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 건축자재 및 생활 가공제품 중 천연방사성핵종(238U, 232Th)의 농도 평가를 위한 분석법 연구
Study on the determination methods of the natural radionuclides (238U, 232Th) in building materials and processed living products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31 no.4, 2018년, pp.149 - 160  

이현우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실) ,  임종명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실) ,  이훈 (한국원자력안전재단 방사선안전부) ,  박지영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실) ,  장미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실) ,  이진홍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는 많은 수의 친환경 및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생활제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 제조 시 원료물질에 존재하는 모나자이트, 토르말린 등 방사능 농도가 높은 물질이 가공제품 내에 함께 유입 될 수 있어 원료물질과 함께 국민 생활과 밀접한 가공제품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정확한 방사능 농도 분석 자료 및 유효성이 검증된 분석방법의 이용 및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방사성 물질의 신속 스크리닝을 위한 ED-XRF 분석법과 정밀분석의 목적으로 ICP-MS를 이용하여 실내 건축자재 및 생활제품 내의 천연방사성핵종($^{238}U$, $^{232}Th$)의 농도를 정량분석하고 비교 및 평가하였다. 타일, 시멘트, 페인트, 벽지, 석고보드 등 총 47 종의 실내 건축자재와 건강제품, 섬유제품, 광물질 등 총 47 종의 생활 가공제품의 실제시료를 분석한 결과, ED-XRF 및 ICP-MS의 결과값은 전체적으로 1:1의 선형성을 보였으며 ED-XRF를 이용한 신속 스크리닝의 적용성과 ICP-MS를 이용한 정량분석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가공제품 중의 $^{238}U$, $^{232}Th$ 방사능 농도는 생활제품에 비해서 건축자재에서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으며 특히 생활제품은 47 개 중 6 개의 제품이 원료물질의 관리기준치($1.0Bq{\cdot}g^{-1}$)를 초과(최대 $8.2Bq{\cdot}g^{-1}$)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arge number of functional living products are being produced for eco-friendly or health-promoting purpos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uch products could be adulterated with raw materials with high radioactivity, such as monazite and tourmaline. Thus, it is essential to manage raw material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천연방사성핵종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량은 일반 환경에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지만 산업활동 등에 의해 인위적인 조작과정을 거치면서 천연 방사성물질이 농축 또는 변형되는 경우 방사선 노출에 따른 잠재적인 위험성이 보고되고 있다.1-3 국내에서는 우주/지각 방사선을 포함하여 원료물질, 공정부산물, 가공제품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 2012년 7월에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이하 생방법)을 시행하였으며, 천연방사성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종사자 및 최종 가공제품 사용에 따른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예방하며 생활주변에서 발생될수 있는 방사선 피폭을 저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서 정확한 방사능 농도 분석 자료가 필요하며 유효성이 검증된 분석방법의 이용 및 개발이 필수적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속 스크리닝 목적으로 EDXRF를 이용하고 정밀분석 목적으로 ICP-MS를 이용하여 생활주변 가공제품군 중 건축자재 및 생활제품 중의 천연방사성핵종의 농도를 분석하고 두 분석법간의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법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 인증표준물질(Certified Reference Material) 5 종을 사용하였으며 국내의 천연방사성핵종 함유 가능성이 있는 제품 중 타일, 시멘트, 페인트, 벽지, 석고보드와 같은 건축자재 47 종, 건강제품, 섬유제품, 광물질 등과 같은 생활밀착형 제품 47 종을 선정하여 U과Th의 방사능 농도를 분석하고 분포 특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ED-XRF와 ICP-MS를 이용하여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실내 건축자재와 생활 가공제품 내의 천연방사성핵종 중 238U, 232Th의 방사능 농도를 분석하였다. 실제 시료 사용에 앞서 분석전과정의 적합성 및 유효성 평가를 위해 시료와 매질이 유사한 인증표준물질 5 종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값의 인증값에 대한 진도를 평가하는 지표인 U-test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ED-XRF의 신속분석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94 종의 가공제품 중 238U과232Th의 방사능 농도를 ED-XRF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동일시료에 대해 정밀분석법으로서 ICP-MS 분석이 수행되었다. 두 분석법에서 도출된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0.
  • 분석 시험방법의 유효성 평가는 인증표준물질의 해당 원소에 대한 인증값과의 근접성을 평가하는 정확도와 정밀도 평가와 다양한 매질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는 선택성(selectivity), 둔감도(ruggedness) 평가, 그리고 불확도 평가를 주요 요인으로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유효성 평가 항목 중 측정치의 참값에 대한 접근도를 나타내는 분석 정확도[(experimental value-certified value)/certified value, %]와 정밀도(standard deviation/mean of experimental value, %)를 다양한 매질의 인증표준물질 5 종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통계적 방법을 통해 분석값의 인증값에 대한 진도(trueness)를 평가하는 지표인 U-test 결과를 Fig.
  • 1 Bq·g−1)에서비교적 정확하고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신속분석법으로써 ED-XRF는 적용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ED-XRF의 신속분석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공제품 중 238U과 232Th의 방사능 농도를 ED-XRF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동일시료에 대해 정밀분석법으로써 ICP-MS 분석이 수행되었다. 두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된 결과는 다음의 Fig.

