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Hoeya river(Ulsan)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01. The taxa of phytoplankton identified included 135 species, 5 divisions, 33 families and 82 genera. Among them, chrysophyta(diatoms) were 63 species(46.7%), chlorophy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Hoeya river(Ulsan)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01. The taxa of phytoplankton identified included 135 species, 5 divisions, 33 families and 82 genera. Among them, chrysophyta(diatoms) were 63 species(46.7%), chlorophyta(green algae) 47 species(34.8%), pyrrophyta(dinoflagellates) 13 species(9.6%), cyanophyta (cyanobacteria) 8 species(5.9%) and euglenophyta(euglenoids) 4 species(3.0%) respectively. Ecological important species is called frequently appearing species, red tide causative species, seawater species and pollution indicator. 22 species including Aulacoseira granulate were recorded frequently appearing species. 19 species including Ceratium furca were recorded as red tide causing species. And the pollution indicators were 33 species including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 The highest standing crops were 3,103,441 cells/$\ell$ in August at the RW-1 and the lowest 1,245 cells/ $\ell$ in January at the RW-5. In the community analysis, the dominanance indices ranged from 0.34(October, RW-2) to 0.94(January, RW-1) and the diversity indices from 0.50(May, RW-2) to 2.57(September, RW-2). The saprobic indices were 2.43 in RW-1, 2.41 in RW-2, 2.375 in RW-3, 2.40 in RW-4, 2.43, in RW-5. Therefore, these areas were investigated "$\beta$-mesosaprobic". According to the similarity index among the stations, these areas were defined as residential district areas(RW-2 and RW-3), lower part of the dam (RW-1) and seawater areas(RW-4 and RW-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Hoeya river(Ulsan)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01. The taxa of phytoplankton identified included 135 species, 5 divisions, 33 families and 82 genera. Among them, chrysophyta(diatoms) were 63 species(46.7%), chlorophyta(green algae) 47 species(34.8%), pyrrophyta(dinoflagellates) 13 species(9.6%), cyanophyta (cyanobacteria) 8 species(5.9%) and euglenophyta(euglenoids) 4 species(3.0%) respectively. Ecological important species is called frequently appearing species, red tide causative species, seawater species and pollution indicator. 22 species including Aulacoseira granulate were recorded frequently appearing species. 19 species including Ceratium furca were recorded as red tide causing species. And the pollution indicators were 33 species including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 The highest standing crops were 3,103,441 cells/$\ell$ in August at the RW-1 and the lowest 1,245 cells/ $\ell$ in January at the RW-5. In the community analysis, the dominanance indices ranged from 0.34(October, RW-2) to 0.94(January, RW-1) and the diversity indices from 0.50(May, RW-2) to 2.57(September, RW-2). The saprobic indices were 2.43 in RW-1, 2.41 in RW-2, 2.375 in RW-3, 2.40 in RW-4, 2.43, in RW-5. Therefore, these areas were investigated "$\beta$-mesosaprobic". According to the similarity index among the stations, these areas were defined as residential district areas(RW-2 and RW-3), lower part of the dam (RW-1) and seawater areas(RW-4 and RW-5).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주요 구 성종과 양적 변화를 조사하여 수환경의 현황을 파 악함으로서 회야강의 수질 환경 보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회야강의 지역적 특성을 감안하여 5개의 조사 정 점(RW-1 〜RW-5)을 설정하였다. 회야댐 수문 밑에서 회야하수처리장의 방류수와 섞이는 수역을 RW-1, 온산공장의 처리 수가 유입되는 수역을 RW-2, 덕신 주거단지의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수역을 RW-3, 남창천과 소량의 해수가 합류되는 수역을 RW-4, 다량의 해수가 유입되는 수역을 RW-5 라고 하였다(Fig.
회야강의 지역적 특성을 감안하여 5개의 조사 정 점(RW-1 〜RW-5)을 설정하였다. 회야댐 수문 밑에서 회야하수처리장의 방류수와 섞이는 수역을 RW-1, 온산공장의 처리 수가 유입되는 수역을 RW-2, 덕신 주거단지의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수역을 RW-3, 남창천과 소량의 해수가 합류되는 수역을 RW-4, 다량의 해수가 유입되는 수역을 RW-5 라고 하였다(Fig. 1).
생물학적 시료는 현장에서 표층수를 채수하여 망목 10伽인 체 (sieve)로 여과한 다음, 농축시료 20成를 중성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여 최종농도가 3%가 되도록 하였다. 실험실로 운반된 고정된 시료를 DIC 현미경(BX50, Olympus)의 400〜1, 000배 하에서 검경하였고, 종 동정은 정叫 Whitford111, 鄭 ⑵, 水野切, 根來0, 山岸我1 그리고 수자원연구소的 등에 의하였다.
