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의 숙성과 칼슘함량에 미치는 조개류 껍질 물추출물 첨가효과
Effect of Water Extracts of Shellfish Shell on Fermentation and Calcium Content of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2, 2003년, pp.161 - 166  

김미정 (신성대학교 호텔식품계열) ,  김미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산업학부) ,  김순동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의 칼슘자원인 조개류 껍질 물추출물을 사용하여 보존성이 높고 체내 흡수력이 양호한 젖산칼슘의 함량이 높은 김치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시료는 꼬막, 맛조개, 모시조개, 바지락, 굴 및 소라껍질의 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절임배추에 대하여 5%를 첨가하여 1$0^{\circ}C$에서 숙성시켰다. 조개류 껍질의 칼슘함량은25.57~38.78%이었다. 조개류 껍질 물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의 pH는 전 숙성 기간을 통하여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산도는 특히 숙성 후기 에 낮았다. 총 균수는 조개 껍질 물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나 젖산균수는 첨가구에서 높았다. 숙성 7일 이후의 조회분 함량은 첨가구 (3.31~4.99%)가 대조구(2.75~3.01%)넓다 높았다. 칼슘의 함량은 첨가구(300.2~376.0 mg%)가 대조구(69.9~95.0mg%) 보다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굴 껍질과 모시조개 껍질 물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에서 높았다. 조개류 껍질 물추출물을 첨가한 김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아삭아삭한 조직감(crispiness)이 높은 반면 산미는 약했으며, 종합적 인기호도는 담금일 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숙성 14일 이후에는 전반적으로 첨가구에서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fortify Kimchi with water extracts of shells of shellfishes (corb shell, short neck clam, taste clam, ark shell, top shell, oyster) as natural resource of calcium. Kimchi added with the shell extracts in 5% were fermented at 1$0^{\circ}C$ with measurements in che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관능검 사는 25명 의 관능요원 에 의하여 사각사각한 맛, 신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를 5점 척도법(15)으로 측정하였다. 즉, 사각사각한 맛과 신맛은 아주 높거나 강하다(5점), 높거 나 강하다(4점), 보통이 다(3점), 낮거 나 약하다(2점), 아주 낮 거나 아주 약하다(1점 로 하였으며, 종합적인 기호도는 아주 좋다(5점), 좋다(4점), 보통이다(3점), 나쁘다(2점), 아주 나 쁘다(1점)로 평가하였다.
  • 김치 조직과 국물을 합하여 살균한 Polytron homogenizer 로 파쇄 한 후 무균적 으로 시료 1 mL을 0.1% peptone수로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총균수는 nutrient agar①ifco) 배지에, 젖산균 수는 0.002% bromophenol blue를 첨가한 MRS(Difco) 배지에 접종하여 37℃ 항온기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colony를 계측하였다(14).
  • 본 연구에서는 천연의 칼슘자원인 조개류 껍질(모시조개, 바지 락, 맛조개, 꼬막, 소라 및 굴)의 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보존성이 높고 체내 흡수력이 양호한 칼슘락테이트 함량이 높은 김치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 천연의 칼슘자원인 조개류 껍 질 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보 존성이 높고 체내 흡수력이 양호한 젖산칼슘의 함량이 높은 김치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시료는 꼬막, 맛조개, 모시조개, 바지락, 굴 및 소라껍질의 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절임배 추에 대하여 5%를 첨가하여 10℃에서 숙성시켰다. 조개류 껍 질의 칼슘함량은 25.
  • 물 추출물의 제조

    조개류 껍 질분말 50 g에 증류수 500 mL을 가하여 냉각기 를 부착한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3시 간동안 비등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Miracloth(Biochem.

  • 관능검 사는 25명 의 관능요원 에 의하여 사각사각한 맛, 신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를 5점 척도법(15)으로 측정하였다. 즉, 사각사각한 맛과 신맛은 아주 높거나 강하다(5점), 높거 나 강하다(4점), 보통이 다(3점), 낮거 나 약하다(2점), 아주 낮 거나 아주 약하다(1점 로 하였으며, 종합적인 기호도는 아주 좋다(5점), 좋다(4점), 보통이다(3점), 나쁘다(2점), 아주 나 쁘다(1점)로 평가하였다.
  • 천연의 칼슘자원인 조개류 껍 질 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보 존성이 높고 체내 흡수력이 양호한 젖산칼슘의 함량이 높은 김치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시료는 꼬막, 맛조개, 모시조개, 바지락, 굴 및 소라껍질의 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절임배 추에 대하여 5%를 첨가하여 10℃에서 숙성시켰다.
  • , Korea)로 옮겨 600"C에서 회화시켜 항량을 구하였다. 칼슘 의 함량은 6 N HC1 10 mL를 가하여 하루 밤 동안 용해 시 킨 후 Whatman No. 6 여 과지로 여과하였으며 , 100 mL로 정용 하여 ICP-AES(JY 38 Plus, France)로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은 frequency 40.

