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 양식수역의 환경용량 산정 -I.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거제 · 한산만 굴 먹이 공급량 추정
Estimating the Carrying Capacity of a Coastal Bay for Oyster Culture -I . Estimating a Food Supply to Oysters Using an Eco-hydrodynamic Model in Geoie-Hansan Bay-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5 no.4, 2002년, pp.395 - 407  

박종수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김형철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최우정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박청길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거제 $\cdot$ 한산만 굴 양식어장의 수용력 산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월별 먹이량 변동을 생태-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산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양식시기인 5월의 거제 $\cdot$ 한산만의 chlorophyll $\alpha$ 농도는 $0.29\~4.72$ (평균 $1.73{\mu}g/L$)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수평분포 특성은 화도 주변 수역에서 $2.0{\mu}$g/L 이상의 높은 농도 분포를 보인 반면, 만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산달도에서 봉암도 및 율포에 이르는 수역에서 1.4$\mu$g/L 이하의 낮은 농도 분포를 보였다. 거제 $\cdot$한산만의 잔차류는 표층의 경우 외양과 접한 남쪽의 협수로에서는 10 cm/sec의 유속으로 남쪽 방향으로 유출하고, 송도와 비산도 부근에서는 5cm/sec 내외의 유속으로 북서 방향으로 흐름이 진행되었으며, 만 중앙부에서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출하는 형태였으나 유속의 크기는 3cm/sec 이하로 작게 나타났다. 중층은 전반적으로 유속의 크기가 감소하였고, 만 중앙부근에서는 표층의 흐름과는 반대로 만 내측으로의 흐름이 뚜렷하였으며, 저층에서는 수로를 중심으로 흐름이 나타났다. 생태계 모델에 의해 비 양식시기로 가정한 5월의 식물플랑크톤 분포를 재현한 결과 실측치와 계산치의 적합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R^{2}$값은 0.70, 상대오차는 $10.3\%$이었고, 재현된 분포 특성은 화도와 거제시 둔덕면 사이의 수로 부근 수역과 하천의 영향을 많이 받는 만 내측 수역에서 높은 농도분포를 나타내었고, 외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만내로 유입하는 유입부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비교적 정체수역인 만 내측에서 기초생산력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생태계 모델을 이용하여 9월부터 다음해 5월까지 월별 먹이 공급량을 추정한 결과 $0.19\~l.27gC/m^{2}/day$ 범위에 평균 $0.62gC/m^{2}/day$로 나타났다 9월에 1.12gC/m^{2}/day$의 높은 값을 나타낸 이후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2월에 0.19gC/m^{2}/day$의 최소 값을 나타내었으며, 봄철로 접어들면서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5월에 $1.27gC/m^{2}/day$의 최대 값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3D hydrodynamic-ecological coupled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a food supply to oysters in Geoje-Hansan Bay where is one of the oyster culturing sites in Korea, In this study, the primary productivity (PP) was adopted as an index of food supply, and the spatial patterns of average chlorophyll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모델 영역내의 해수유동을 재현하기 위하여 입력한 자료는 Table 1과 같이 탁월분조인 M2 분조를 이용하였다. 개방 경계에서 조위와 위상값은 실측치가 없어서 실측치가 있는 해역 (한국해 양연구소, 1996)까지 계산영역을 확대하여 대영역을 계산하였고, 본 모델 영역의 개방경계에서의 조위와 위상값은 대영역에서 계산된 모델 결과 값을 이용하였다. 지형 및 수심은 수로국 (1992) 발행 해도를 이용하였고, 하천의 유량은 거제시 (1995; 1997)자료를 이용하였다.
  • 1과 같이 화도와 거제시 둔덕면 학산리를 잇는 선 ( I), 거제시 둔덕면 화도 남단과 한산도의 북단을 잇는 선 (II), 통영시 한산면 봉암도와 거제도 남단을 잇는 선(Ⅲ)으로 하였다. 격자망의 구성은 지형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도록 X 방향으로 85개, y 방향으로 87개 격자로 구분하였으며, 격자간격은 150m로 하였다. 수층은 투명도 수심, 수온 약층의 깊이 등을 고려하여 3개 층으로 구분하였다.
