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드뮴 오염 토양에 Phytoremediation의 적용 가능성 연구
A Study of the Potential for Phytoremediation of Cd Contaminated Soil 원문보기

한국생태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v.25 no.5 = no.109, 2002년, pp.315 - 320  

백경화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과) ,  장윤영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배범한 (경원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이인숙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저귀(Abutilon avicennae)를 이용한 식물상 복원공법의 가능성과 카드뮴이 식물의 성장에 미치는 독성효과, 오염물과 식물유무에 따른 토양미생물의 활성변화, 카드뮴의 식물체내와 토양에서의 거동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뿌리의 생체량은 90일 후 대조구에 비해 약 4배정도 저해를 받았으며, 지상부의 길이 생장 또한 대조구에 비해 약 3배정도 저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내 카드뮴의 축적은 50일째 뿌리> 줄기> 잎의 순서로 축적을 나타냈으나, 90일이 경과된 후 카드뮴 축적은 뿌리>줄기>종자>잎으로 지상부 부분의 카드뮴이 잎에서 종자로 전이가 일어난 것을 볼 수 있다. 카드뮴 오염 유무에 상관없이 식물구는 무식물 구에 비해 미생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고 컬럼 하층부로 내려갈수록 감소하였다. 토양에서의 카드뮴 이동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초기 가용성 카드뮴의 3.5%가 식물체내로 이동하였음이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to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cadmium was studied using Indian mallow (Abutilon avicennae) in columns packed with 80 mg Cd/kg soil. At 90 days after transplat, root biomass of the exposed plants was 4 times more inhibited compared to the control. Also, shoot length of the exposed pla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8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드뮴과 식물유무에 따른 토양미생물의 활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탈수소화효소의 활성도를 INK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식물 유무에 따른 미생물 활성도는 식물이 존재할 때가 식물이 존재하지 않을때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뿌리밀도가 높은 상층부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장 등(2001)이 선별한 카드뮴에 내성이 강한 어저귀를 대상으로 현장조건을 모사한 온실에 설치한 컬럼에 카드뮴으로 인위오염시킨 토양을 채우고 어저귀을 적용하여 카드뮴의 농도변화를 관측함으로써 식물상 복원공법이 토양내 카드뮴 제거 및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현아, 배범한, 장윤영, 이인숙. 2002. 철광산 및 포사격장 식물의 중금속 제거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5: 7-14 

  2. 장주연, 장윤영, 배범한, 이인숙. 2001. 수종야초류의 카드뮴 내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4: 309-323 

  3. 조도순, 김준호. 1995. 수종 초본 식물의 중금속 내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8:147-156 

  4. Baker, A. J., R. D. Reeves and A. S. M. Hajar. 1994. Heavy metal accumulation and tolerance in British population of the metallophyte Thlaspi caerulescens J & C. Presel (Brassicaceae). New Phytol. 129: 61-68 

  5. Cunningham, S. D. and W. O. David. 1996. Promises and prospects of phytoremediation. Plant Physiol. 110: 715-719 

  6. Degraeve, N. 1981. Carcinogenic, teratogenic and mutagenic effects of cadmium. Mutat. Res. 86: 115-135 

  7. Glass, D. J. 2000. Economic potential of phytormediation: Using plants to clean up the environment. In I. Raskin and B. D. Ensley(eds.), Phytoremediation of toxic metals. John Wiley & Sons, Canada. pp. 15-31 

  8. Grill, E., E. L. Winnacker and M. H. Zenk. 1985. Phytochelatins: The principle heavy metal complexing peptides of high plants. Science 230: 674-676 

  9. Kang, B. H., S. G. Kee, K. H. Kim and I. M. Jung. 1998. Evaluation of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mbrosia trifida, Rumex crispus for phytoremediation of Cu and Cd contaminated soil. Kor. J. Weed Sci. 18: 262-267 

  10. Khan, S. and N. N. Khan. 1983. Influence of lead and cadmium on the growth and nutrient concentration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and egg-plant (Solanum melongena). Plant Soil. 74: 387-394 

  11. Loch, R. and K. I. Kohl. 1999. Plant respiration under the influence of heavy metals. In M.N.V. Prasad and J. Hagemeyer (eds.), Heavy metal stress in plants. Springer Verlag. Berlin. Heidelberg, pp. 139-156 

  12. Prasad, M.N.V. 1999. Ecophysiology of plant growth under heavy metal stress. In M.N.V. Prasad and J. Hagemeyer (eds.) Heavy metal stress in plants. Springer Verlag, Berlin. pp. 157-181 

  13. Salt, D. E., R. D. Smith and I. Raskin. 1998. Phytoremediation. Annual.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 49: 643-668 

  14. Schaefer, K. W. and F. Boeren. 1997.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expertize in registration, investigation, assessment, and clean-up of contaminated military sites. Research Project No. 10340102/01 UBA-FB 97-012/e Federal Environmental Agency 

  15. Trevor, J. T., J. Mayfield and W. E. Inniss. 1982. Measurement of electron transport system(ETS) activity in soil. Microbiol. Ecol. 8: 163-168 

  16. Wagner, G. J. 1993. Accumulation of cadmium in crop plants and its consequences to human health. Adv. Agron. 51: 173-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