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에 따른 상실생존년수를 활용한 대기중 총먼지와 아황산가스가 심혈관계질환에 미치는 영향 측정
Quantifying the Burden of cardiovascular Disease Attributable to Total Suspended Particulate and Sulfur Dioxide Using Years Lived with Disability 원문보기

예방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35 no.2, 2002년, pp.92 - 98  

하범만 (국군의무사령부 보건운영처) ,  강종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권호장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윤석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o estimate the burden of cardiovascular disease attributable to the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TSP) and sulfur dioxide ($SO_2$) in Korea using the YL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measurement. Methods : Congestive heart failure(CHF) and myocardial infarction (MI) were c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YLD를 활용하여 우리 나라 대기오염이 심혈관계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질병부담 측면에서 계량적으로 측정해 보고자 수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기오염으로 인한 심혈관계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우리 나라 국민의 대기오염에 의한 심혈관계질환에 미치는 영향은 노출요인이 TSP인 경우 급성 심근경색이 심부전에 비해 약 1.
  • 본 연구는 대기오염에 따른 심혈관계질환에 미치는 질병부담을 계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노출요인으로 TSP, SQ를 선택하고 울혈성심부전과 급성 심근경색을 대상질환으로 하여 YLD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우리 나라 국민의 대기중 총 먼지와 아황산가스에 의한 심혈관계질환에 미치는 영향은 YLD 기준으로 총 305.
  • 또한 질병부담을 추계하는데 몇 가지 가정들이 필요한데, 대표적으로 연령 가중치, 할인율, 치명률 및 장애가중치(disability weights)를 들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GBD 연구자들이 수년간 경험을 통해서 선정한 가치관을 수용하는 입장을 취 했다. 연령 가중치 및 할인율의 경우에는 과연 연령에 따라 다른 가중치를 둘 필요가 있느냐, 미래에 발생하는 질병 부담이 현재의 질병부담보다 적은 가치를 갖느냐에 관한 문제로서 연구자의 관점이나 사회의 관점에 따라 다른 값 혹은 다른 방법을 선택할 여지가 있다.
  •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장애에따른 상실생존년수(years lived with disability; 이 하 YLD) 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대기오염이 심혈관계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질병부담 측면에서 계량적으로 측정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한 개 시군구에두 개 이상의 대기질 자동 측정망이 있는 경우 평균값을 적용하였다. 시, 군 단위에서 대기질 자동 측정망이 없는 경우는 대부분 대기오염이 심하지 않아서 아직 설치되지 않은 지역으로 보아, 세계보건기구 대기오염지표 기준 이하로 가정하였다. 1995년 당시 총 44, 606, 726명의 우리 나라 인구중에서 대기질 자동 측정망이 없는 시, 군에 거주하는 사람은12, 001, 807명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Logan WPD. Mortality in London fog incident. Lancet 1953; 1: 336-338 

  2. Ciocco A, Thomson DJ. A follow-up on Donora ten years after: methodology and findings. Am J Public Health 1961; 51: 155-164 

  3. Schwartz J, Dockery DW. Increased mortality in Philadelphia associated with daily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Am Rev Respir Dis 1992; 145: 600-604 

  4. Pope CA III, Schwartz J, Ransom MR. Daily mortality and PM10 pollution in Utah Vally. Arch Environ Health 1992; 47: 211-217 

  5. Hong YC, Leem JH, Ha EH, Christiani DC. PM(10) exposure, gaseous pollutants, and daily mortality in Inchon, South Korea. Environ Health Perspect 1999; 107: 873-878 

  6. Lee MY, Lee CW, Suh SK. Effect of air pollution on daily mortality in Daegu(1993-1997).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0; 12(2): 235-248 (Korean) 

  7. Kwon HJ, Cho SH, Nyberg F, Pershagen G. Effect of ambient air pollution on daily mortality in a cohort of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Epidemiology 2001; 12: 413-419 

  8. Schwartz J. Air pollution and hospital admission for heart disease in U.S. counties. Epidemiology 1999; 10: 17-22 

  9. Samet JM, Zeger SL, Dominici F, Curriero F, Coursac I, Dockery DW, Schwartz J, Zanobetti A. The national morbidity, mortality, and air pollution study. Part II: Morbidity, mortality, and air pollution in United States. Health Effects Institute Research Report 94, Part II, June 2000 

  10. Zanobetti A, Schwartz J, Gold D. Are there sensitive subgroups for the effects of airborne particles? Environ Health Perspect 2000; 108: 841-845 

  11. Leem JH, Lee JT, Kim DG, Shin DC, Roh JH. Short-term effects of air pollution on hospital visits for respiratory diseases in Seoul.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8; 10(3): 333-342 (Korean) 

  12. Ju YS, Cho SH. Effect of air pollution on emergency room visits for asthma: a time series analysis. Korean J Prev Med 2001; 34(1): 61-72 (Korean) 