가설 설정

  • 24-25 인증값이 제시되지 않은 SRM 600의 경우 α-spectrometer 분석 결과를 이용하였고, 인증값의 불확도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값의 5%를 상대확장불확도로 가정하고 U-score 값을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주선 기원 천연방사성핵종(Cosmogenic NORM)과 지각 기원 천연방사성핵종의 각각의 특성은 무엇인가? 천연방사성핵종은 우주선 기원 천연방사성핵종(Cosmogenic NORM)과 지각 기원 천연방사성핵종(Terrestrial NORM)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주선 기원 천연방사성핵종(14C, 3H, 22Na, 7Be)은 지각 기원 천연방사성핵종에 비해 방사선량이 아주 미비한 수준으로서 비행 중 우주방사선에 의한 피폭을 제외하면 크게 고려되지 않는다. 지각 기원 천연방사성핵종은 40K과7Be 등 붕괴계열을 이루지 않는 핵종과 238U의 우라늄계열, 235U의 악티늄 계열, 232Th의 토륨 계열, 237Np의넵티늄 계열 등 붕괴계열을 이루는 핵종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토양, 암석 등의 지질특성에 따라 매질별 농도분포가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생활주변 환경, 원료물질 등을 취급하는 산업 환경 또는 생활용품 등에 대해 천연방사성핵종 분석 시에는 238U, 235U, 232Th,226Ra, 40K을 대상으로 하며 대표적으로 238U과 232Th을 주요 분석항목으로 하여 평가하고 있다.
천연방사성물질은 무엇인가? 천연방사성물질(NORM,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은 238U, 235U, 232Th, 40K과 같은 천연 방사성 핵종 및 그 딸핵종들을 함유하는 물질로서 지구의 생성과 동시에 발생하여 모든 환경 중에 존재한다. 천연방사성핵종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량은 일반 환경에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지만 산업활동 등에 의해 인위적인 조작과정을 거치면서 천연 방사성물질이 농축 또는 변형되는 경우 방사선 노출에 따른 잠재적인 위험성이 보고되고 있다.
천연방사성핵종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량은 어느 때에 위험성을 가지는가? 천연방사성물질(NORM,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은 238U, 235U, 232Th, 40K과 같은 천연 방사성 핵종 및 그 딸핵종들을 함유하는 물질로서 지구의 생성과 동시에 발생하여 모든 환경 중에 존재한다. 천연방사성핵종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량은 일반 환경에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지만 산업활동 등에 의해 인위적인 조작과정을 거치면서 천연 방사성물질이 농축 또는 변형되는 경우 방사선 노출에 따른 잠재적인 위험성이 보고되고 있다. 1-3 국내에서는 우주/지각 방사선을 포함하여 원료물질, 공정부산물, 가공제품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 2012년 7월에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이하 생방법)을 시행하였으며, 천연방사성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종사자 및 최종 가공제품 사용에 따른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예방하며 생활주변에서 발생될수 있는 방사선 피폭을 저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The 2007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103, 2007. 

  2.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Extent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by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 (NORM) and technological options for mitigation', Tech report 419, 2003. 

