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 평가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Structure of luminous Environment in o residential space and office work space 원문보기

照明·電氣設備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17 no.2, 2003년, pp.1 - 9  

이선영 (진주산업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본 연구는 공간 특성이 서로 다른 주거공간과 사무공간의 조명환경 평가구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분위기항목과 행위항목과의 관계를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먼저 조명환경에 대한 평가항목으로써 20개의 분위기항목과 15개의 행위항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SD법에 의한 주관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간의 특성이 달라도 조명환경의 분위기평가는 <활동성>, <안정감>, <고급감>의 3인자로 설명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위 인자에 있어서는 주거공간의 경우 <작업행위>,<휴식행위>,<오락행위>의 3인자가 추출되었고, 사무공간의 경우 <작업행위>, <비작업행위>의 2인자가 추출되었다. 주거공간에서의 3가지 행위인자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인자는 <활동성>인자로 나타났으며, 사무공간의 경우, <작업행위>는 <활동성>인자가, <비작업행위>는 <고급감>인자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to find the difference of evaluation structure between a residential space and of ace work space and to examine a relation between mood item and behavior items on evaluation of the luminous environment. First 20 mood items md 15 behavior item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item on the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분위기와 행위를 평가척도로 사용하는 평가실험을 통하여 서로 다른 주거공간과 사무공간의 조명환경 평가구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분위기항목과 행위 항목과의 관계를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Y. Lee, S. J. Kim,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Effect of Housing Lighting”, J. Archit. Plann. Environ. Eng. AIK, Vol.17, No.9, pp.297-284, 2001. 

  2. H. J. Lee, S. P. Han, J. S. Lee, “Analyzing the Color Shift and the Psychological Reaction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Source ”, Proceeding of AIK, pp.841-846, 1999.10. 

  3. E. Ishibashi, T. Yatogo, K. Nomura, “Diversity of a Mental Process on yhe Lighting Effects for Elderly Persons”, J. Archit. Plann. Environ. Eng., AIJ, No.514, pp.119-124, 1998. 

  4. N.Hajimu,K.Yoshinoriand S.Mayumi, “Systematization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Lighting Factors by Subjective Appraisal of the Lighted Environment in the Residential Living Room”, J. Illum. Engng. Inst. Jpn. Vol.80 No.11, pp.11-18, 1996. 

  5. M. Yasuhiro et al., “A Study on the Variation of Interior Atomosphere as Affected by Light Distribution”, Proceeding of AIJ ,pp.961-962,1993. 

  6. R. Hirose et al., “Psychological Effects of Lighting in a Living Room”, Proceeding of AIJ, pp.85-88, 1991. 

  7. S. Y. Lee et al., “Effects of Brightness Distribution on Psychological Appraisal in a Living Room”, J. Archit. Plann. Environ. Eng., AIJ, No.497, pp.1-6, 1997. 

  8. A. R. Bean, A. G. Hopkins, “Task and Background Lighting”, Lighting Research & Technology, Vol.12, pp.135-139, 1980. 

  9. J. b. Collins, C. G. H. Plant, “Preferred Luminance distribution in Windowless Spaces ”, Lighting Research & Technology, Vol.3, pp.219-231, 1971. 

  10. J. e. Flynn, T. J. Spencer, O. Martyniuk, C. Hendrick, “Interim Study of Procedures fo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Light on Impressions and Behavior”, J. of the IES, Vol.3, pp.87-94, 1973. 

  11. C. A. Bernecker, R. G. Davis, M. p. Webster, and J. P. Webster, “Task Lighting in the Open Office”, J. of the I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 pp.18-25, Winter 1993. 

  12. N. Mochizuki et al., “Psychological Effects of Luminance Distribution in Behavior Setting”, Proceeding of AIJ, pp.317-318, 1992. 

  13. M. Kenji et al., “Lighting Conditions for some Behaviors in Living Rooms”, Proceeding of AIJ, pp.1131-1132, 1993. 

  14. A. Mochizuki, M. Ujigawa, K. Hirate, “The Relation Between Preferred Lighting and Behavior in Office”, J. Archit. Plann. Environ. Eng. AIJ No.479, pp.17-25, 1996. 

  15. K. Shigeo et al., “Illuminance Level and Uniformity of Interior Ambient Lighting for Behaviors of Daily Life”, J. Archit. Plann. Environ. Eng. AIJ, No.481, pp.13-22, 1996. 

  16. K. Michiko et al., “ Psychological Evaluation of Celling Light in Room Actions”, Proceeding of AIJ, pp.293-294, 1983. 

  17. P. L. Butler, P. M. Biner, “Preferred Lighting Levels -Variability Among Setting, Behaviors and Individuals-”, ENVIRONMENT AND BEHAVIOR, Vol.19, No.6, pp.695-721, 198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