  • 굴의 먹이량은 현장 관측을 통해 기초생산력,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chlorophyll a 양을 측정하여 산정할 수 있으나 굴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에서 측정된 값은 굴이 섭취하고 남은 양이기 때문에 굴이 성장함에 따라 필요로 하는 실제 먹이원으로 이용가능한 양을 알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식어장 수용력 결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먹이를 식물플랑크톤 (chlorophylla)이라 가정하고 생태-유체역학 모델 (日本通商產業省: MITI, 1991)을 이용하여 현장 관측을 통해 구하기 어려운 비양식 상태의 월별 먹이량 변화를 추정하였다.
  • 각 하천의 월별 오염 부하량은 거제시가 하천 정비계획의 일환으로 조사한 월별 유량과 수질 자료를 이용하였다 (거제시, 1995; 1997). 생태계 모델 입력자료 중 생물학적 변수는 기존 측정된 자료와 문헌조사를 통하여 입력하였다 (Table 3).
  • 격자망의 구성은 지형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도록 X 방향으로 85개, y 방향으로 87개 격자로 구분하였으며, 격자간격은 150m로 하였다. 수층은 투명도 수심, 수온 약층의 깊이 등을 고려하여 3개 층으로 구분하였다.
  • 양식 굴의 먹이공급량은 생태계 모델에서 기초생산력 (mgC/m2 /day)을 나타내는 다음의 수식과 같이 표현가능하며, 양식 굴에 의한 영향을 배제한 5월의 재현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9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를 계산기간으로 하였다. 월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화를 재현하기 위해 기초생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월 별 수온, 염분, 일사량, 일조시간 및 오염 부하량 등을 고려하였다.
  • 7呻)로 시료를 현장에서 여과한 후 무기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진한 염산으로 약 30초 동안 훈증하고 50℃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후 CHN analyzer (Perkin Elmer, model 2400)로 정량하였다 (Sharp, 1974; Telek and Marshall, 1974).용존유기탄소는 유리섬유 여과지 (GF/F, 025 mm, 공경 0.7 呻)로 시료를 여과한 후 여액을 이용하여 TOC meter (Dohrmann, DC180)로 분석하였다.
  • 양식 굴의 먹이공급량은 생태계 모델에서 기초생산력 (mgC/m2 /day)을 나타내는 다음의 수식과 같이 표현가능하며, 양식 굴에 의한 영향을 배제한 5월의 재현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9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를 계산기간으로 하였다. 월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화를 재현하기 위해 기초생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월 별 수온, 염분, 일사량, 일조시간 및 오염 부하량 등을 고려하였다.
  • 수온, 염분, 용존산소는 수질측정기 (CTD, SeaBird)로 현장 관측하였고, 영양염류, chlorophyll a는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해양오염 및 적조조사지침 (NFRDI, 1985a) 및 해양환경공정시험 법 (해양수산부, 1997)에 따라 분석하였다. 입자유기탄소는 미리 회화시킨 유리섬유 여과지(GF/F, 025mm, 공경 0.7呻)로 시료를 현장에서 여과한 후 무기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진한 염산으로 약 30초 동안 훈증하고 50℃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후 CHN analyzer (Perkin Elmer, model 2400)로 정량하였다 (Sharp, 1974; Telek and Marshall, 1974).용존유기탄소는 유리섬유 여과지 (GF/F, 025 mm, 공경 0.
  • 한편, 거제 . 한산만은 소 해역에 따라 양식품종이 다르고, 환경특성도 차이가 있으므로 Fig. 1과 같이 A, B, C, D 및 E 해 역으로 구분하여 먹이 공급량을 추정하였다 (Fig. 13). 각각의 소 해역 중 하천으로부터 육상부하량이 해역으로 직접적으로 유입되고 해수유동이 아주 작아 거의 정체수역인 E 해역이 0.
  • 62gC/n)2/day로서 최고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모델에 의해 계산된 기초생산력과 거의 비슷한 농도와 계절변동을 나타내었다. 한편, 거제 • 한산만은 소 해역에 따라 양식품종이 다르고, 환경특성도 차이가 있으므로 Fig. 1과 같이 A, B, C, D 및 E 해 역으로 구분하여 먹이 공급량을 추정하였다 (Fig. 13). 각각의 소 해역 중 하천으로부터 육상부하량이 해역으로 직접적으로 유입되고 해수유동이 아주 작아 거의 정체수역인 E 해역이 0.
  • 해저 퇴적물은 해수조사 정점에서 1994년과 1998년 5월에 중력식 코어 채취기 (gravity corer sampler)로 채취하여 해양오염 및 적조 조사지침 (NFRDI, 1985a)에 따라 화학적 산소요구량 (che- mical oxygen demand, COD) 과 산휘발성 황화물 (acid volatile sulfide, AVS)을 분석하였다.
  • 해저 퇴적물의 영양염 용출 및 산소 소모속도 (sediment oxigen demand, SOD) 조사는 1998년 5월에만 중앙부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내경 9cm, 길이 50cm의 아크릴통에 약 10cm 깊이로 채운 후 여과해수를 조용히 채워 대형 수조속에 넣고 7일 동안 하루에 1~2회 암모니아질소, 인산인, 용존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해저 퇴적물의 영양염 용출속도 (細見 . 順藤, 1984)와 산소 소모속도 (Brown and Delfino, 1980)를 측정하였다. 실험시 대형 수조의 수온은 22 ±2.