  3. A. S. Paschoa, Appl. Radiat. Isot., 49, 189-196 (1998). 

  4. Nuclear Safty and Security Commission, No. 14115 (2017.03.30.), Republic of Korea. 

  5. M. Mola, M. Palomo, A. Penalvear, C. Aguilar, and F. Borrull, J. Hazard. Mater., 198, 57-64 (2011). 

  6. F. S. Al-Saleh and G. A. Al-Harshan, J. Environ. Radioact., 99, 1026-1031 (2008). 

  7. Y. Y. Ji, K. H. Chung, J. M. Lim, C. J. Kim, M. Jang, M. J. Kang, and S. T. Park, Appl. Radiat. Isot., 97, 1-7 (2015). 

  8. A. Papadopoulos, G. Christofides, A. Koroneos, S. Stoulos, and C. Pa-pastefanou, Appl. Radiat. Isot., 75, 95-104 (2013). 

  9. H. Tuovinen, D. Vesterbacka, E. Pohjolainen, D. Read, D. Solatie, and J. Lehto, J. Geochem. Explora., 148, 174-180 (2015). 

  10. J. L. Mas, M. Villa, H. Hurtado, and R. Garcia-Tenorio, J. Hazard. Mater., 205-206, 198-207 (2012). 

  11. Y. S. Kim, J. Kor. Soc. Cloth. Ind., 12(2), 240-245 (2010). 

  12.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http://public-blog.nrc-gateway.gov/2014/07/28/negative-iontechnology-what-you-should-know, Assessed 28 July 2014. 

  13. Korea Foundation Of Nuclear Safety, 'Anion-Radioactivity Correlation Analysis Result', 2017. 

  14.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MEXT), 'Guideline for Ensuring Safty of Raw Materials and Products Containing Uranium or Thorium', 2009. 

  15. European Commission, Radiation protection 112, 'Radiological Protection Principles concerning the Natural Radioactivity of Building Materials', 1999. 

  16. J. Niu, P. E. Rasmussen, A. Wheeler, R. Williams, and M. Chenier, J. Atmos. Environ., 44, 1026-1031 (2010). 

  17. J. Y. Park, J. M. Lim, Y. Y. Ji, C. S. Lim, B. U. Jang, K. H. Chung, W. N. Lee, and M. J. Kang, J. Radiat. Prot. Res., 41(4), 359-367 (2017). 

  18. T. Trojek and T. Cechak, Radiat. Prot. Dosimetry., 164, 529-532 (2015). 

  19. I. Croudace, P. Warwick, R. Taylor, and S. Dee, Anal. Chim. Acta., 371, 217-225 (1998). 

  20. J. K. Haken, Ind. Eng. Chem. Prod. Res., 25, 163-171 (1986). 

  21. H. E. Carter, P. Warwick, J. Cobbb, and G. Longworth, Analyst., 124, 271-274 (1999). 

  22. N. M. Hassan, T. Ishikawa, M. Hosoda, A. Sorimachi, S. Tokonami, Ma. Fukushi, and S. K. Sahoo, J. Radioanal. Nucl. Chem., 283, 15-21 (2009). 

  23. J. M. Lim, H. Lee, C. J. Kim, M. Jang, J. Y. Park, and K. H. Chung, J. Anal. Sci. Technol., 30(5), 252-261 (2017). 

  24. C. J. Brookes, I. G. Betteley, and S. M. Loxton, 'Fundamentals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Wiley, 1979. 

  25. M. Seferinoglu, A. Dirican, P. E. Erden, and D. Ericin, Appl. Radiat. Isot., 94, 355-362 (2014). 

  26. J. Mantero, M. Lehritane, S. Hurtado, and R. Garcia-Tenorio, J. Radioanal. Nucl. Chem., 286, 557-563 (2010). 

  27. J. L. Todoli and J. M. Mermet, 'Liquid Sample Introduction in ICP Spectrometry A Practical Guide', 1st Ed., Elsevier, 2008. 

  28. W. Schroeyers, Z. Sas, G. Bator, R. Trevisi, C. Nuccetelli, F. Leonardi, S. Schreurs, and T. Kovacs, J. Construc. Build. Materials., 159, 755-767 (2018). 

  29. N. Ibrahim, J. Environ. Radioact., 43, 255-258 (1999). 

  30. Y. H. Cho, C. J. Kim, J. Y. Yun, D. H. Cho, and K. P. Kim, J. Radiat. Prot., 3, 181-190 (2012). 

  31. M. Lust and E. Realo, Proceedings. Estonian. Academy. Sci., 61(2), 107-11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