  13. Choi H, Lim DH, Kim JH, Son BK, Lim JH, Hong YC. Study on interrelationship of air pollution and respiratory disease of children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of a university hospital in Inchon. J Korean Pediatr Soc 2000; 43: 1372-1379 (Korean) 

  14. Song HI. Effect of air pollution on childhood asthma living in Seoul. J Asthma Allergy Clin lmmunol 2001; 21(1)28-39.(Korean) 

  15. Vedal S, Petkau J, White R, Blair J. Acute effects of ambient inhalable particles in asthmatic and nonasthmatic children.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8; 157: 1034-1043 

  16. McConnell R, Berhane K, Gilliland F, London SJ, Vora H, Avol E, Gauderman WJ, Margolis HG, Lurmann F, Thomas DC, Peters JM. Air pollution and bronchitic symptoms in Southern California children with asthma. Environ Health Perspect 1999; 107: 757-760 

  17. Bodak M, Leon DA.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infant mortality appears specific for respiratory causes in the postneonatal period. Epidemiology 1999; 10: 666-670 

  18. Loomis D, Castillejos M, Gold DR, McDonnell W, Borja-Aburto VH. Air pollution and infant mortality in Mexico City. Epidemiology 1999; 10: 118-123 

  19. Wang X, Ding H, Ryan L, Xu X. 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low birth weight: a community-based study. Environ Health Perspect 1997; 105: 514-520 

  20. Ha EH, Hong YC, Lee BE, Woo BH, Schwartz J, Christiani DC. Is air pollution a risk factor for low birth weight in Seoul? Epidemiology 2001; 12(6) : 643-648 

  21. Kwon HJ. Health Effect of Air Pollution. J Korean Med Assoc 1998; 41(10): 1025-1031 (Korean) 

  22. Kwon HJ, Cho SH. Air pollution and daily mortality in Seoul. Korean J Prev Med 1999; 32(2): 191-199 (Korean) 

  23. Lee JT, Dockery DW, Kim CB, Jee SH, Chung Y. A meta-analysis of ambient air pollution in relation to daily mortality in Seoul, 1991-1995. Korean J Prev Med 1999; 32(2): 177-182 (Korean) 

  24. Murray CL, Lopez AD. The utility of DALYs for public health policy and research: a reply. Bull World Health Organ 1997; 75(4): 377-381 

  25. Lee JT, Lee SI, Shin DC, Chung Y. Air particulate matters and daily mortality in Ulsan, Korea. Korean J Prev Med 1998; 31(1): 82-90 (Korean) 

  26. Murray CJ, Lopez AD. Global mortality, disability, and the contribution of risk factors: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Lancet 1997; 17(349): 1436-42 

  27. PHD. Victorian burden of disease study: Morbidity. Melbourne. Public Health Division, Victor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uman Services. 1999:p.1-189 

  28. Barnum H. Evaluating health days of life gained from health projects. Soc Sci Med 1987; 24: 833-841 

  29. Rossi, G, Vigotti MA, Zanobetti A, Repetto F, Gianelle V, Schwartz J. Air Pollution and Cause-Specific Mortality in Milan, Italy, 1980-1989. Environ Health 1999; 54(3): 158-164 

  30. Poloniecki JD, Atkinson RW, de Leon A, Anderson RH. Daily time series for cardiovascular hospital admissions and previousday' s air pollution in London, UK. Occup Environ Med 1997; 54(8): 535-540 

  31. Robert DM, Elena NN, Rajika LM. Ambient Air Pollution and Hospitalization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among Elderly People in Seven Large US Citeis. Am J Epidemiology 1995; 85(10):1361-1365 

  32. Hong CJ et al. Air pollution. In: Murray CJL, Lopez AD, eds. Quantifying health risk: the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selected risk factor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33.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public of Korea.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Vol 3. 1995 

  34. Ha EH, Kwon HJ. Issues in air pollution epidemiologic studies. Korean J Prev Med. 2001; 34(2): 109-118 (Korean) 

  35. Smith KR, Corvalan CF, Kjellstrom T. How much global ill health is attributable to environmental factors? Epidemiology 1999; 10(5):573-584 

  36. Nam HS, Park KS, Sun BH, Shin JH, Sohn SJ, Choi JS, Kim BW. A study of the cause-of-death reported on official death registry in a rural area. Korean J Prev Med. 1996; 29(2): 227-238 (Korean) 

  37. McMichael A, Pastides H, Corvalan AC, Kay D. Update on WHO' s initiative to assess environmental burden of disease. Epidemiology 2001; 12(2):277-279 

  38. Murray CL, Lopez AD. On the Comparable Quantification of Health Risks: Lesson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Epidemiology 1999;10(5):594-605 

  39. Kay D et al. Methodology for assessment of environmental burden of disease.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Buffalo, August 2000, Geneva, 2001 

  40. Yoon SJ, Chang H, Shin YS. Burden of disease of major cancers assessment using years of lives with disability in Korea. Korean J Prev Med. 1998; 31(4): 801-813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