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풍화토 사면에서 강우로 인한 간극수압 변화에 대한 실험연구
In-situ Monitoring of Matric Suctions in a Weathered Soil Slope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19 no.1, 2003년, pp.41 - 49  

이인모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조우성 (현대건설㈜ 국내토목부) ,  김영욱 (명지대학교 토목공학과) ,  성상규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화강풍화토 사면에서 강우침투로 인한 사면파괴는 통상 지하수위 위쪽의 얕은 깊이에서 발생한다. 지하수위 위쪽 지반의 간극수압은 대기압에 대하여 음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모관흡수력의 존재와 크기는 사면의 안정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계절적 강우에 의한 풍화토 사면의 얕은 파괴기구(failure mechanism)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비포화대에서의 모관흡수력 분포를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2001년 6월부터 8월까지 화강풍화토 사면에서 모관흡수력 및 체적함수비를 현장 모니터링 하였으며, 대상지반에 대한 투수해석을 수행하였다. 현장 모니터링 결과, 기후조건의 영향력은 깊이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우침투에 의한 지반내 모관흡수력의 감소는 강우량 및 강우지속시간 뿐만 아니라 강우직전의 모관흡수력 분포에도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니터링된 모관흡수력과 체적함수비를 이용하여 현장 흙-수분특성을 얻을 수 있었는데 습윤경로(wetting path)에 가까운 분포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infall-induced landslides in a weathered granite soil slope usually happen on shallow slip surfaces above the groundwater table. The pore-water pressure of soil above the groundwater table is usually negative. This negative pore-water pressure (or matric suction) has been found to make a large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계측을 통해 기후조건의 변화에 따른 불포화 화강풍화토 사면내의 모관흡수력의 변 화양상을 모니터링하여 여름철 집중호우와 사면내의 모 관흡수력 분포간의 상관관계를 찾아보는 것이다. 현장 계측시에 모관흡수력과 더불어 체적함수비도 함께 모니터 링하여 우기시 현장의 실제 흙수분 특성도 파악하였다.
  • 그림 10에서 보듯이 시 행착오 끝에 결정된 표 2의 입력자료를 이용한 최종 투 수해석 결과는 실제 현장계측 된 결과와 비교적 잘 맞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역해석함으로써 증발 산율을 산정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