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최근 이면성 심초음파와 도플러의 발달로 선천성 심장병의 진단에 심도자 및 조영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였으나 심도자술의 장비 발달로 인해 치료적 의미의 중재술은 그 수를 더해가고 있으며 이는 신생아에게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의 신생아 심도자술의 경험을 관찰하였다. 방 법 :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세종병원에서 시행한 심도자 및 조영술 환자들 중 30일 이하의 신생아 13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지를 고찰하였다. 이들의 심도자를 시행한 목적에 따라 진단적 심도자술과 중재적 심도자술로 나누고 당시의 연령과 체중 그리고 진단을 조사하였으며 시술로 인한 합병증과 사망을 조사하였다. 중재적 심도자술인 경우 그 성공 여부를 시술 후의 결과로 관찰하였다. 결 과 : 139명 신생아들의 성별은 남아 92명, 여아 47명이었고 이들의 시술 당시 연령은 $14.9{\pm}8.9$일이고 체중은 $3.3{\pm}0.5kg$(2.6-5.0 kg)이었다. 최근 10년간의 신생아 심도자술은 점차로 증가하는 추세로 특별히 신생아 중재적 시술이 뚜렷이 증가하여 전체 신생아 심도자술의 89.5%이었다. 이들의 진단을 살펴보면 완전 대혈관전위(D-TGA)가 49명으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pulmonary atresia with intact ventricular septum(PAIVS)로 26명, 폐동맥판막 협착(valvar PS) 14명, 양대혈관 우실기시(DORV) 14명 그리고 pulmonary atresia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PAVSD)가 11명의 순서였다. 심도자술을 위한 처치로 전신마취를 한 경우가 전체의 65%로 단순 수면진정 보다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도자술의 목적은 중재적 시술을 목적으로 한 경우가 전체의 74%에 달해 진단적인 목적보다는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중재적 시술은 풍선 심방중격 절제술 48례, 풍선폐동맥 판막 확장술 16례 그리고 경도관 폐동맥 판막천공술이 25례에서 시행되었다. 심도자술로 인한 합병증은 중재적 시술에서 더 높지는 않았고(P=0.489) 사망률 역시 중재적 심도자술에서 의미있게 높지는 않았다(P=0.934). 신생아기에 시행된 중재적 심도자술의 시행 연령은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이 가장 낮은 연령에 시행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었다(P=0.061). 방사선 조사시간은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에서 의미있게 길었다(P<0.001). 그러나 신생아기에 시행된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은 성공률이 40.0 %, 합병증이 28%, 심도자술 후 사망률이 12.0%로 나타났다. 결 론: 신생아의 심도자 및 조영술은 심초음파적 진단의 발전으로 선천성 심질환에서 진단적 비중은 줄어들었으나 치료 목적의 중재적 시술이 체중과 관계없이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을 제외하면 비교적 좋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목 적: 최근 이면성 심초음파와 도플러의 발달로 선천성 심장병의 진단에 심도자 및 조영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였으나 심도자술의 장비 발달로 인해 치료적 의미의 중재술은 그 수를 더해가고 있으며 이는 신생아에게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의 신생아 심도자술의 경험을 관찰하였다. 방 법 :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세종병원에서 시행한 심도자 및 조영술 환자들 중 30일 이하의 신생아 13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지를 고찰하였다. 이들의 심도자를 시행한 목적에 따라 진단적 심도자술과 중재적 심도자술로 나누고 당시의 연령과 체중 그리고 진단을 조사하였으며 시술로 인한 합병증과 사망을 조사하였다. 중재적 심도자술인 경우 그 성공 여부를 시술 후의 결과로 관찰하였다. 결 과 : 139명 신생아들의 성별은 남아 92명, 여아 47명이었고 이들의 시술 당시 연령은 $14.9{\pm}8.9$일이고 체중은 $3.3{\pm}0.5kg$(2.6-5.0 kg)이었다. 최근 10년간의 신생아 심도자술은 점차로 증가하는 추세로 특별히 신생아 중재적 시술이 뚜렷이 증가하여 전체 신생아 심도자술의 89.5%이었다. 이들의 진단을 살펴보면 완전 대혈관전위(D-TGA)가 49명으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pulmonary atresia with intact ventricular septum(PAIVS)로 26명, 폐동맥판막 협착(valvar PS) 14명, 양대혈관 우실기시(DORV) 14명 그리고 pulmonary atresia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PAVSD)가 11명의 순서였다. 심도자술을 위한 처치로 전신마취를 한 경우가 전체의 65%로 단순 수면진정 보다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도자술의 목적은 중재적 시술을 목적으로 한 경우가 전체의 74%에 달해 진단적인 목적보다는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중재적 시술은 풍선 심방중격 절제술 48례, 풍선폐동맥 판막 확장술 16례 그리고 경도관 폐동맥 판막천공술이 25례에서 시행되었다. 심도자술로 인한 합병증은 중재적 시술에서 더 높지는 않았고(P=0.489) 사망률 역시 중재적 심도자술에서 의미있게 높지는 않았다(P=0.934). 신생아기에 시행된 중재적 심도자술의 시행 연령은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이 가장 낮은 연령에 시행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었다(P=0.061). 방사선 조사시간은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에서 의미있게 길었다(P<0.001). 그러나 신생아기에 시행된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은 성공률이 40.0 %, 합병증이 28%, 심도자술 후 사망률이 12.0%로 나타났다. 결 론: 신생아의 심도자 및 조영술은 심초음파적 진단의 발전으로 선천성 심질환에서 진단적 비중은 줄어들었으나 치료 목적의 중재적 시술이 체중과 관계없이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을 제외하면 비교적 좋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Purpose : The neonatal cardiac catheterization and angiogram for transcatheter therapy are still essential methods in congenital heart disease, so we reviewed our experience with neonatal cardiac catheterization over 10 years at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of all 139 neona...
