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라늄의 입자크기, 흡수형태 및 섭취형태가 내부피폭선량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MAD, Absorption Type, and Intake Pattern on the Result of Evaluation for Internal Dose by Inhalation of Uranium 원문보기

방사선방어학회지 = Radiation protection :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v.28 no.4, 2003년, pp.321 - 325  

이종일 (한국원자력연구소) ,  이태영 (한국원자력연구소) ,  장시영 (한국원자력연구소) ,  이재기 (한양대학교 원자력공학과)

초록

방사선작업종사자가 우라늄을 5년간 만성 흡입섭취하는 경우, 우라늄의 입자크기$(0.1{\sim}10{\mu}m)$, 흡수형태(Type M, Type S) 및 섭취형태(급성, 만성)가 방사선작업종사자의 내부피폭선량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라늄을 1 Bq/day의 섭취율로 섭취할 경우 매분기 폐 방사능 값을 계산하여 실제 일상감시에서의 폐 방사능 측정값으로 간주하였고, 이 측정값으로부터 섭취량 및 예탁유효선량을 평가하였다. 5년간의 우라늄 섭취로 인한 예탁유효선량 평가 결과는 입자크기에 따라 $-37.0{\sim}49.8%$, 흡수형태에 따라 $15.9{\sim}56.6%$, 섭취형태에 따라 $0.55{\sim}4.52%$의 오차를 보였다. 이와 같이 입자크기 및 흡수형태는 분기별 측정값에 근거한 예탁유효선량 평가 결과에 큰 영향을 주었으나, 섭취형태는 평가 결과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AMAD, absorption type, and intake pattern were compared and analysed for the internal dose evaluation of workers who chronically inhale uranium. The committed effective doses$(E_{50})$ based on AMAD, absorption type, and intake pattern were evaluated using 3 monthly lung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AMAD, 흡수형태, 섭취형태에 따라 방사성 핵종의 인체 내 거동이 달라지고, 이로 인해 섭취량 및 예탁유효 선량 평가 결과도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MAD, 흡수 형태, 섭취 형태가 우라늄(U3O8)을 만성 흡입 섭취하는 방사선작업 종사자의 내부피폭선량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할지라도 입자 크기는 하나의 값을 갖는 것이 아니고 분포를 이루므로 측정 중간 값을 입자크기로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방사선 작업장 내의 입자크기에 대한측정값이 없을 경우에는 5 ㎛를 기본값으로 본다는 ICRP의 권고에 따라 입자크기를 5 ㎛로 가정한다. 본 연구에서 예탁유효선량평가에 사용한 입자 크기는 핵연료 제조 공장에서 일반적으로 관측 가능한 0.
  • 그러나 폐계측 값은 235U 방사능이므로, 이 값으로부터 235U에 대한 섭취량을 구한 235U 존재비 대 우라늄의 전방사능에 대한 234U,235U 및 238U의 방사능 분율비를 이용하여234U, 238U의 섭취량을 구하였다 [7]. 단, 본 연구에서는 235U의 농축도를 3.5%로 가정하였다. 총우라늄에 대한 예탁유효 선량은 234U, 235U, 238U의 각 섭취량에 각 핵종과 입자 크기 및 흡수 형태에 따른 예탁유효 선량 환산계수[8]를 각각 곱한 값을 모두 더하여 구하였다 [7].
  • 만성섭취로 가정하여 섭취량을 평가할 경우에는 측정일과 측정일 사이의 기간에서 동일한 섭취율로 만성 섭취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급성 섭취로 가정하여 섭취량을 평가할 경우에는 섭취 가 능 기간 즉 감시 주기의 중간시점에서 단일 섭취하는 것으로 하였다.
  • 나누어진다.만성섭취로 가정하여 섭취량을 평가할 경우에는 측정일과 측정일 사이의 기간에서 동일한 섭취율로 만성 섭취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급성 섭취로 가정하여 섭취량을 평가할 경우에는 섭취 가 능 기간 즉 감시 주기의 중간시점에서 단일 섭취하는 것으로 하였다.
  • 따라서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는 적용 가능한 기준 조건을 권고하고 있다. 방사선작업종사자에 대한선량평가에는 5 ㎛의 AMAD를 사용하도록 권고하였고, 각 방사성 화합물에 대한 흡수형태를 지정하였으며, 섭취 시점을 모를 경우에는 섭취 가능 기간의 중간 시점에서 급성 섭취한 것으로 가정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AMAD, 흡수형태, 섭취형태에 따라 방사성 핵종의 인체 내 거동이 달라지고, 이로 인해 섭취량 및 예탁유효 선량 평가 결과도 달라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ndividual Monitoring for Internal Exposure of Workers Replacement of ICRP Publication 54, ICRP Publication 78, Ann ICRP. 27(3/4), Pergamon Press, Oxford, UK (1997) 

  2.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ndividual Monitoring for Internal Exposure of Workers: Design and Interpretation, ICRP Publication 54, Ann ICRP. 19(1-3), Pergamon Press, Oxford, UK (1988) 

  3.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Limits for Intakes of Radionuclide by Workers, ICRP Publication 30, part 1, Ann ICRP. 2(3/4), Pergamon Press, Oxford, UK (1979a) 

  4.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Human Respiratory Tract Model for R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66, Ann ICRP. 24(1-4), Pergamon Press, Oxford, UK (1994a) 

  5. Tae Young Lee, Jong II Lee, Si Young Chang, 'The BiDAS: Bioassay Data Analysis Software for Evaluating Radionuclide Intake and Dose', 2003 International Symposium on Radiation Safety Management, pp. 606-613, November 5-7, Daejeon, Korea (2003) 

  6. 이종일, 이태영, 장시영 '방사성핵종의 흡입섭취 후 전신, 장기 및 배설물에서의 섭취량 분율 계산', 한국원자력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10.24-25, 용평 리조트 (2002) 

  7. 이종일, 이태영, 장시영, 이재기, '방사능 입자 크기에 따른 예탁유효선량 평가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특별감시기간 결정', 한국원자력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3.10.30- 31, 용평리조트 (2003) 

  8.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The ICRP Database of Dose Coefficients: Workers and Members of the Public. Version 1.0. CD-Rom distributed by Elsevier Science Ltd., Oxford and New York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