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제어 현장 적용성 실험
Application of Various Plants as an Inhibitor of Algal Growth: Studies in Barge Enclosure and Artificially Eutrophicated Pond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35 no.2 = no.98, 2002년, pp.123 - 132  

김상훈 (국립환경연구원 한강수질검사소) ,  전선옥 (국립환경연구원 한강수질검사소) ,  임병진 (국립환경연구원 한강수질검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공부영양화 실험실에서 조류를 대량 증식 시켜 초기세포수의 농도가 $10^4\;cells/ml$가 되게 한 후 잣잎, 솔잎, 은행잎은 각각 0.5 g/l를 투여하였고 애기마름은 0.3 g/l를 투여하여 조류제어 효과를 실험하였다. 그리고 북한강 인근의 바지선에 현장 조류제어 실험조를 설치하여 남조류(Microcystis)가 최대로 증식할 때 솔잎은 0.3 g/l를 투여하여 조류제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공실험지에서는 잣잎과 솔잎은 Chl-3와 조류세포수 모두 평균 65%의 억제 효율을 보여 비교적 양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은행잎은 Chl-a는 33%, 조류세포수는 55%로 잣잎과 솔잎에 비하여 조류제어 효과가 다소 감소하였다. 애기마름도 0.1 g/l와 0.3 g/l로 투여량과는 거의 상관없이 Chl-a늘 34%, 조류세포수는 $55{\sim}67%$의 조류증식 억제 효과를 보였다. 5현장 실험조에서는 초기 Chl-a농도는 $70{\sim}90\;{\mu}g/l$로 비교적 높은 농포를 보였으며 우점조류는 남조류인 Microcystis이었다. 솔잎은 Chl-a로보았을 때는 74%, 조류세포수는 83%의 조류제어효과를 보였다. 은행잎은 Chl-a로 보았을 때는 40%, 조류세포수는 65%로 솔잎 투여에 비해서는 조류 증식억제 효과가 감소하였다.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제어실칩 결과 솔잎이 현장에서 조류제어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투여량은 0.3 g/l가 이상적이며 다음이 잣잎 0.5 g/l가 비교적 양호한 효과를 보였다. 솔잎 투여량은 0.3 g/l에서 $70{\sim}80%$의 조류제어 효과를 나타내었고 독소량도 80%이상 제거되었다. 한편 은행잎과 애기마름은 조류제어 효과는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투여량은 추가적으로 실험을 더 수행해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식물체내 유기화합물 분석결과 조류제어에 효과가 있는 페놀 성분이 검출되었고 식물체 생태독성시험 결과 식물체 투여량은 $1{\sim}5\;g/l$가 적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in barge enclosure near Bukhangang area and arificially eutrophicated pond. Applied plants are three terrestrial plants (Big cone pine, Pine needles and Ginkgo) and one aquatic plant (Water chestnut). In the experiment pond, applied plants are big cone pine, pine 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 골프장 등에 조성된 소규모 인공 연못 및 호소내 유입 부영양화된 소하천 등에 적용하기 위하여 인위적 인공부영양화실험지를대상으로 조류제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호소내조류 대발생에 대한 수면제어 기술의 일환으로 팔당호인근 지점에서 바지선을 설치하여 바지선 내로 조류가발생한 호수물을 유입시켜 식물체를 투입시켜 조류 증식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하여 조류제어 최적 대상 식물체와 적정 농도 등을 산출하고자 연구하였다.
  • 식물체 혼합 투여 실험은 각각의 식물체를 혼합하여투여할 경우 일반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상승작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첫번째 실험조에는 솔잎과 은행잎을 혼합하여 2.
  •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제어 효과에 관한 연구는 임 등 (2000a) 이 팔당호 주위 에 자생 하는 애 기마름, 갈대 등의 수생식물과, 은행잎, 잣잎 등의 육상식물을이용해 실험실에서 조류제어효과를 비교하였으며, 특히습체식물과 건체식물로 구분하여 실험함으로서 분해시간 경과에 따른 조류제어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실험실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현장에서 조류증식 제어 실험을 수행하여 팔당호 중 조류증식 이 활발한 경안천 만입부 현장에서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제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임 등, 2000b). 본 연구에서는 이들 실험실 실험과 팔당호 현장 실험을 기초로 하여 조류 증식억제에비교적 효과가 좋았던 육상식물인 잣잎, 솔잎, 은행잎과수생식물인 애기마름 등 총 4종류의 식물체를 첨가하여현장에 적용하는 실험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들 실험실 실험과 팔당호 현장 실험을 기초로 하여 조류 증식억제에비교적 효과가 좋았던 육상식물인 잣잎, 솔잎, 은행잎과수생식물인 애기마름 등 총 4종류의 식물체를 첨가하여현장에 적용하는 실험을 하였다. 향후 골프장 등에 조성된 소규모 인공 연못 및 호소내 유입 부영양화된 소하천 등에 적용하기 위하여 인위적 인공부영양화실험지를대상으로 조류제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호소내조류 대발생에 대한 수면제어 기술의 일환으로 팔당호인근 지점에서 바지선을 설치하여 바지선 내로 조류가발생한 호수물을 유입시켜 식물체를 투입시켜 조류 증식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하여 조류제어 최적 대상 식물체와 적정 농도 등을 산출하고자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류재근 등. 1998. 팔당호 수질관리 특별대책 수립을 위한 오염 저감기술. 국립환경연구원. 175pp 