대상 데이터

  • 김치 담금재료로 배추는 가을 결구배추(가락신 1호)로서 개체당 중량이 2.5 kg 내외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소금은 천 일염(한주소금)을, 기타 부재료로 고춧가루, 마늘 및 생강을 사용하였다. 조개류는 2000년 10월 충청남도 서해안 안면도 및 태안에서 수집한 모시조개(corb shell), 바지 락(short neck clam), 맛조개 (taste clam), 꼬막(ark shell), 소라(top shell), 굴(oyster)을 구입하였으며, 껍질을 분리한 후 증류수로 세척 하고 자연건조시켜 150 mesh 입도로 분쇄하여 재료로 사용하였다.
  • 조개류 껍질의 칼슘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실험에 사용한 6종 조개류(꼬막, 맛조개, 모시조개, 바지 락, 굴, 소라)의 칼슘함량은 36.23~38.78% 범 위 였으며 조개 류 중에서는 맛 조개의 칼슘함량이 다소 낮았으나 그 외는 비슷하였다. 조개류 껍질의 주성분은 칼슘(16)으로 알려져 있다.
  • 조개류 껍질은 분말상태로, 김치의 경우는 양념을 거즈로 깨끗이 제거시킨 배추의 백색줄기부분만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조회분의 함량은 시료 10 g을 증발접시에 칭량하여 전 기곤로를 사용하여 태운 후 회화로(HY-4500, Hwashin Co.
  • 5 kg 내외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소금은 천 일염(한주소금)을, 기타 부재료로 고춧가루, 마늘 및 생강을 사용하였다. 조개류는 2000년 10월 충청남도 서해안 안면도 및 태안에서 수집한 모시조개(corb shell), 바지 락(short neck clam), 맛조개 (taste clam), 꼬막(ark shell), 소라(top shell), 굴(oyster)을 구입하였으며, 껍질을 분리한 후 증류수로 세척 하고 자연건조시켜 150 mesh 입도로 분쇄하여 재료로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분석은 3회 반복 측정한 평균치 및 평균치 士표준편차로 나 타내었으며 관능검사 및 평균치의 유의성 검증은 SPSS(sta- tistical package social science, version 7.5)를 이용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1. DB of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 Park IH. 1994. Foods and principle of cooking. Suhaksa, Seoul. p 138-151. 

  3. Kaneko K, Otoguro C, Hihara M, Tsuji K, Odake S, Maeda Y. 1993. Effect of ashed egg shell and ashed oyster shell on hardness, chemical compositions and tissue structure of brined ume fruit.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40: 577-582. 

  4. Kim SD, Kim MK, Kang MS, Lee YK, Kim DS. 2000. Effect of ark shell powder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of kimchi. Food Sci Biotechnol 9: 280-284. 

  5. Reddy NR, Flick GJ, Dupuy HP, Boardman GD. 1989. Characterization and utilization of dehydrated wash waters from clam processing plants as flavoring agents. J Food Sci 54: 55-59. 

  6. Tsuda T, Sugaya A, Kaneko E, Ohguchi H, Katoh K. 1998. Pharmacological studies on longju and oyster shell. Natural Medicines 52: 300-309. 

  7. Okuhira T, Kuwana Y. 1995. Technical information updat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tangle minerals. Technical J Food Chemistry & Chemicals, Tokyo, Food Chemistry Newspaper Office 13: 112-117. 

  8. Anthony JE, Hadgis PN, Milam RS, Herzfeld GA, Taper LJ, Ritchey J. 1983. Yields,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fish shellfish. J Food Sci 48: 313-314. 

  9. Rhee HS, Lee GJ. 1993. Changes in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radish and relevant chemical, enzymatic activities during salting. Korea J Dietary Culture 8: 267-274. 

  10. Oh YA, Kim, SD. 1995. Effect of salting in salt solution added calcium chloride on the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5: 287-298. 

  11. Oh YA, Kim SD. 1997. Changes in enzyme activities of salted Chinese cabbage and kimchi during salting and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404-419. 

  12. Kim SD, Kim ID, Park IK, Kim MH, Kim SD. 1999. Effect of calcium lactate and acetate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333-338. 

  13. Pyun JW, Hwang IK. 1965. Preparation of calcium-fortified soymilk and in vitro digestion properties of its protein and calcium.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995-1000. 

  14. Lee BW, Shin DH. 1991. Antimicrobial effect of some plant extract and their fractionates for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5-211. 

  15. Herbert A, Joel LS. 1993. Sensory evaluation practices. 2nd ed. Academic Press, USA. p 68-75. 

  16. Anthony JE, Hadgis PN, Milam RS, Herzfeld GA, Taper LJ, Ritchey J. 1983. Yields,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fish shellfish. J Food Sci 48: 313-314 

  17. Kim SD, Kim MK. 1999. Science of kimchi. Press of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ungsan, Korea. p 43-52. 

  18. Office of Rural Development, Rural Nutrition Institute. 2000. Food Composition Table. Hanjin Press. p 298-299. 

  19. Kim SD, Kim MH, Kim ID. 1996. Effect of crab shell on shelf-life enhancement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907-9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