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을 위한 영재 심화 교수-학습 모형과 그 적용
Search for the Model of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for Gifted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12 no.2, 2002년, pp.31 - 56  

조석희 (한국교육개발원) ,  강숙희 (한국교육개발원) ,  장영숙 (조선대학교) ,  정태희 (전주대학교) ,  이혜주 (한국교육개발원)

초록

영재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이 최대한 계발될 수 있으려면 그들의 특성에 맞는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영재들의 잠재적인 지적 능력을 학문적이고 전문적이며 성숙된 성취 수준으로 구현시킬 수 있는 영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교육과정의 내용과 성격을 잘 구현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cdot}$중등 영재들을 대상으로 하는 영재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영재 교수-학습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모형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영재 교수-학습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영재 교수-학습 모형은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심화학습에 적절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형을 적용하여 초${\cdot}$중등 자료를 개발하였고, 영재 심화 교수-학습 자료 모형의 활용방안과 영재 교수-학습 자료를 통해 영재교육이 보다 성공적으로 우리 교육에 정착되기 위해서 고려해야할 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viding gifted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differentiation, that is,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The gifted are known to be the fast learners with autonomous studying ability and high levels of thinking and creativity, which certainly d...

주제어

참고문헌 (26)

  1. 강숙희, 장영숙, 박숙희, 정태회, 임회준(2000).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초 ·중 영재학교/영재학급용. 수탁연구 CR2000-15.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 구자억, 조석회, 김홍원, 서혜애, 장영숙, 정태회 (2000). 영재 교육과정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 김경자, 김아영, 조석회 (1997).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교육과정연구, 15(2), 129-153 

  4. 김흥원, 김명숙, 송상헌(1996). 수학영재 판별도구 개발연구( I ). 연구보고 CR96-26. 한국교육개발원 

  5. 조석회, 윤여홍(1998). 조기진급 및 졸업제와 심화학습.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6. 장영숙, 조석회(2000). 창의성 신장을 위한 영재 심화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교사와 영재아의 평가 비교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33-53 

  7. 조석회, 오영주(1997). 영재 교육 정책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8. 조석회, 박경숙, 김홍원, 김명숙, 윤지숙(199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9. 조석회, 김흥원, 강숙희, 장영숙, 황홍규(1999). 영재교육진흥법 구현을 위한 영재교육 제도와 운영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0. Betts, G.(1985). The Autonomous Learner Model for the gifted and talented. Greeley, CO: Autonomous Learning Publications and Specialists 

  11. Coleman, L.J., & Cross, T.L.(2001). Being Gifted in. SchooI: An Introduction to Development, Guidance, and Teaching. Waco, Tex: Prufrock Press 

  12. Davis, S. M., Meyer, C., & Davis, S.(1999). Blur. New York: Warner Books 

  13. Dunn, R., Dunn, K. & Price, G. E. (1977). Diagnosing learning styles: avoiding malpractice suits against school systems. Phi Delta Kappan, 58(5), 418-420 

  14. Gardner, H.(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15. Lloyd, B. C., Seghini, J. B., & Stevenson, G. M.(1974). Igniting creative potential Ⅱ. Sandy, UT: Jordan School District 

  16. Parnes, S. J.(1988). Visionizing: State of the art processes for encouraging innovative excellence. East Aurora, NY: D.O.K 

  17. Renzulli, J. S., & Gable, R. K.(1976). A factorial study of the attitudes of gifted students toward independent study. The Gifted Child Quarterly, 20, 91-99 

  18. Renzulli, J. S., & Reis, S. M.(2000).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In K. Heller, F. J. Monks, R. J. Sternberg, R. F. Subotnik.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Pergamon 

  19. Renzulli, J. S., & Reis, S. M.(2000).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how-to guide for educational excellence.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20. Samara, J. & Curry, J.(1990). Writing units that challenge gifted students: A guidebook for & by educators. MA: Maine Educators of the Gifted and Talented 

  21. Sternberg, R. J.(1990). Metaphors of mind: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intelligence. New York: Viking 

  22. Sternberg, R. J., & Davidson, J. E.(1986). Conception of giftednes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Stevenson, G., Seghini, J. B., Timothy, K., Lloyd, B. C., Zimmerman, M. A., Maxfield, S., & Buchanan, J.(1971). Project implode: Igniting creative potential. Salt Lake City, UT: Bella-Vista-Institute for Behavioral Research in Creativity 

  24. Taylor, C. W.(1967). Questioning and creating: A model for curriculum reform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1), 22-23 

  25. Treffinger, D. J.(1975). Teaching for self-directed learning: A priori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The Gifted Child Quarterly, 19, 46-59 

  26. Williams, F. E.(1970). Classroom ideas for encouraging thinking and feeling (2nded.). Buffalo, NY: D.O.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