Purpose : The neonatal cardiac catheterization and angiogram for transcatheter therapy are still essential methods in congenital heart disease, so we reviewed our experience with neonatal cardiac catheterization over 10 years at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of all 139 neonatal catheterizations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2000 at Sejong Heart Institution was performed. The purpose of the catheterizations, ages, body weights and the complications by the exam was surveyed. Results : The mean age of our 139 patients was 14.9 days and the mean body weight was 3.3 kg. As for the diagnosis : TGA in 49 patients, PAIVS in 26 patients, DORV in 14 patients, PS in 14 patients, PAVSD in 11 patients. For the cardiac catheterization, general anesthesia was performed in 65% of total and fluoroscopy time was $20.1{\pm}14.5$ minutes during cardiac catheterization. In the interventional cardiac catheterization which was 75% of the total, the age and body weight were statistically the same but the irradiation time was longer than the diagnostic catheterization( P=0.001). There were 48 cases of atrial septostomy, 16 cases of balloon pulmonary valvuloplasty and 25 cases of transcatheter pulmonary valvotomy. Complications of cardiac catheterization were found in 16.3%,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nterventional catheterization and diagnostic catheterization. Conclusion : Therapeutic cardiac catheterization in neonates is a relatively safe and effective method in congenital heart disease.
Purpose : The neonatal cardiac catheterization and angiogram for transcatheter therapy are still essential methods in congenital heart disease, so we reviewed our experience with neonatal cardiac catheterization over 10 years at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of all 139 neonatal catheterizations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2000 at Sejong Heart Institution was performed. The purpose of the catheterizations, ages, body weights and the complications by the exam was surveyed. Results : The mean age of our 139 patients was 14.9 days and the mean body weight was 3.3 kg. As for the diagnosis : TGA in 49 patients, PAIVS in 26 patients, DORV in 14 patients, PS in 14 patients, PAVSD in 11 patients. For the cardiac catheterization, general anesthesia was performed in 65% of total and fluoroscopy time was $20.1{\pm}14.5$ minutes during cardiac catheterization. In the interventional cardiac catheterization which was 75% of the total, the age and body weight were statistically the same but the irradiation time was longer than the diagnostic catheterization( P=0.001). There were 48 cases of atrial septostomy, 16 cases of balloon pulmonary valvuloplasty and 25 cases of transcatheter pulmonary valvotomy. Complications of cardiac catheterization were found in 16.3%,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nterventional catheterization and diagnostic catheterization. Conclusion : Therapeutic cardiac catheterization in neonates is a relatively safe and effective method in congenital heart diseas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나 반면 심도자술에서 사용되는 카테타의 발달과 숙련된 기술로 심도자의 중재적 시술은 그 빈도를 더해가고 있으며 이는 신생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있는 바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신생아에서 시행된 심도자술을 한 병원의 경험을 중심으로 관찰해 봄으로 급격하게 발달하는 소아 심장분야의 심도자술의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 적: 최근 이면성 심초음파와 도플러의 발달로 선천성 심장병의 진단에 심도자 및 조영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였으나 심도자술의 장비 발달로 인해 치료적 의미의 중재술은 그 수를 더해가고 있으며 이는 신생아에게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의 신생아 심도자술의 경험을 관찰하였다.
