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된 요인 분석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19 no.2, 2002년, pp.1 - 13  

전미영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  김명희 (세명대학교 간호학) ,  조정민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undergraduate students thus providing the basic data necessary to establish a health promoting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2 undergraduate students, living in Seoul, Chung-Buk, and Ka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결과 밝혀진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가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며,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설명해주는 결정요인을 규명하고, 수정가능한 인지지각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대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를 개발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충북, 강원지역 일부 대학의 대학생으로 연구자의 편의에 따라 표출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을 통하여 건강증진을 촉구하기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해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문실, 김애경. 일부 여대생의 홉연경험에 관한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7; 27(2): 315- 328 

  2. 김미옥, 정은순. 일부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신체상에 관한 연구. 부산의대 학술지 1996; 36(2): 515-523 

  3. 김정회, 김현미, 송미령. 일개대학의 건강검진 결과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0;14(2): 260-270 

  4. 김혜숙, 최연순. 미혼 임부와 기혼 임부 건강증진행위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3; 23(2): 255-268 

  5. 김화중. 대학생의 건강관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6. 박경민, 권영숙, 김정남.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건강실천행위와 건강상태의 비교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96; 7(2): 257-264 

  7. 박영주 외 5명. 건강증진 행위 설명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2000; 30(4): 836-846 

  8. 박인숙.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간호학 박사학위 논문, 1995 

  9. 박재순.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증진 행위 모형 구축 여성건강 간호학회지 1996; 2(2): 257-284 

  10. 박현숙, 이가언. 일부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99; 10(2): 347-361 

  11. 박후남, 김명자. 여대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스트레스 및 우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0; 14(2): 318-331 

  12. 서문자. 편마비 환자의 퇴원 후 적응상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분석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1988 

  13. 서연옥.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구조 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14. 성미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1; 7(3): 317-330 

  15. 송영신, 이미라, 안은경.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7; 27(3): 541-549 

  16. 신혜숙. 여대생의 건강 통제위와 건강증진행위. 여성 건강간호학회지 1997; 3(2): 194-204 

  17. 염순교 외 7명.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98; 9(2): 1971 

  18. 오형석. 대학생과 건강. 대학보건 5th, 연세대학교 출판부. p.12-33, 1971 

  19. 윤은자.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이행. 성인간호학회지 1997; 9(2): 262-271 

  20. 이미라, 소희영, 송영신. 강인성이 건강증진행위, 신체 증상에 미치는 효과-여대생을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98; 9(1): 21-29 

  21. 이미라.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7; 27(1): 156-168 

  22. 이태화.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23. 임미영. 한국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모형 구축.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9 

  24. 장옥자, 정승교. 일부 대학생의 식생활 및 운동 양상.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0; 14(2): 415-430 

  25. 전정자, 김영화 성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비교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996; 8(1): 41-54 

  26. 최은숙. 일부 전문대생의 건강증진 행위와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건강관련학과와 비건강관련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한국응급구조학회 논문집 1998; 2(2): 36-46 

  27. Cohen, S., & Hoberman, H.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983; 13: 99-125 

  28. Johnson-Saylor, M. T. Psychosocial predictors of healthy behaviors in wom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1; 16(10): 1164-1171 

  29. Kobasa, S. C. Stressful life events, personality and health, an inquiry into hard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79; 37(1): 1-11 

  30. Kobasa, S. C., Maddi, S. R., & Kahn, S. Hardiness and health: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2; 42: 168-177 

  31. Lawton, M. P., Moss, M., Fulcomer, M., & Kleban, M. H.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1982; 37(1): 91-99 

  32. Pender, N. J.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 Norwalk, Conn: Appleton & Lange, 1982 

  33. Pender, N. J.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Norwalk, Conn: Appleton & Lange, 1982 

  34. Pollock, S. E. Adaptation to chronic illness: a program of research for testing nursing theory. Nursing Science Quaterly 1993; 6(2): 86-92 

  35. Pollock, S. E. The hardiness characteristics: a motivating factor in adaptation. Advanced Nursing Science 1989; 11(2): 53-62 

  36. Pollock, S. E. The stress responce. Critical Care Quaterly 1984; 6(4): 1-11 

  37. Pollock, S. E., & Duffy, M. E. The health related hardiness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analysis. Nursing Research 1990; 39(4): 218-2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