CFU/g을 초과하지는 않았으나 관능적 변화는 6시간 이후에는 변화가 나타나 적조 폐사어는 6시간 이내에 처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species of fish such as yellow tail (Seriola quinqueradiata),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and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were exposed to the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and quality changes of fish after death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extended stor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 어류는 모두 폐기하고 있어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폐사어를 식품이나 사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먼저 적조폐사어의 위생안전에 관한 문헌적 고찰을 한다.
  • 본 연구는 C. polykrikoides 적조로 폐사한 어류를 식품 원료나 사료로의 이용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양식어류를 이 적조에 노출하였을 때의 반응과, 적조로 폐사한 어류를 해수에 저장하였을 때 시간경과에 따른 생균수, 휘발성 염기 질소 및 관능적 변화 등 선도변화를 시험하였다.
  •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적조원인종 C. polykrikoides 혹은 같은 속(genus)의 다른 종이 인체에 유해한 독성물질을 생성하는지, 적조 폐사어의 이용 예가 있는지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일본에서는 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학균, 이삼근, 안경호, 윤성화, 이필용, 이창규, 조은섭, 김정배, 최희구, 김평중: 한국 연안의 적조. 국립수산진흥원, 280 pp. (1997) 

  2. 김학균, 정창수, 임월애, 이창규, 김숙양, 윤성화, 조용철, 이삼근: 한국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과 변천. 한수지, 34, 691-696 (2001) 

  3. Yuki, K. and Yoshimatsu, S.: Two fish-killing species of Cochlodinium from Harima Nada, Seto Inland Sea, Japan. In Red Tide: Biology, Environmental Science, and Toxicology (Okaichi, T., Anderson, D.M. and Nemoto, T. eds.), Elsevier, New York, pp. 451-454 (1989) 

  4. Qi, D., Huang, Y. and Wang, X.: Toxic dinoflagellate red tide by a Cochlodinium sp. along the coast of Fujian, China. In Toxic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ea (Smayda, T.J. and Shimizu, Y. ed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V., Amsterdam, pp. 235-238 (1993) 

  5. Rosales-Loessener, F., Matsuoka, K., Fukuyo, Y. and Sanchez, E.H.: Cysts of harmful dinoflagellates found from Pacific coastal waters of Guatemala. In Harmful and Toxic Atgal Blooms (Yasumoto, T., Oshima, Y. and Fukuyo, Y. eds.),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of UNESCO, pp. 193-195 (1996) 

  6. Guzman, H.M., Cortes, J., Glynn, P.W. and Richmond, R.H.: Coral mortality associated with dinoflagellate blooms in the eastern Pacific (Costa Rica and Panama). Mar. Biol., 60, 299-303 (1990) 

  7. 최희구, 김평중, 이원찬, 윤성종, 김학균, 이흥재: 황토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종의 제거효과. 한수지, 31, 109-113 (1998) 

  8. 박영태, 박지빈, 정성윤, 송병철, 임월애, 김창훈, 이원재 : 적조생물 살조세균 탐색. I. 유해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des 살조세균 Micrococcus sp. LG-l의 분리와 살조특성. 한수지, 31, 767-773 (1998) 

  9. 이 종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조체의 생리활성 성분. 한수지, 29, 165-173 (1996) 

  10. Kim, C.S., Bae, H.M., Yun, S.J., Cho, Y.C. and Kirn, H.G.: Ichthyotoxicity of a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Aspect of hematological responses of fish exposed to algal blooms. J. Fish. Sci. Tech., 3, 111-117 (2000) 

  11. Kim, C.S., Lee, S.G. and K-im, H.G.: Biochemical responses of fish exposed to a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J. Exp. Mar. Biol. Ecol, 254, 131-141 (2000) 

  12. Onoue, Y. and Nozawa, K-.: Zinc-bound PSP toxins separated from Cochlodinium red tide. In Mycotoxins and Phycotoxins '88 (Natori, S., Hashimoto, K. and Ueno, Y. eds.), Elsevier, Amsterdam, pp. 359-366 (1989) 

  13. 橋本芳郎:魚貝類の毒. 學會出阪センタ-, 東京, 377pp (1983) 

  14. 장동석, 김영만, 김영목, 김지회, 목종수, 박미연, 박욱연, 성희경 , 신일식 , 오은경 , 이명숙, 이원동, 이태식 , 이희정 , 조학래, 최종덕, 허성호: 수산식품위생학. 도서출판 정명당, 부산, pp. 93-148 (2000) 

  15. A.P.H.A.: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water and Shellfish, 4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 New York, 105 pp. (1970) 

  16. 厚生省生活?生局:食品?生檢査指針 理化學編. 社團法人 日本食品街生協會, 東京, pp. 269-271 (1991) 

  17. 박영호, 장동석, 김선봉: 수산가공이용학. 형설출판사, 서울. pp. 399-408 (1995) 

  18. Taylor, F.J.R.: Toxic dinoflagellates: Taxonomic and biogeographic aspects with emphasis on Protogonyaulax. In Seafood Toxins (Ragelis, E.P. ed.), ACS Symposium Series 262,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PP. 77-97 (1984) 

  19. Taylor, F.J.R.: The taxonomy and relationship of red tide flagellates, In Toxic Dinoflagellates (Anderson, D.M., White, A.W. and Baden, D.G. eds.), Elsevier, New York, pp. 11-26 (1985) 

  20. 內山均, 鉛木たね子, 江平重男, 野口榮三郞: ヒラメ·カツオの氷藏中における鮮度低下に關する生化學的硏究. 日本誌, 32, 280-285 (1966) 

  21. 岩本宗昭:致死條件と貯藏溫度. In 魚類の死後硬直 (山中英明 編), 恒星社厚生閣, 東京, pp. 74-82 (1991) 

  22. 藤井建夫: 鮮위と微生物. In 魚介類の鮮度判定と品質保持(渡邊悅生 編), 恒星社厚生閣, 東京, pp. 64-81 (1995) 

  23. Ehira, S.: A biochemical study on the freshness of fish. Bull. Tokai Res. Fish. Res. Lab., 88, 1-132 (1976) 

  24. Shewan, J.M.: The microbiology of sea-water fish. In Fish as Food, Vol. 1. Production, Biochemistry, and Microbiology (Borgstrom, G. ed.), Academic Press, New York, pp. 487-560 (1961) 

  25. 高瀨 明, 尾藤方通: 保健?生の硏究と進步, 水産食品の腐敗と中毒. 績文堂出版株式會社, 153 pp. (1959) 

  26. Sugahara, I., Kimura, T., Hayashi, K. and Tahara, T.: Bacterial flora and effect of lytic enzyme on bacterial growth in mackeral muscle during storage. Nippon Suisan Gakkaishi, 54, 1195-1198 (1988) 

  27. 이태식, 이희정, 김지회, 박정흠: 수산물 저장중의 Vibrio vulnificus 균수변화. 국립수산진흥원연구보고, 55, 145-150 (1999) 

  28. 淸水 潮: 微生物と食品. in 食品微生物學 - 食品衛生の立場から (相磯和嘉 監修), 醫齒藥出版株式會社, 東京, pp. 207-243 (1976) 

  29. 內山 均, 江平重男, 小林 宏, 淸水 亘: 揮發性鹽基, トリメチルアミン, ATP 關連化合物の魚類鮮度判定法としての測定意義. 日水誌, 36, 177-187 (1970) 

  30. Romalde, J.L., Barja, J.L. and Toranzo, A.E.: Vibrios associated with red tides caused by Mesodinium rubrum. Appl. Environ. Microbiol, 56, 3615-3619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