대상 데이터

  • 둔덕천, 간덕천 그리고 나머지 3개 하천을 묶어 산양천으로 하였다. 각 하천의 월별 오염 부하량은 거제시가 하천 정비계획의 일환으로 조사한 월별 유량과 수질 자료를 이용하였다 (거제시, 1995; 1997). 생태계 모델 입력자료 중 생물학적 변수는 기존 측정된 자료와 문헌조사를 통하여 입력하였다 (Table 3).
  • 모델 계산 영역의 개방경계는 Fig. 1과 같이 화도와 거제시 둔덕면 학산리를 잇는 선 ( I), 거제시 둔덕면 화도 남단과 한산도의 북단을 잇는 선 (II), 통영시 한산면 봉암도와 거제도 남단을 잇는 선(Ⅲ)으로 하였다. 격자망의 구성은 지형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도록 X 방향으로 85개, y 방향으로 87개 격자로 구분하였으며, 격자간격은 150m로 하였다.
  • 모델 영역내의 해수유동을 재현하기 위하여 입력한 자료는 Table 1과 같이 탁월분조인 M2 분조를 이용하였다. 개방 경계에서 조위와 위상값은 실측치가 없어서 실측치가 있는 해역 (한국해 양연구소, 1996)까지 계산영역을 확대하여 대영역을 계산하였고, 본 모델 영역의 개방경계에서의 조위와 위상값은 대영역에서 계산된 모델 결과 값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 이용된 생태계 모델은 식물 및 동물플랑크톤, 입자 및 용존유기탄소, 인산인, 용존무기질소, 화학적 산소요구량 등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안 양식생물의 생리 생태에 관한 요소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거제 .
  • 생태계 모델의 초기치 및 경계치는 국립수산과학원 자료와 1994년과 1998년 5월에 수층별로 조사한 자료를 입력하였다 (Table 2). 거제 .
  • 월별 수온 및 염분은 1980~1998년까지 약 19년 동안 월별로 조사하여 보고된 자료 (국립수산과학원(NFRDI), 1983; 1985b; 1989; 1996b; 1996c; 1997; 1998; 1999)와 미 발표된 자료를 종합 정리하여 입력하였고, 일사량, 일조시간 및 일장 등은 1980-1998 년까지의 기상월보를 이용하여 월별 평균한 입력자료는 Table 4와 같고 각 하천의 월별 오염부하량은 Table 5에 나타내었다.
  • 개방 경계에서 조위와 위상값은 실측치가 없어서 실측치가 있는 해역 (한국해 양연구소, 1996)까지 계산영역을 확대하여 대영역을 계산하였고, 본 모델 영역의 개방경계에서의 조위와 위상값은 대영역에서 계산된 모델 결과 값을 이용하였다. 지형 및 수심은 수로국 (1992) 발행 해도를 이용하였고, 하천의 유량은 거제시 (1995; 1997)자료를 이용하였다.
  • 거제 . 한산만 유역 내의 주요 하천은 둔덕천, 간덕천, 오수천, 산양천 및 부천천의 5개 하천이나, 모델에서는 이들 하천을 권역별로 구분 입력하였다. 둔덕천, 간덕천 그리고 나머지 3개 하천을 묶어 산양천으로 하였다.
  • 거제) . 한산만의 계절별 수질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Fig. 1에 표시된 14개 정점을 중심으로 1980년부터 1998년까지 19년 동안 2월, 5월, 8월 및 11월에 국립수산과학원이 조사한 월별, 정점별 자료를 이용하였다. 한편, 양식 비수기로 가정한 5월에 장기 관측 자료가 없는 chlorophyll a, 입자유기 탄소 (particle organic carbon, POC), 용존유기탄소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등은 1994년과 1998년 5월에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 1에 표시된 14개 정점을 중심으로 1980년부터 1998년까지 19년 동안 2월, 5월, 8월 및 11월에 국립수산과학원이 조사한 월별, 정점별 자료를 이용하였다. 한편, 양식 비수기로 가정한 5월에 장기 관측 자료가 없는 chlorophyll a, 입자유기 탄소 (particle organic carbon, POC), 용존유기탄소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등은 1994년과 1998년 5월에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처리

