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가뭄 경보기준과 모니터링 시스템
Drought Triggers and Monitoring System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6 no.3 = no.134, 2003년, pp.375 - 384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  이대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  강신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거의 5년마다 심한 가뭄이 발생하고 있고 과거에 발생한 많은 가뭄의 경험으로 제도적 측면에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및 물 관리기관의 제휴에 의하여 원활한 가뭄대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가뭄 대책은 가뭄이 심하게 진행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원인은 체계적인 가뭄 모니터링과 가뭄단계 기준의 미비에서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지수의 시공간적인 해석과 과거 정부의 가뭄대책을 통하여 경보를 위한 가뭄단계 기준을 설정하였다. 가뭄단계는 준비, 주의, 경보 및 비상의 4단계로 분류하였고 각 단계에 해당되는 가뭄지수의 범위 및 가뭄면적을 제시하였다. 또한 Web 기반으로 개발된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re drought tends to occur in almost event five years in Korea. Drought responses have been well operated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the water management authorities on the institutional framework. However, the responses are usually post-activities to a drought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의 목적은 가뭄지수로서 가장 널이 이용되고 있는 PDSK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SPI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및 SWSKSurface Water Supply Index)의 전국적인 가뭄지수의 분석과 과거 가뭄기간의 정부 대책의 평가를 통하여 가뭄단계발령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가뭄 모니터링과 가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Web기반 가뭄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가뭄 모니터링과 가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Web기반 가뭄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도 가뭄 단계 기준은 준비, 주의, 경보 및 비상 4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각 단계는 가뭄지수, 가뭄 면적 비율 및 과거 시행된 정부의 가뭄대응을 분석하여 설정하고자 하였다.
  • 표 2에 제시한 가뭄 기간은 1977년부터 가장.최근에 발생했던 2001년까지의 연도 중에서 가뭄의 심도가 크고 피해대상 지역 범위가 넓어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대응 조치가 취해졌던 월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가뭄 대응 상황과 이들 시기의 가뭄지수의 비교에 의해 표 1에 제시되어 있는 가뭄의 상황과 실제 가뭄 상황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가뭄지수에 따른 가뭄단계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가뭄지수들은 한계성이 있고, 우리나라의 과거 가뭄 연도에 산정된 가뭄지수의 결과도 실제상황과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하나의 가뭄지수만으로 가뭄의 단계를 규정할 수는 없는 어려움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PDSI와 6개월 및 3개월 지속기간의 SPI, SWSI를 조합하여 가뭄 단계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가뭄단계의 설정은 먼저 과거 가뭄 기간에 있었던 가뭄 대응을 기준으로 준비, 주의, 경보 및 비상을 설정하고 이때의 가뭄지수를 파악하여 각 단계별 가뭄지수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과거의 가뭄 대응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4단계에 따라 가뭄 대응이 이루지지 않았고, 대부분의 대응은 주의와 경보 단계에서 수행되는 시책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 수립한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은 가뭄의 시. 공간적인 전개 과정의 조기 확인을 통하여 물 수요자와 공급자들이 가뭄에 대비함으로서 피해경감을 최대한 유도하기 위해 구축되었다. 제공 자료는 가뭄지수 강수량 및 저수량 현황 등 기뭄을 여러 측면에서 정량화하여 파악할 수 있는 항목들이다.
  • 그림4는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대표적인 가뭄 모니터링 정보이다. 또한 본 시스템은 가뭄지수를 토대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지역적인 가뭄 단계를 발령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가뭄 심화 정도에 따라 가뭄 지역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가뭄 관련 기관들이 단계별 대응조치를 선정하고 수행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과거 발생하였던 가뭄 기간의 가뭄지수, 가뭄지역의 면적 및 시행된 정부의 가뭄대책을 이용하여 가뭄단계를 설정하였다. 가뭄단계는 준비, 주의, 경보 및 비상의 4단계로 분류하였고, 각 단계별 가뭄지수의 범위와 가뭄 면적 비율을 설정하였다.
  • 또한 본 시스템은 가뭄지수를 토대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지역적인 가뭄 단계를 발령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가뭄 심화 정도에 따라 가뭄 지역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가뭄 관련 기관들이 단계별 대응조치를 선정하고 수행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강인주, 윤용남 (2002a). '가뭄관리를 위한 수문학적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1. 마코프연쇄를 이용한 PDSI의 추계학적 거동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5호, pp. 583-595 

  2. 강인주, 윤용남 (2002b). '가뭄관리를 위한 수문학적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2. 가문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방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5호, pp. 597-609 

  3. 김기승, 송태정 (2001). '가뭄의 경제적 손실.' LG 주간 경제 6월 20일, pp. 23-25 

  4. 김상민, 박승우 (1999). '우리나라 주요 지점에 대한 가뭄지수의 산정과 비교.'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41권, 제5호, pp. 43-52 

  5. 김선주, 이광야, 신동원 (1995). '관개용 저수지의 한발지수 산정.'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37권, 제6호, pp. 103-111 

  6. 건설교통부 (1998). 한강수계 하천수 실태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보고서 

  7. 조홍제 (1996). '도시지역 용수관리를 위한 가뭄 예경보 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9권, 제1호, pp. 221-233 

  8. 윤용남, 안재현, 이동률 (1997). 'Palmer의 방법을 이용한 가뭄의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4호, pp. 317-326 

  9. 이동률 (1998). 한국과 미국대륙의 가뭄에 대한 엘니뇨의 영향, 책임연구과제 보고서, 건기연 98-07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 이동률 (1999). '엘니뇨/남방진동과 한국의 가뭄과 관계.'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2호, pp. 111-120 

  11. 이동률 (2002). '국가가뭄관리 시스템의 구축방안.' 2002년 가뭄대책 심포지움-가뭄의 진단과 가뭄극복 종합대책, 한국방재협회, pp. 121-156 

  12. 임경진, 심명필, 성기원, 이현재 (2001). '다양한 시계열을 이용한 가뭄지표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6호, pp. 673-685 

  13. 한국수자원공사 (2002). 가뭄관리종합대수립연구보고서 

  14. Brislawn, J., M. Gally and L. Boulas (2001). The Colorando Drought Mitigation and Response Plan. Colorado, USA. 

  15. Hays, M. (1998). Drought indices.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Lincoln, Nebraska 

  16.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hme Scales.' 9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oston 

  17. Palmer, W.C. (1965). Meteological Drought U.S. Weather Bureau 

  18. Plamer, R. N., S. L. Kuting and A. C. Steinemann (2002). 'Developing Drought Triggers and Drought Responses: An Application in Georgia.' Proceeding of the 2002 Conference on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EWRI, Virginia, USA, Session B3 

  19. Shafer, B. A. and L. E. Dezman (1982). 'Development of 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 to Assess the Severity iof Drought Conditions in Snowpack Runoff Areas.' Western Snow Conference, pp. 164-175 

  20. Wilhite, D.A., M.V.K. Sivakumar and D.A. Wood (eds.) (2000). 'Early Warning Systems for Drought Preparedness and Management.' Proceedings of an Experts Group Meeting, World Meteorologinal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