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항아리 형태 젊은 초신성 잔해의 동력학
Dynamics of Barrel-Shaped Young Supernova Remnant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3 no.4, 2002년, pp.357 - 368  

최승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정현철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항아리 형태 젊은 초신성 잔해의 동력학을 설명하기 위해 분출물의 동력학적 효과를 고려하였다. 분출물과 성간 물질 사이에 존재하는 접촉불연속면에서 레일라-테일러(R-T)불안정에 기인한 자기장의 증폭호과가 고려되었다. 우주선 입자의 가속을 가정함으로서 합성전파 모형을 만들 수 있었으며 관측과의 비교를 위해 방위각을 따른 전파세기의 비(A)를 계산하였다. R-T불안정의 결과로 자란 가지의 경계면에서 압축, 전단, 인장의 결과로 충격파 후면의 자기장은 증폭되었다. 불안정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분출물의 감속에 민감하게 의존하며 초신성 잔해의 진화와 밀접히 관계됨을 볼 수 있었다. 자기장의 세기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며 역 충격파가 분출물의 등밀도지역으로 들어감에 따라 감소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초기 자기장 증폭의 효과는 초신성 잔해의 후기까지 남아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증폭된 자기장 영역에서 적도지역과 극지역의 자기장의 세기의 비는 최대 7.5까지 이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자기장의 증폭은 방위각에 따라 매우 큰 전파세기의 비를 만들 수 있었다(A=15). 증폭된 자기장의 세기는 수치계산의 분해능에 매우 민감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주선 입자의 가속효과가 자기장과 충격파 면이 이루는 각도에 의존한다는 가정 없이도 자기장의 증폭효과가 관측된 항아리 형태의 젊은 초신성 잔해를 만들 수 있음을 보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작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초신성 잔해 주위의 자기장이 잘 정열되어 있어야 한다. 항아리 형태의 젊은 초신성잔해의 수가 적게 관측되는 것은 이와 같은 조건이 성간에서 잘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OH radical의 생성이 활발해져, $CH_4$의 소멸이 촉진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CH_4$의 일평균 농도를 이용한 장주기적 추세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국내의 두 관측지점들(무안, 태안)에서는 수일 주기의 농도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졌지만, 뚜렷한 계절적 주기는 발견하기가 어려웠다. 그런데 국외의 관측지점들에서는, 계절적 주기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뚜렷하고 규칙적인 양상을 보여주었다. 지역별 $CH_4$ 농도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국내 두 지점들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 무안지역과 북반구의 관측점들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남반구에 위치한 관측점들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CH_4$ 농도의 장주기적 변화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CH_4$ 농도의 증가율이 무안과 태안 지역에서 각각 연간 16.5, 14.8 ppb로 가장 높게 관측되었다. 관측점 주변에 복잡한 배출원의 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무안지역의 $CH_4$ 농도변화와 풍향과의 연계성을 비교해 보았다. 이 결과에 의하면, 동풍계열의 풍계가 나타날 때 고농도의 값이 나타났으며, 청정한 공기가 유입되는 남서풍의 풍계시에는 비교적 낮은 $CH_4$ 농도가 유지되었다. 이처럼 $CH_4$의 장주기적 분포특성은 연구대상지역의 복잡한 배출${\cdot}$소별작용과 연계되어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explain the barrel-shaped morphology for young supernova remnants considering the dynamical effects of the ejecta. We consider the magnetic field amplification resulting from the Rayleigh-Taylor instability near the contact discontinuity. We can generate the synthetic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The magnitude of shocked ambient magnetic field at the equator is larger than the one at the pole by a factor of 4. We expect that the amplifica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a monotonic function of the initial magnetic field.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amplified magnetic field is not easy to describe because it varies significantly with time and with the polar angl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isnovatyi-kogan, G.S., Lozinskaya, T.A., and Silich, S.A., 1990, Barrel-like Supemova Remnants. Astrophysics and Space Science, 166, 277-287 

  2. Caswell, J.K., Kesteven, M.J., Stewart, R.T., Milne, D.K., and Haynes, R.H., 1992, G308.8-0.1-an unusual supernova remnant containing a short-period pulsar, PSR J1341-6220. Astrophysical Journal, 399, L151-153 

  3. Chevalier, R.A., 1976, The hydrodynamics of Type II supemovae. Astrophysical Journal, 207, 872-887 

  4. Chevalier, R.A., 1982, Self-similar solutions for the interaction of stellar ejecta with an extemal medium. Astro-physical Journal, 258, 790-797 

  5. Choe, S.-U. and Jung, H.C, 1998, Dynamics of Type la SNRs with Different Density Distnbutions: From Ejects-Dominant to Sedov-Taylor Stages,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12(1), 135-147 

  6. Colgate, S.A. and Mckee, C., 1969, Early Supernova Luminosity. Astrophysical Journal, 157, 623-634 

  7. Duin, R.M. and Strom, R.G., 1975, A multifrequency study of the radio structure of 3C10, the remnant of Tycho's supernova. Astronomy and Astrophysics, 39, 33-42 