  • 3차원 해수유동 모델을 이용하여 Mz 분조에 의한 조석류와 유동이 정상상태에 도달한 마지막 한 조석을 조석주기로 평균해서 잔차류를 시뮬레이션하였고, 해수유동 모델에 의해 계산된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Kim (1976)이 실측한 유향과 유속 자료를 상호 비교하였다.

이론/모형

  • 수온, 염분, 용존산소는 수질측정기 (CTD, SeaBird)로 현장 관측하였고, 영양염류, chlorophyll a는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해양오염 및 적조조사지침 (NFRDI, 1985a) 및 해양환경공정시험 법 (해양수산부, 1997)에 따라 분석하였다. 입자유기탄소는 미리 회화시킨 유리섬유 여과지(GF/F, 025mm, 공경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rown, G.T. and J.J. Delfino. 1980. Sediment oxygen demand techniques: A review and comparisons of laboratory and ln situ systems. Water Research, 14, 491-499 

  2. Brown, J.R. and E.B. Hartwick. 1988. Influence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available food upon suspended culture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I. Condition index and survival. Aquaculture, 70, 253-267 

  3. Carver, C.E.A. and A.L. Mallet. 1990. Estimating the carrying capacity of a coastal inlet for mussel culture. Aquaculture, 88, 39-53 

  4. Cho, E.I., C.K. Park and S.M. Lee. 1996.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in Kamak Bay (l) - Estimation of primary productivity using the eco-hydrodymamic model. J. Korean Fish. Soc., 29, 369-385 (in Korean) 

  5. Choi, W.J., C.K. Park and S.M. Lee. 1994. Numerical simulation of the formation of oxygen deficient water masses in Jinhae Bay. J. Korean Fish. Soc., 27, 413-433 (in Korean) 

  6. Choi, W.J., Y.Y. Chun, J.H. Park and Y.C. Park. 1997.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fatness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Hansan-Koje Bay, 30, 794-803 (in Korean) 

  7. Incze, L.S. and R.A Lutz. 1981. Modeling carrying capacities for bivalve molluscs in open, suspended-culture systems. J. World Maricul. Soc., 12, 143-155 

  8. Jo, J.S. 1988. Primary Productivity and Nurtient Dynamics in Chunsu Bay, Yellow Sea. MS thesis, Inha University, 65pp. (in Korean) 

  9. Jung, K.H. and Y.C. Park. 1988. Primary production and nitrogen regeneration by macrozooplankton in the Kyunggi Bay, Yellow Sea. J. Oceanol. Soc. Korea, 4, 194-206 (in Korean) 

  10. Kim, D.S. 1976. The result of tidal current observation in the Chung-mu hang approaches. Technical Reports, Hydrographic Officer, ROK., Pub., 1101, 147-172 (in Korean) 

  11. Kobrentz-Mishke, O.I. 1967. Primaiy production. In Tychyi okean. Biologia Tychogo okean, Vol. 1, V.G. Kort, ed. Nauka, Moscow, pp. 86-97 (in Russian) 

  12. Kusuki, Y. 1977. Fundamental studies on the deterioration of oyster growing grounds. II. Organic content of faecal materials. Bull. Jpn. Soc. Sci. Fish., 43, 167-171 (in Japanese) 

  13. Kusuki, Y. 1978. Relationship between quantities of faecal material produced and of the suspended matter removed by the Japanese oyster. Bull. Jpn. Soc. Sci. Fish., 44, 1183-1185 (in Japanese) 

  14. Lee, B.D., K.K. Kang and Y.J. Kang. 1991. Primary production in the oyster farming bay. Bull. Korean Fish. Soc., 24, 39-51 (in Korean) 

  15. NFRDI. 1983. A comprehensive study on marine pollution for the conservation of the Korean coastal ecosystem with respect to culture areas and fishing grounds. Technical Report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58, 252pp. (in Korean) 

  16. NFRDI. 1985a. Manual of methods for research and monitoiing of marine pollution and red tid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Korea, 297pp. (in Korean) 