제안 방법
먼저 최근 10년간 소아 전체에서 시행된 심도자술과 비교하여 신생아에서 시행된 심도자술의 빈도 변화를 관찰하였고 그 중 진단적 심도자술과 각 중재적 시술이 차지하는 비중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심도자술 시행 당시의 체중과 연령을 측정하였고 심도자술 당시의 처치로 단순 수면 진정법을 사용하여 시술한 경우와 전신마취 하에 시행한 경우를 관찰하였다.
먼저 최근 10년간 소아 전체에서 시행된 심도자술과 비교하여 신생아에서 시행된 심도자술의 빈도 변화를 관찰하였고 그 중 진단적 심도자술과 각 중재적 시술이 차지하는 비중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심도자술 시행 당시의 체중과 연령을 측정하였고 심도자술 당시의 처치로 단순 수면 진정법을 사용하여 시술한 경우와 전신마취 하에 시행한 경우를 관찰하였다. 심도자술을 시행하기 전 시행된 이면성 심초음파 및 도플러 검사로 진단을 내리고 이에 따라 진단명을 분류하였으며 심도자술을 통해 시행된 시술을 그 목적에 따라 진단적 목적과 중재적 목적으로 구분하였다.
심도자술 시행 당시의 체중과 연령을 측정하였고 심도자술 당시의 처치로 단순 수면 진정법을 사용하여 시술한 경우와 전신마취 하에 시행한 경우를 관찰하였다. 심도자술을 시행하기 전 시행된 이면성 심초음파 및 도플러 검사로 진단을 내리고 이에 따라 진단명을 분류하였으며 심도자술을 통해 시행된 시술을 그 목적에 따라 진단적 목적과 중재적 목적으로 구분하였다. 심도자술의 목적에 따라 방사선 조사시간(radiation time)을 측정하였고 시술 중 혹은 직후에 발생한 합병증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심도자술 직후 혹은 경과 관찰 중 1주일 이내 중환자실에서 사망하여 수술을 진행하지 못한 경우도 관찰하여 심도자술의 종류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심도자술을 시행하기 전 시행된 이면성 심초음파 및 도플러 검사로 진단을 내리고 이에 따라 진단명을 분류하였으며 심도자술을 통해 시행된 시술을 그 목적에 따라 진단적 목적과 중재적 목적으로 구분하였다. 심도자술의 목적에 따라 방사선 조사시간(radiation time)을 측정하였고 시술 중 혹은 직후에 발생한 합병증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심도자술 직후 혹은 경과 관찰 중 1주일 이내 중환자실에서 사망하여 수술을 진행하지 못한 경우도 관찰하여 심도자술의 종류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이 중 중재적 시술인 경우 그 종류를 구분하여 각각에 따른 환자들의 연령과 체중 그리고 방사선 조사시간을 동일하게 관찰하였다.
방 법 :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세종병원에서 시행한 심도자 및 조영술 환자들 중 30일 이하의 신생아 13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지를 고찰하였다. 이들의 심도자를 시행한 목적에 따라 진단적 심도자술과 중재적 심도자술로 나누고 당시의 연령과 체중 그리고 진단을 조사하였으며 시술로 인한 합병증과 사망을 조사하였다. 중재적 심도자술인 경우 그 성공 여부를 시술 후의 결과로 관찰하였다.
이들의 심도자를 시행한 목적에 따라 진단적 심도자술과 중재적 심도자술로 나누고 당시의 연령과 체중 그리고 진단을 조사하였으며 시술로 인한 합병증과 사망을 조사하였다. 중재적 심도자술인 경우 그 성공 여부를 시술 후의 결과로 관찰하였다.
심도자술의 목적은 중재적 시술을 목적으로 한 경우가 전체의 74%에 달해 진단적인 목적보다는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중재적 시술은 풍선 심방중격 절제술 48례, 풍선 폐동맥 판막 확장술 16례 그리고 경도관 폐동맥 판막천공술이 25례에서 시행되었다. 심도자술로 인한 합병증은 중재적 시술에서 더 높지는 않았고(P=0.
대상 데이터
부천세종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선천성 심장병을 진단받고 1991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 심도자술을 시행한 환아들 중 30일 이하의 신생아 13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방 법 :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세종병원에서 시행한 심도자 및 조영술 환자들 중 30일 이하의 신생아 13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지를 고찰하였다. 이들의 심도자를 시행한 목적에 따라 진단적 심도자술과 중재적 심도자술로 나누고 당시의 연령과 체중 그리고 진단을 조사하였으며 시술로 인한 합병증과 사망을 조사하였다.
데이터처리
통계적 방법은 윈도우용 SPSS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student t-test와 chi-square test 그리고 one way ANOVA를 사용하여 P값이 0.05 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하였다.