생물학적 시료는 현장에서 표층수를 채수하여 망목 10伽인 체 (sieve)로 여과한 다음, 농축시료 20成를 중성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여 최종농도가 3%가 되도록 하였다. 실험실로 운반된 고정된 시료를 DIC 현미경(BX50, Olympus)의 400〜1, 000배 하에서 검경하였고, 종 동정은 정叫 Whitford111, 鄭 ⑵, 水野切, 根來0, 山岸我1 그리고 수자원연구소的 등에 의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조사는 2000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울산 회야강의 5개 정점에서 매월 1회 실시하였다.
성능/효과
본 조사 기간 동안 울산 회야강에서 조사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5문 7강 17목 33과 82속 135종이었다. 이 중 규조류(diatoms)가 36속 63종(46.
본 조사 기간 동안 울산 회야강에서 조사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5문 7강 17목 33과 82속 135종이었다. 이 중 규조류(diatoms)가 36속 63종(46.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녹조류(green algae)가 29속 47종(34.8%), 와편모조류(dinoflagellates)가 8속 13 종(9.6%), 남조류(cyanobacterias)가 7속 8종(5.9%), 유글레나류(euglenoids)가 2속 4종(3.0%)으로 나타나 종 구성 비율에서 규조류가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Fig. 2).
본 조사지역인 회야강과 다른 국내의 강과 비교 해본다면, 밀양강”에서 206종류, 섬강'에서 205종 류, 금호강& 에서 203종류를 조사 보고하여 다른 강에서보다는 다소 적은 출현 종수를 보였다.
. 월별 출현 종수는 2000년 12월이 29종으로서 최저의 종수를, 2000년 9월이 82종으로서 최고의 종수로서 월별 차이가 컸다. 계절별로는 가을이 98종으로 최고를 나타내었고 여름, 봄, 겨울의 순이었다.
정점별 출현종수는 RW-1 에서 66종으로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RW-5에서 43종으로 가장 적은 출 현종 수를 보여 약간의 지역 간'차이는 보였지만 대상 지역의 종적인 분포 특성은 없었다(Fig. 3). RW-1 을 제외하고는 다른 정점에서 모두 겨울철에 적은 출현 종수를 여름과 가을철에 많은 출현종수를 보였 다.
3월부터 꾸준하게 현존량을 유지하다가 7월에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에 최고의 현존량을 보이고 9월부터 서서히 감소하여 1월에 최저의 현존량을 보였다. 정점별로 보면 생활하수의 집적으로 많은 오염이 예상되었던 RW-3가 다른 정점들에 비해 매월 높은 현존량으로 줄현을 하여 예상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8월에 RW-1 에서 최고의 현존량을 보인 것은 여름철에 대량으로 번식하여 수자원 측면에서나 기타 다른 문제점들을 야기시키고 있는 Microcystis 종들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8%)A 최고 우점종,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A3.3%)A 2차 우점종이었으며 겨울에도 역시 Oscillatora tenuis (43%) 가 최고 우점종, Phormidium 伝门庞(24%)가 2차 우점종이었다.
angustissima, Chlorella vulgaris, Melosira varians, Nitzschia spp., Pandorina morum, Scenedesmus quadricauda 등 6속 6종이었다. 해수 종은 Achnanthes longipes 등 20속 31종이었으며, 오수지표종은 Actinastrum hant^schii var.
94)였다. 정점별로는 RW-1 에서 0.35(7월)〜0.94(1월), RW-2에서 0.34(10월)〜0.93(5월), RW-3에서 0.48(4월)〜0.87(2월), RW-4에서 0.49(9월)〜0.93(6월), RW-5에서 0.41(8월)~0.86(9월)의 범위였는데 가을철인 10월에 소수 종에 의한 우점보다는 다수의 종들이 출현하여 다른 달에 비해 우점도가 떨어진 것으로 생각되며 월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정점별로는 별 차이가 없는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57(RW-2)였다. 본 조사에서는 봄보다는 가을에 다양한 종들이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고 정점 별로는 RW-1 에서 0.52(1월)〜2.49(7월), RW-2에서 0.5(5월)〜 2.57(9월), RW-3 에서 0.94(3월)〜 2.21(9월), RW-4 에서 0.67(6월)〜 2.34(9월), RW-5 에서1.0(7월)〜2.47(8월)의 범위였는데 대부분 9월에서 최고의 종다양도를 기록했다. RW-2와 RW-5에서 매월 다소 높은 종다양도를 보여 다른 정점들에 비해 비교적 안정된 생태계로 예상되어졌으며 생활하수로 인한 많은 오염이 예상되었던 RW-3는 다른 정점들에 비해 현존량이 높았던 것과는 달리 종다 양도는 평이한 수준으로 나타났다(Table 2).