  17. NFRDI. 1985b. A comprehensive study on marine pollution for the conservation of the Korean coastal ecosystem with respect to culture areas and fishing grounds. Technical Report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63, 432pp. (in Korean) 

  18. NFRDI. 1989. A comprehensive study on marine pollution for the conservation of the Korean coastal ecosystem with respect to culture areas and fishing grounds. Technical Report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84, 347pp. (in Korean) 

  19. NFRDI. 1996b. Environmental survey to assess the water quality of the Korean coastal areas (1989-1994),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Korea, 255pp. (in Korean) 

  20. NFRDI. 1997. Studies on the bad seed collection in oyster growing area and investigation of the new oyster seed collection area.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Korea, 226pp. (in Korean) 

  21. Park, J.S. 2001. Estimating the carrying capacity for oyster culture grounds using an eco-hydrodynamic model. Ph. 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42pp. (in Korean) 

  22. Pazos, A.J., G. Rom $\'{a}$ n, C.P. Acosta, M. Abad and J.L. S $\'{a}$ nchez. 1997. Seasonal changes in condition and biochemical composition of the scallop Pecten maximus L. from suspended culture in the Ria de Arousa (Galicia, N.W. Spain)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conditions. J. Exp. Mar. Biol. Ecol., 211, 169-193 

  23. Rodhouse, P.G., C.M. Roden, G.M. Burnell, M.P. Hensey, T. McMahon, B. Ottway and T.H. Ryan. 1984. Food resource, gameto-genisis and growth of Mytilus edulis on the shore and in suspended culture: Killary Harbour, Ireland. J. Mar. Biol. Assoc. U.K., 64, 513-529 

  24. Ryther, J.H. 1969. Photosynthesis and fish production in the sea. Science, 166, 72-76 

  25. Sharp, J.H. 1974. Improved analysis for particulate organic carbon and nitrogen from seawater. Limnol. Oceanogr., 19, 984-979 

  26. Telek, G. and N. Marshall. 1974. Using a CHN analyzer to reduce carbonate interference in particulate organic carbon analysis. Mar. Biol., 24, 219-221 

  27. Uye, S.H., H. Kuwata and T. Endo. 1987. Standing stocks and production rates of phytoplankton and planktonic copepods in the Inland Sea of Japan. J. Oceanol. Soc. Japan, 42, 421-434 

  28. Wildsh, D.J. and D.D. Knstmanson. 1984. Importance to mussels of the benthic boundary layer. Can. J. Fish. Aquat. Sci., 41, 1618-1625 

  29. Yoo, S.K., J.S. Park, P. Chin, D.S. Chang, K.B. Lim, C.K. Park, S.Y. Hong, C.H. Cho, J.S. Hue, S.S. Lee, P.A. Kang, K.Y. Park, M.S. Lee and Y. Kim. 1980. Comprehensive studies on oyster culture in Hansan, Geoje Bay. Bull. Fish. Res. Dev. Agency, 24, 7-46 (in Korean) 

  30. 거제시. 1995. 산양천 부천천 오수천 하천정비기본계획, pp. 19-42 

  31. 거제시. 1997. 사등천 간덕천 오랑천 하천정비기본계획, pp. 26-32 

  32. 국립수산과학원. 1996c. 어장환경 오염조사. 1995년도 수진사업보고, pp. 62-73 

  33. 국립수산과학원. 1998. 남해연안 해양오염 및 적조조사. 남해수산연구소 사업보고, pp. 73-119 

  34. 국립수산과학원. 1999. 남해연안 해양오염 및 적조조사. 남해수산연구소 사업보고, pp. 84-145 

  35. 수로국. 1992. 해도 No. 208 

  36. 한국해양연구소, 1996. 한반도 주변 조석 조화상수 자료집. 한국해양연구소, pp. 275-282 

  37. 해양수산부. 1997.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해양수산부, 317pp 

  38. 楠木豊. 1986. ニ枚貝の適正收容力硏究について. 廣島縣水産試驗場, 指定調査總合助成 事業報告書, pp. 1-8 

  39. 細見正明. 順藤陵一. 1984. 底泥からの窒素と燐の溶出について. 國立公害硏究所年報, 51, 195-216 

  40. 日本水産資源保護協會. 1983. 水産用水基準. 日本水産資資保護協會, 29pp 

  41. 日本通商産業省 (MITI). 1991. 兵名潮 磐田地域産業公害總合事前調査-兵名潮の部- 水質豫測シミュレ-ション報告書(案). 通商産業省 立地公害局 工業技術院 資源環境技術硏究所. 80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