  8. Evans, C.R. and Hawley, J.R, 1988, Simulation of magne-tohydrodynamic flows - A constrained transport method. Astrophysical Journal, 332, 659-677 

  9. Fulbright, M.S. and Reynolds, S.P., 1990, Bipolar supernova remnants and the obliquity dependence of shock acceleration. Astrophysical Journal, 357, 591-601 

  10. Gaensler, B.M., 1998, The Nature of Bilateral Supemova Remnants. Astrophysical Journal, 493, 781-790 

  11. Gull, S.R, 1973, A numerical model of the structure and evolution of young supernova remn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61, 47-60 

  12. Gull, S.R, 1975, The X-ray, optical and radio properties of young supernova remn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71, 263-270 

  13. Hamilton, A.J.S., Sarazin, C.L., and Szymkowiak, A.E., 1986, The X-ray spectrum of TYCHO. Astrophysical Journal, 300, 713-721 

  14. Heiles, C., 1976, The interstellar magnetic field. 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14, 1-22 

  15. Jones, E.M., Smith, B.W, and Stmka, W.C., 1981, Formation of supernova remnants - The pre-blast-wave phase. Astrophysical Journal, 249, 185-194 

  16. Jones, L.R. and Pye, J.P., 1989, EXOSAT observations of the remnant of SN1006. MNRAS, 238, 567-585 

  17. Jones, T.W, and Kang, H.S., 1992, Cosmic-ray-modified supernova remnant shocks. Astrophysical Journal, 396, 575-586 

  18. Jokipii, J.R., 1987, Rate of energy gain and maximum energy in diffusive shock acceleration. Astrophysical Journal, 313, 842-846 

  19. Jun, B.L, Norman, M.L., and Stone, J.M., 1995, A Numer-ical Study of Rayleigh-Taylor Instability in Magnetic Fluids. Astrophysical Journal, 453, 332-350 

  20. Jun, B.I. and Norman, M.L., 1996, On the Oiigin of Strong Magnetic Fields in Young Supernova Remnants. Astrophysical Journal, 465, 800-811 

  21. Jun, B.L, Jones, T.W., and Norman, M.L., 1996, Interaction of Rayleigh-Taylor Fingers and Circumstellar Cloudlets in Young Supernova Remnants. Astrophysical Journal, 468, L59-63 

  22. Kesteven, M.J. and Caswell, J.L., 1987, Barrel-shaped supernova remna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183, 118-128 

  23. Kirshner, R.R, Winkler, P.R, and Chevalier, R.A., 1987, High-velocity emission in young supemova remnants: SN 1006 and SN 1572. Astrophysical Journal, 315, L135-139 

  24. Matsui, Y, Long, K.S., Dickel, J.R., and Greisen, E.W., 1984, A detailed X-ray and radio comparison of Kepler's supernova remnant. Astrophysical Journal, 287, 295-306 

  25. Milne, D.K., 1987, An atlas of supernova remnant magnetic Selds. Australian Journal of physics, 40, 771-787 

  26. Rand, R.J. and Kulkami, S.R., 1989, The local Galactic magnetic field. Astrophysical Journal, 343, 760-772 

  27. Ratkiewicz, R., Axford, W.I., and Mckenzie, J.F., 1994, Similarity solutions for synchrotron emission from a supernova blast wave. Astronomy and Astrophysics, 291, 935-942 

  28. Reynolds, S.P. and Chevalier, R.A., 1981, Nonthennal Radiation from Supernova Remnants in the Adiabatic Stage of Evolution. Astrophysical Journal, 245, 912-920 

  29. Reynolds, S.P. and Gilmore, D.M., 1986, Radio observations of the remnant of the supernova of A.D. 1006. I -Total intensity observations. Astronomical Journal, 92, 1138-1144 

  30. Reynolds, S.P. and Gilmore, D.M., 1993, Radio observations of the remnant of the supernova of AD 1006. II -Polarization observations. Astronomical Journal, 106, 272-283 

  31. Roger, R.S., Milne, D.K., Kesteven, M.J., Wellington, K.J., and Hayes, R.R, 1988, Symmetry of the radio emis-sion from two high-latitude supemova remnants, G296.5+10.0 and G327.6+14.6 (SN 1006). Astrophysical Journal, 332, 940-953 

  32. Stone, J.M. and Norman, M.L, 1992, ZEUS-2D: A Radiation Magnetohydrodynamics Code for Astrophysical Flows in Two Space Dimensions. II. The Magnetohy-drodynamic Algorithms and Test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80, 791-805 

  33. Van der Laan, H., 1962, Intense shell sources of radio emissio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24, 179-185 

  34. Voelk, H.J. and Biermann, P.L., 1988, Maximum energy of cosmic-ray particles accelerated by supernova remnant shocks in stellar wind cavities. Astrophysical Journal, 333, L65-68 

  35. Whiteoak, J.B. and Gadner, F.R, 1968, A Supernova Remnant in Centaurus. Astrophysicat Journal, 154, 807-813 

  36. Willingale, R., West., R.G., Pye, J.R, and Stewart, G.C., 1996, ROSAT PSPC observations of the remnant of SN 1006.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278, 749-76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