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어 (Rhinogobius brunneus)와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의 흡반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ucture of the Sucker of Common Freshwater Goby (Rhinogobius brunneus) and Triden Goby (Tridentiger brevispinis) 원문보기

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lectron microscopy, v.32 no.1, 2002년, pp.57 - 66  

김택영 (경남대학교 생명과학부, 한국자연환경연구소) ,  손성원 (경남대학교 생명과학부) ,  최병진 (한국자연환경연구소) ,  박창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전자현미경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좌 우의 배지느러미가 양쪽으로 합쳐져서 흡반을 형성하는 망둥어과(Cobiidae) 어류인 밀어 (Rhinogobius brunneus)와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의 흡반의 형태 및 구조를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투과형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밀어 흡반의 외부형태는 첨부는 규칙적인 실타래 모양의 조밀한 굴곡을 형성하고 있으며, 중부와 기저부는 첨부에 비하여 조밀하지는 않으나 벌집모양의 규칙적인 구조를 갖는다. 세포의 경계와 세포 표면 내에 이랑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구조물 사이에 점액분비세포(mucous cell)의 개구부(openings)가 다수 관찰되었다. 내부구조는 초생달모양의 지느러미살을 중심으로 조밀한 섬유층과 상피표면을 향하는 방사상의 성긴 탄력성 섬유층과 입방형 또는 원추형 상피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다. 민물검정망둑의 흡반의 외부형태는 첨부는 실타래 모양의 굴곡을 가지나 규칙적이지 않다. 중부와 기저부는 밀어와 같이 벌집모양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구조물 사이에 점액분비세포의 개구부가 관찰되었으나 밀어에 비해 적다. 내부구조는 밀어 에서와 같이 지느러미살을 중심으로 조밀한 섬유층이 관찰되지만 방사상의 성긴 탄력성 섬유층은 관찰되지 않으며 편평상피 또는 다각형의 상피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밀어에 비하여 흡반의 두께가 얇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ructures of sucker of two Cobiidae; Common freshwater goby and Triden goby were observ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e characteristic narrow ridges and grooves on the apical portion of sucker of Common freshwater goby, and hexagonal structures si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망둥어과에 대한 연구는 분류학적인 연구 (Kimet al.; 1986; Kim et al.; 1987; Jeon et al.; 1987; Kim et al.; 1989; Lee et al.: 1992; Jeon, 1997; Stefanni et al.: 1999)와 망둥어류의 종조성 및 생태에 관한 연구 (Leeet al.; 1979; Lee et al.; 1990; Magnhagen, 1998; Daoulas et al.; 1993; Ota et al.; 1996; Steingrund et al.; 1997; Privitera, 2000)는 수행되어진 바 있으나 홉반의 구조 및 형태에 대한 미세 구조적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두 종간의 홉반의 룩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망둥어과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및 생태학적 연구는 수행된 바 있으나 망둥어류의 홉반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여 민물검정망 둑과 밀어의 홉반을 대상으로 광학현미경적, 전자현미경적 구조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yung MK: The fishs of Korea. IL JI SA, Seoul, pp. 472-492, p 623, 1998. (Korean) 

  2. Craig JF, Babaluk JA: An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fish species in a large prairie lake. J Fish Biol 43: 223-228, 1993 

  3. Daoulas CH, Economou AN, Psarras TH, Barbieri-Tseliki R: Reproductive strategies and early development of three freshwater gobies. J Fish Biol 42: 749-776, 1993 

  4. Jeon SR and Iwata A: First Record of Four Gobiid Fishes from Korea. Korean J Limnol 20: 1-12, 1987. (Korean) 

  5. Jeon SR: Studies on the Key and Distribution of the Three Species of a Goby , Chaenogobius urotaenia from Korea. Sang Myung Univ 10: 205-237, 1997. (Korean) 

  6. Kim IS: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7. Freshwater Fishes. pp. 345-367, 1997. (Korean) 

  7. Kim IS and Choi U: A Taxonomic Suudy of Goby, The Genus Tridentiger(Gobiidae, Pisces) from Korea. Bull Korean Fish Soc 22(2): 59-69, 1989. (Korean) 

  8. Kim IS, Lee YJ and Kim YU: A Taxonomic Revision of the Subfamily Gobiinae(Pisces, Gobiidae) form Korea. Bull Korean Fish Soc 20(6): 529-542, 1987. (Korean) 

  9. Kim IS, Lee YJ and Kim YU: Synopsis of the Family Gobiidae(Pisces, Perciformes) from Korea. Korean Fish Soc 19(4): 387-408, 1986 (Korean) 

  10. Lee JH and Ryu BS: The life form of periophthalmus catonensis in the gum river in summer. J Korean Fish Soc 12(1): 71-77, 1979. (Korean) 

  11. Lee TW and Lim YJ: Species Composition and Biology of Major Species of Gobiid Fish in Cheonsu Bay of the yellow sea , Korea. Korean J Ichthyol 2(2): 182-202, 1990. (Korean) 

  12. Lee YJ, Kim IS: Acentrogobius pellidebilis, a New Species of Gobiid Fish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4(1): 14-19, 1992. (Korean) 

  13. Leon W: Histology.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 Inc 5: 257-281, 1983 

  14. Maes J, Damme PA, Taillieu A, Ollevier F: Fish communities along an oxygen-poor salinity gradient (Zeeschelde Estuary, Belgium). J Fish Biol 52: 534-546, 1998 

  15. Magnhagen C: Alternative reproductive tactics and courtship in the common goby. J Fish Biol 53: 130-137, 1998 

  16. Moron SE, Fernandes MN: Pavement cell ultrastructural differences on Hoplias malabaricus gill epithelia. J Fish Biol 49: 357-362, 1996 

  17. Northcott SJ and James MA: Ultrastructure of the glandular epidermis on the fins of male estuarine triplefins Forsterygion nigripenne. J Fish Biol 49: 95-107, 1996 

  18. Ota D, Marchesan M, Ferrero EA: Sperm release behaviour and fertilization in the grass goby. J Fish Biol 49: 246-256, 1996 

  19. Park CH, Chang BJ, Cho KY: Comparison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pecimens dried with different methods. Korean J Electron Microscopy 25(3):33-39, 1995. (Korean) 

  20. Park JY, Kim IS: Histology and mucin histochemistry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mud loach, in relation to respiration. J Fish Biol 58: 861-872, 2001. (Korean) 

  21. Privitera LA: Characteristics of egg and larval production in captive bluespotted gobies. J Fish Biol 58: 1211-1220, 2001 

  22. Saboia-Moraes SMT, Hernandez-Blazquez FJ, Mota DL, Bittencourt AM.: Mucous cell types in the branchial epithelium of the euryhaline fish Poecilia vivipara. J Fish Biol 49: 545-548, 1996 

  23. Stefanni S, Mazzoldi C: First record of the Norway goby in the Adriatic Sea. J Fish Biol 57: 828-830, 2000 

  24. Steingrund P, Ferno A: Feeding behaviour of reared and wild cod and the effect of learning: two strategies of feeding on the two-spotted goby. J Fish Biol 51: 334-348, 1997 

  25. Takegaki T: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spawning burrow selection by the gobiid Valenciennea longipinnis. J Fish Biol 58: 222-229,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