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중산소포화도검사를 이용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흡증의 진단
Diagnosi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Using Overnight Oximetry Measurement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9 no.1, 2002년, pp.34 - 40  

윤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박두흠 (청주성모병원 신경정신과) ,  최광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김용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우종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권준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하규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정도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일반인구의 $2{\sim}5%$ 정도에서 발견될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합병증이 심각해서 치료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진단에는 야간 수면다원검사가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지만, 숙련된 인력이 필요하고, 경제적인 부담이 커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수면무호흡증 선별을 위한 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인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다원검사에 비해 간편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혈중산소포화농도측정기를 이용하여 그 측정소견을 활용하면 수면무호흡증의 선별 진단이 가능한지를 연구하였다. 방 법 : 수면다원검사실에 의뢰된 환자들 중 무작위로 선정된 5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수면다원검사기기로 기록을 하면서 동시에 혈중산소포화농도측정기를 이용하여 혈중산소포화도 기록을 얻었다. 수면다원기록 판독은 국제 판독기준에 따랐다. 저하 지수(dip index), 동맥혈 혈중산소포화도 평균치(mean $SaO_2$), 그리고 CT90(혈중산소포화도가 90%이하인 수면 시간의 비율)을 이용하여 수면무호흡증의 진단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수면다원검사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혈중산소포화도에서 도출된 세기준에 따른 민감도, 특이도를 계산하였다. 결 과 : 전체 59명의 대상자 중에서 39명이 수면다원검사에 의해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되었다. 평균 호흡장애지수는 17.5 이었으며, 혈중산소포화도 평균치는 94.9%, 평균 CT90은 5.1%이었다. 저하 지수[$4%{\sim}4$초]가 호흡 장애지수(RDI)와 연관성이 가장 직선적으로 높았으며, 저하 지수[$4%{\sim}4$초]${\geq}2$일 때 0.95의 민감도와 0.71의 특이도를 보였다. 혈중산소포화도 평균치${\leq}97%$를 수면무호흡증의 진단 기준으로 할 경우 0.95의 민감도와 0.41의 특이도가 산출되었다. $CT90{\geq}5%$를 수면무호흡증의 진단 기준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0.28 이었으며 특이도는 1.00이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혈중산소포화농도측정기에서 얻어낸 저하 지수, 혈중 산소포화도 평균치, 그리고 CT90을 이용하여 수면다원검사를 대치해 수면무호흡증을 선별, 진단해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gold standard for diagnos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nocturnal polysomnography (NPSG). This is rather expensive and somewhat inconvenient, however, and consequently simpler and cheaper alternatives to NPSG have been proposed. Oximetry is appealing because of its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을 혈중산소포화도검사기를 사용해 구한 혈중산소포화도를 이용하여 선별 진단하고자 하였다. 저하 지수(dip index) 등 혈중산소포화도와 관련된 지수들을 이용하여 수면무호흡증의 진단 가능 여부를 고찰하였으며 결과를 수면다원검사의 결과와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혈중산소포화도를 이용한 저하 지수(dip index)를 고안하여 적용해 그 유용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혈중산소포화도가 평균치보다 4% 이상 떨어진 경우에그 지속 시간과 관계없이 다른 % 기준보다 호흡장애지수와의 연관성이 제일 높았다(r=0.
  • 그중 많은 관심을 끌었던 방법이 동맥혈의 혈중산소포화도를 이용하여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려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도 혈중산소포화농도측정기(oximetry)를 이용한 수면무호흡증의 진단 기법을 고안, 분석,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다원검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수면다원검사를 하면 반복적인 무호흡, 동맥혈 혈중 산소 포화도(SaO2, arterial oxygen saturation, 이하 혈중산소포화도)의 감소, 각성 그리고 수면분절이 관찰된다. 그러나 수면다원검사 판독에는 전문적인 수련을 거친 전문가가 필요하고, 검사 비용이 고가이며, 검사 시간이 장시간이어서 모든 환자에게 도움을 주지는 못하고 있다. 그래서, 지금까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여러 시도가 있 었다.
어떤 경우가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되는가? 증(OSA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이하 수면무호흡증)은 높은 유병율, 심각한 합병증,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한 점을 고려할 때 수면다원검사법의 도움을 받은 대표적 질환이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지속적인 호흡 노력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인 무호흡(10초 이상 무호흡이 지속되는 경우)과 저호흡이 한 시간에 5회 이상 관찰되는 경우 진단된다. 숙면의 어려움과 주간의 과도한 졸리움 등이 특징적 수면 증상이다(2).
혈중산소포화도를 이용한 저하 지수를 어떻게 설정했을 때 호흡장애지수와의 연관성이 가장 높았는가? 8299, 표 2). 특히 혈중산소포화도가 평균치보다 4% 이상 떨어진 경우가 4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저하 지수 [4%-4초])가 호흡장애지수와 연관성이 가장 높았다(r=0.861, p<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