  2. 임병진, 박수영, 변명섭, 이철우, 임은숙, 윤승모. 1996. 수질오염 조기 감시를 위한 물벼룩독성경보장치 활용. 한국육수학회지 29: 119-131 

  3. 임병진, 정원화, 변명섭, 전선옥. 2000a.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증식억제 효과. 한국육수학회지 33: 136-144 

  4. 임병진, 정원화, 전선옥. 2000b. 경안천 현장실험조에서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 증식억제. 한국육수학회지 33: 304-310 

  5. Aliotta, G., M.D. Greca, P. Monaco, G. Pinto, A. Pollio, and L. Previtera. 1996. Potential allelochemicals from aquatic weeds: Their action on microalgae. In Allelopathy: Field observations and methodology. Eds. S. S. Narwal and P. Tauro, Scientific Publishres, Jodhpur. pp. 243-254 

  6. Barrett, P.R.F. and J.R. Newman. 1993. The control of algae with barley straw. PIRA Conf. Proceedings strawavaluable raw material. pp. 41-58 

  7. Barrett, P.R.F. 1994. Field and laboratory experiments on the effects of barley straw on algae. 1994 BCPC monograph No. 59: Comparing glasshouse and field pesticide performance II. pp. 191-200. 

  8. Everall, N.C. and D.R. Lees, 1997. The identification and significance of chemicals released from decomposing barley straw during reservoir algal control. Wat. Res. 31: 614-620 

  9. Gibson, M.T., I.M. Welch, P.R.F. Barrett, and I. Ridge. 1990. Barley straw as an inhibitor of algal growth II: Laboratory studies. J. applied Phycol. 2: 241-248 

  10. Harper, S.H.T. and J.M. Lynch. 1985. Colonization and decomposition of straw by fungi. Trans. Br. mycol. Soc. 85: 655-661 

  11. Hozuki, K., R. Okanishi, and H. Sugawara. 1960. Studies on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phytoplankton and rooted aquatic plants. Jap. J. Limnol. 21: 124-130. cited in Control of algal growth by macrophytes and macrophyte extracted bioactive compounds. Nakai, S., M. Hosomi, M. Okada and A. Murakami, 1996. Water Sci. and Technol. 34: 221-235 

  12. Kang, P.G. 1999. Effects of the leachates from Decaying plants on the algal growth. M.S. Thesis. Kangweon National University. 88pp 

  13. Olmsted, C.E. and E.L. Rice. 1970. Relative effects of known plant inhibitors or species from first two stages of old-field succession. Southwestern Nat. 15: 165-173 

  14. Pilinger, J.M., J.A Cooper, I. Ridge, and P.R.F. Barrett. 1992. Barley straw as an inhibitor of algal growth III: the role of fungal decomposition. J. applied Phycol. 4:353-355 

  15. Pillinger, J.M., I. Gilmour, and I. Ridge. 1995. Comparison of antialgal activity of brown-rotted and white-rotted wood and in situ analysis of lignin. J. Chem. Ecol. 21: 1113-1125 

  16. Rasmussen, J.A. and F.A. Einhellig. 1977. Synergistic inhibitory effects of pcoumaric and ferulic acids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grain sorghum. J. Chem. Ecol. 3: 197-205 

  17. Rice, E.L., C.H. Lin, and C.Y. Huang. 1980. Effects of decaying rice straw on growth and nitrogen fixation of a blue-green alga. Bot. bull. Acad. Sinica. 21: 111-117 

  18. Ridge, I. and J.M. Pillinger. 1996. Towar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algal inhibitors from barley straw. Hydrobiologia 340: 301-305 

  19. Street, M. 1979. The importance of invertebrates and straw. Game Conservancy Ann. Rev. 11: 34-38 

  20. Welch, I.M., P.R.F. Barrett, and I. Ridge. 1990. Barley straw as an inhibitor of algal growth I: studies in the Chesterfield Canal. J. applied Phycol. 2: 231-2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