성능/효과
그 외에도 대동맥 판막 협착(AS), 활로씨 4징(TOF)이 각각 2명, 관상동정맥루(coronary arteriovenous fistular), interruption of aortic arch(IAA), 페동맥 폐쇄를 동반한 엡 슈타인 기형(Ebstein anomaly with pulmonary atresia), 확장성 심근증(D-CMP) 및 Hemitruncus가 각각 1명씩 있었다(Table 1). 심도자술을 위한 처치로 수면진정을 한 경우는 42명이었고, 전신마취를 한 경우는 78명으로 의무기록이 가능했던 환자들 120명 중 전신마취를 시행한 환자가 65%를 차지하여 단순 수면진정 보다는 전신마취를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술 중 방사선 조사시간은 20.
심도자술로 인한 합병증은 모두 20례(16.3%)에서 관찰되었는데 시술 중 혹은 직후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가 14례로 가장 많았고 급성 신부전증이 시술 후에 발생한 경우가 2례 그 외 시술 중 spell, PSVT 및 시술 후 패혈증이 1례씩 있었고 정맥의 파열도 1례에서 관찰되었다(Table 5). 전체적으로는 전체 20례 중 4례가 진단적 심도자술 중 관찰되었고 나머지 16례는 중재적 시술에서 관찰되었다.
3%)에서 관찰되었는데 시술 중 혹은 직후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가 14례로 가장 많았고 급성 신부전증이 시술 후에 발생한 경우가 2례 그 외 시술 중 spell, PSVT 및 시술 후 패혈증이 1례씩 있었고 정맥의 파열도 1례에서 관찰되었다(Table 5). 전체적으로는 전체 20례 중 4례가 진단적 심도자술 중 관찰되었고 나머지 16례는 중재적 시술에서 관찰되었다. 따라서 진단적 심도자술인 경우 12.
전체적으로는 전체 20례 중 4례가 진단적 심도자술 중 관찰되었고 나머지 16례는 중재적 시술에서 관찰되었다. 따라서 진단적 심도자술인 경우 12.5%의 발생률을 보였고 중재적 심도자술은 17.8%의 합병증 발생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P=0.489). 또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치명적인 경우는 중재적 시술에서 11례(9.
신생아기에 시행된 중재적 심도자술의 모두 91례가있었는데 그 중 75.5%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신생아기에 시행된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은 모든 경우 전신마취 하에서 시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성공률이 40.
5%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신생아기에 시행된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은 모든 경우 전신마취 하에서 시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성공률이 40.0%로 풍선 심방 중격 절제술인 경우 91.7%, 풍선 폐동맥 판막 확장술은 75.0%에 비해 상당히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Fig. 1). 반면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로 인한 합병증은 28.
1). 반면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로 인한 합병증은 28.0%(7례), 심도자술 후 사망률이 12.0%로 다른 중재적 시술에 비해 높았고(Table 6) 2000년 최근의 성적도 7례 중 2례만 성공하였을 뿐 초기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서 여전히 위험도가 높은 시술인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2).
이것은 선천성 심장병의 진단에 있어서 심 초음파 및 도플러의 발달을 증명한다고 하겠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심도자술 시행 연령이 그들의 연령보다 높은 것은 전체의 74%에 달하는 중재적 심도자술과 prostagladin 등의 약제 발달로 인해 선천성 심장병의 시술 전 처치가 환아의 상태를 많이 호전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중재적 시술의 증가와 경도관폐동맥 판막 천공술과 같은 위험도가 높은 시술로 인해 많은 경우 전신 마취 하에서 시술이 시행되었다.
본 조사에서는 16.3%의 합병증과 9.0%의 사망률을 관찰하여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특징적인 것은 진단적 심도자술과 중재적 심도자술에 있어서 그 차이가 없었다는 것이며 전체적으로 심폐소생술의 치명적인 합병증이 많이 관찰되어 위험도가 높은 중재적 시술이 많이 시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혈관 접근에 따른 합병증은 1례에서만 있었을 뿐이어서 심도자술 장비의 발달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다.
결 과 : 139명 신생아들의 성별은 남아 92명, 여아 47명이었고 이들의 시술 당시 연령은 14.9±8.9일이고 체중은 3.3±0.5 kg(2.6-5.0 kg)이었다. 최근 10년간의 신생아 심도자술은 점차로 증가하는 추세로 특별히 신생아 중재적 시술이 뚜렷이 증가하여 전체 신생아 심도자술의 89.
결 론: 신생아의 심도자 및 조영술은 심초음파적 진단의 발전으로 선천성 심질환에서 진단적 비중은 줄어들었으나 치료 목적의 중재적 시술이 체중과 관계없이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을 제외하면 비교적 좋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