47(8월)의 범위였는데 대부분 9월에서 최고의 종다양도를 기록했다. RW-2와 RW-5에서 매월 다소 높은 종다양도를 보여 다른 정점들에 비해 비교적 안정된 생태계로 예상되어졌으며 생활하수로 인한 많은 오염이 예상되었던 RW-3는 다른 정점들에 비해 현존량이 높았던 것과는 달리 종다 양도는 평이한 수준으로 나타났다(Table 2).
본 조사 기간 동안 출현한 오염 지표종은 총 33종이었으며, 6-중부수성 지표종이 21종(63.6%)이었고,。■■중부수성 지표종이 9종(27.3%) 그리고 강 부수성 지표종이 3종(9.1%)으로 나타났으며 빈부 수성 지표종은 본 조사 기간 동안 조사되지 않았다. 이에 따른 오탁지수(saprobic index)는 RWT이 2.
그러나, a-중부수성 지표종이 9종이나 출현하고, 律田2时에 의한 강 부수성 수역에서 출현하는 종도 Euglena proximo, Nitzschia palea, Oscillatoria tenuis 등 3종이나 출현하여 이 수역의 수질이 갈수록 악화되 어가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해 준다. 강 부수성 지표종 3 종중 Euglena proximo RW~2와 RW-3에서 비교적 출현 빈도가 높았고 Nitzschia palea는 RWT에서 높았으며 Oscillate)- ria tenuis는 모든 정점에서 출현하였다.
정량자료를 이용하여 정점 간 유사도를 구한 유사도 지수에 의한 집괴분석의 결과, 크게 세 그룹 즉, RW-1 이 한 그룹, RW-2와 RW-3이 한 그룹, RW-4 와 RW-5가 한 그룹으로 구분되어졌다(Fig. 6). 이와 같은 결과는 RW-2와 RW-3의 경우, 주거지역으로 생활하수가 많이 배출되는 곳이고, RW-4와 RW-5 의 경우는 해수가 유입되는 곳이기 때문이라 사료 된다.
생태학적 중요성을 가진 종으로는 출현빈번종이 Aulacoseira granulata 등 17속 22종이었고 해 수종은 Achnanthes longipes 등 20속 31종이었으며, 오 수지표종은 Actinastrum hmtzschii var. fluviatile 등 28속 33종이었고 적조 원인종은 Ceratium furca 등 18속 19종이었다.
57(RW-2)였다. 오염지표 종은 총 33종으로 8-중부수성 지표종이 21종 (63.6%)이었고, a-중부수성 지표종이 9종(27.3%) 그리고 강 부수성 지표종이 3종(9.1%)으로 나타났으며 빈부 수성 지표종은 본 조사 기간 동안 조사되지 않았다. 오탁지수(saprobic index)는 평균 2.
4로 중부수성에 해당하였다. 유사도 지수에 의한 집괴분 석의 결과, 크게 세 그룹 즉, RW-1 이 한 그룹, RW-2와 RW-3가 한 그룹, RW-4와 RW-5가 한그 룹으로 구분되어졌다.
43으 로 나타나 모두 6-중부수성에 해당하였다. 그러나, a-중부수성 지표종이 9종이나 출현하고, 律田2时에 의한 강 부수성 수역에서 출현하는 종도 Euglena proximo, Nitzschia palea, Oscillatoria tenuis 등 3종이나 출현하여 이 수역의 수질이 갈수록 악화되 어가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해 준다. 강 부수성 지표종 3 종중 Euglena proximo RW~2와 RW-3에서 비교적 출현 빈도가 높았고 Nitzschia palea는 RWT에서 높았으며 Oscillate)- ria tenuis는 모든 정점에서 출현하였다.
후속연구
출현빈번종인 Aulacoseira granulata 외 22종은 다른 강들에 서도 대부분 언급이 되 는 종들로서 輩 3) 이후 이들의 계속적인 조사가 이루어져 할 것으로 판단되고 이들의 변화양상을 계속하여 주시해 봄으로서 수질평가의 지표생물로서도 이용 가능하게 되 리라 사료된다.
참고문헌 (14)
Ryther, J. H., 1969, Photosynthesis and fish production in the sea, Science, 116, 72-76
정영호, 이경, 1978, 팔당댐 기수역의 식물성플랑크톤의 분류와 환경요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자연대학 논문집, 3(1), 97-129
유광일, 임병진, 1990, 한강하류계의 식물플랑크톤과 수질오염에 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3(4), 267-277
Whitfort, L. A and G. J. Schumacher, 1969, A manual of the fresh-water algae in North carolina, North carolina, Agric. Exp. Stat., Tech. Bull., 188, 313pp.
정준, 1994,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496pp
水野壽彦, 1977, 日本淡水ブランクトン圖鑑, 保育社, 353pp
根來健-郞, 1982, 琵琶湖のプランクトン, 滋賀縣立衛生環境七ンタ― -, 144pp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