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해안 가학리의 해조류와 군집구조의 월별변화
Monthly Changes of Marine Benthic Algae and Community Structure at Gahakri, Southern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5 no.1, 2002년, pp.64 - 70  

오병건 (나주대학 건강식품개발과) ,  이재완 (정주대학교 생물학과) ,  이해복 (청주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남해안 가학리의 해조상과 군집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1993년 9월에서 1994년 8월까지 매월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녹조류 11종, 갈조류 15종 및 홍조류 61종이었다 해조상 특성은 출현종을 기준으로 혼합성으로 밝혀졌다. 연중 우점종은 불등풀가사리이며, 준우점종으로는 지충이, 구멍갈파래 및 톳이었다. 수직분포는 조간대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불등풀가사리-작은구슬산호말, 바위수염, 참풀가사리 (5월$\~$10월), 미끌풀, 지충이-톳, 구멍갈파래, 애기돌가사리, 참까막살이 분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Gahakri in Jindo Gun, southern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monthly during September, 1993-August, 1994. As the results, a total of 87 species including 11 greens, 15 browns and 61 reds was identified. The marine algal flora was classified as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생물종의 현황이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은 남해안 진도 가학리의 해조군집을 대상으로 하여 월별로 해조류 종 조성, 우점종, 준우점종, 피도 및 수직분포 등을 관찰하고 조사분석하여 이 지역의 해조군집 특성을 밝히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The Benjaminn/Cumming Pub. Co. Inc., 634pp 

  2. Boo, S.M. and I.K. Lee. 1986. Studies on benthic algal community in the East Coast of Korea. 1. Floristic composition and periodicity of a Sokcho rocky shores. Korean J. Phycol., 1, 107-116 

  3. Cheney, D.P. 1977. R & C/P-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J. Phycol., 13, 129 (suppl.) 

  4. Feldmann, J. 1937. Recherches sur la vegetation marine de la Mediterranee. La cote des Alberes. Rev. Algol., 10, 1-139 

  5. Hill, M.O. 1979.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Cornell University Press New York, 52pp 

  6. Kang, J.W. 196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8 (Marine algae). Ministry of Education, Korea, 465pp (in Korean) 

  7. Kim, H.G., C.H. Sohn and J.W. Kang. 1986. Algal communities of Sinsudo, southern coast and Woldo, 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Phycol., 1, 169-183 (in Korean) 

  8. Kim, K.Y., S.H. Huh and G.H. Kim. 1996. Diversity and abundance of sublittoral macroalgae around Daedo Island, the south coast of Korea. Algae, 11, 171-177 

  9. Kim, M.-K. and K.-T. Kim. 2000. Studies on the seaweeds in the islands of Ullungdo and Dokdo: I. Decrease of algal species compositions and changes of marine algal flora. Algae, 15, 119-124 (in Korean) 

  10. Kim, Y.H. 1983. An ecological study of algal communities in intertidal zone of Korea.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75pp (in Korean) 

  11. Koh, N.P. 1990. An ecological study on resources of marine plants in Geomundo islands. Korean J. Phycol., 5, 1-37 (in Korean) 

  12. Koh, N.P. and C.H. Sohn. 1977. Marine algal community at Bangjukpo. J. Mar. Biol. Inst. Chonnam Nat. Univ., 2, 21-28 (in Korean) 

  13. Lee, H.B. and R.H. Chang. 1989.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easonal change of an algal community at Padori of Tae-An Peninsula, west coast of Korea. Korean J. Phycol., 4, 19-40 (in Korean) 

  14. Lee, I.K., D.S. Choi, Y.S. Oh, G.H. Kim, J.W. Lee, K.Y. Kim and J.S. You. 1991.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Chongsando Island on the South Sea of Korea. Korean J. Phycol., 6, 131-143 (in Korean) 

  15. Lee, I.K- and J.W. Kang. 1986. A check list of marine algae in Korea. Korean J. Phycol., 1, 311-325 (in Korean) 

  16. Lee, I.K., Y.H. Kim, J.H. Lee and S.W. Hong. 1975. A study on the marine algae in the Kwang Yang Bay. I. The seasonal variation of algal community. Korean J. Bot., 18, 109-121 (in Korean) 

  17. Lee, J.W., B.G. Oh and H.B. Lee. 1997.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Padori area in the Taean Peninsula, the west coast of Korea. Algae, 12, 131-138 (in Korean) 

  18. Lee, J.W., Y.H. Kim and H.B. Lee. 2001. The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marine benthic algae in the east coast of Korea II Sokcho. Algae, 16, 113-118 

  19. Segawa, S. 1956. Colored illustrations of the seaweeds of Japan. Hoikusha Pub. Co. LTD, 195pp (in Japanese) 

  20. Sohn, C.H., I.K. Lee and J.W. Kang. 1982. Benthic marine algae of Dolsan 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 Pub. Inst. Mar. Sci., Nat. Fish. Univ. Busan, 14, 37-50 (in Korean) 

  21. Sohn, C.H., I.K. Lee and J.W. Kang. 1983. Benthic marine algae of Dolsan 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I. Bull. Korean Fish. Soc., 16, 379-388 (in Korean) 

  22. Song, S.H. 1971. Phytosociological study of marine algae at Odongdo. Bull. Korean Fish. Soc., 4, 105-112 (in Korean) 

  23. Yoshida, T., K. Yoshinaga and Y. Nakajima. 1995. Check list of marine algae of Japan. Jpn. J. Phycol., 43, 115-171 (in Japanese) 

  24. Yoshida, T., K. Yoshinaga and Y. Nakajima. 2000. Check list of marine algae of Japan (revised in 2000). Jpn. J. Phycol., 48, 113-166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