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해안 해남군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 및 군집
A Summer Marine Benthic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Uninhabited Islands in Haenamgun, Southern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5 no.1, 2002년, pp.57 - 63  

오병건 (나주대학 건강식품개발과) ,  이재완 (청주대학교 생물학과) ,  이해복 (청주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남해안 해남군에 위치한 무인도의 해조상과 군집조사가 1999년 6월 12일에서 29일까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녹조류 10종, 갈조류 15종 및 흥조류 62종이었다. 우점종은 구멍갈파래와 지충이이며, 준우점종은 바위수염, 패, 톳, 불등풀가사리, 애기돌가사리이었다. 수직분포는 조간대 상부에서 하부까지 불등풀가사리, 애기가시덤불, 바위수염-참풀가사리, 애기풀가사리, 애기우뭇가사리, 구멍갈파래, 지충이-톳, 뜸부기, 진두발, 미역, 감태가 분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uninhabitated islands in Haenamgun, southern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during 12$\~$29, June, 1999. As the results, a total of 87 species including 10 greens, IS browns and 62 reds was identified. The dominant species were Ulva pertusa an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 연구는 한국 남해안 해남군에 위치하는 10개의 무 인도를 대상으로 해조류의 식물상 및 우점종을 밝히며, 이를 주변 인근해역과 비교하고자 시도되었다.
  • 고정된 재료의 일부는 건조표본과 슬라이드 글래스 표본을 만들었으며, 동정 작업 중 내 부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서는 빙결식 박편 절단기를 사용하거나 수동으로 절편을 만들어 1% 아닐린 블루 수용액으로 염색한 후 검경하였다. 다만, 이 조사에서는 남조류의 채집 및 동정은 특별히 주의하지 않았으므로, 녹조류, 갈조류 및 홍조류에 국한하여 출현 종 목록을 작성하였다. 해조상의 특징을 해석하는 지표로는(R+ O/P의 값 (Cheney, 1977)을 이용하였으며, 해조류의 목록은 Lee and Kang (1986), Yoshida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The Benjaminn/Cumming Pub. Co., Inc. 634pp 

  2. Cheney, D.P. 1977. R & C/P-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J. Phycol., 13, 129 (suppl.) 

  3. Feldmann, J. 1937. Recherches sur la vegetation marine de la Mediterranee. La cote des Alberes. Rev. Algol., 10, 1-139 

  4.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Pusan Fish. Coll., 7, 1-125 

  5. Kang, J.W. 196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8 (Marine algae). Ministry of Education, Korea, 465pp (in Korean) 

  6. Kang, J.W., C.H. Sohn and C.W. Lee. 1979. The summer marine algal flora of Uido and Maeseom,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Rep. KACN., 16, 95-107 (in Korean) 

  7. Kim, Y.H. 1983. An ecological study of algal communities in intertidal zone of Korea. Diss. Pap. for Ph. D. SNU., 175pp (in Korean) 

  8. Koh, N.P. 1990. An ecological study on resources of marine plants in Geomundo islands. Korean J. Phycol., 5, 1-37 (in Korean) 

  9. Lee, I.K., D.S. Choi, Y.S. Oh, G.H. Kim, J.W. Lee, K.Y. Kim and J.S. You. 1991.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Chongsando Island on the South Sea of Korea. Korean. J. Phycol., 6, 131-143 (in Korean) 

  10. Lee, I.K., H.-B. Lee and I.K. Lee. 1983. A summer marine algal flora of islands in Jindo-gun. Rep. Survey Natur. Environ. Korea, 3, 293-311 (in Korean) 

  11. Lee, I.K. and J.W. Kang. 1986. A check list of marine algae in Korea. Korean J. phycol., 1, 311-325 (in Korean) 

  12. Lee, I.K. and S.M. Boo. 1982. A summer marine algal flora of Islands in Wando-Gun. Rep. Surv. Natur. Environ. Korea, 2, 209-232 (in Korean) 

  13. Lee, I.K., Y.-P. Lee and H.-S. Chung. 1986. A summer algal flora of Chuja islands. Rep. Survey Natur. Environ. Korea, 5, 287-308 (in Korean) 

  14. Lee, J.W., B.G. Oh and H.B. Lee. 1997.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Padori area in the Taean Peninsula, the west coast of Korea. Algae, 12, 131-138 (in Korean) 

  15. Lee, J.W., Y.H. Kim and H.B. Lee. 2001. The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marine benthic algae in the east coast of Korea. II. Sokcho. Algae, 16, 113-118 

  16. Lee, K.W. and J.W. Kang. 1971. A preliminary survey of the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Dongbaeksum. Pusan Fish. Coll., 4, 29-37 (in Korean) 

  17. Segawa, S. 1956. Colored illustrations of the seaweeds of Japan. Hoikusha Pub. Co. LTD., 195pp (in Japanese) 

  18. Sohn, C.H., I.K. Lee and J.W. Kang. 1982. Benthic marine algae of Dolsan 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 Pub. Inst. Mar. Sci., Nat. Fish. Univ. Busan, 14, 37-50 (in Korean) 

  19. Sohn, C.H., I.K. Lee and J.W. Kang. 1983. Benthic marine algae of Dolsan 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I. Bull. Korean fish. Soc., 16, 379-388 (in Korean) 

  20. Spellerberg, I.F. and J.W. Sawyer. 1999. An introduction to applied biogeography. Cambridge, 243pp 

  21. Uhm, G.B. 1968. Marine algae of Hongdo. Rep. Acad. Invest. Hongdo, Ministry of Cul. and Inform., 361-366 (in Korean) 

  22. Yoshida, T., K. Yoshinaga and Y. Nakajima. 1995. Check list of marine algae of Japan. Jpn. J. Phycol., 43, 115-171 (in Japanese) 

  23. Yoshida T., K. Yoshinaga and Y. Nakajima. 2000. Check list of marine algae of Japan (revised in 2000). Jpn. J. Phycol., 48, 113-166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