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포화 풍화토 사면의 모관흡수력 분포에 대한 지반조건과 강우강도의 영향
Influence of Soil Characteristic and Rainfall Intensity on Matric Suction of Unsaturated Weathered Soil Slope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3 no.3, 2013년, pp.1017 - 1025  

김용민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이광우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정환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강우 침투에 의한 사면의 모관흡수력 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리학적-역학적 특성을 고려한 동시연계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3가지 지역에서 채취한 풍화토를 대상으로 함수특성곡선(SWCC)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지반조건, 강우특성, 사면경사에 따른 모관흡수력의 변화를 관측하였다. 그 결과, 강우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면내의 모관흡수력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사면 경사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우강도보다 포화투수계수가 작은 지반은 표층에서 포화가 쉽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다층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도 사면표층 지반의 수리학적 특성이 모관흡수력 분포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nolithically coupled finite element analysis for a deformable unsaturated soil slope is performed to investigate matric suction distribution on a soil slope subjected to rainfall infiltration, which can consider the hydraulic-mechanical characteristics for the analysis. The soil-water chara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불포화 지반의 함수특성곡성은 체적함수비와 모관흡수력 관계의 곡선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우리나라의 산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화강풍화토 지반의 함수특성곡선을 산정하기 위해 서울, 김해, 여주지역의 풍화토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장치와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 풍화토 사면에 침투하는 강우에 대하여 지반특성, 강우특성 그리고 사면경사를 고려한 사면의 침투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국내의 3가지 지역에서 채취한 풍화토를 대상으로 함수특성곡선을 결정하고,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면 내 모관흡수력의 변화 분포를 관측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악지역에 분포하는 화강풍화토를 대상으로 김해, 서울, 여주지역에서 채취한 3가지 흙 시료들에 대해 함수특성곡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시료는 통일분류법상 SP, SW 계열로 확인되었으며 모든 시료에서 4번 체 통과율이 90%이상, 200번체 통과율이 1%미만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침투와 흙의 거동 해석을 동시에 수행하고 간극수압과 변형이 연계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불포화토의 수리학적 특성을 대표하는 함수특성곡선 실험을 통해 국내 주요산지에 분포되어 있는 불포화 풍화토의 특성범위를 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강우조건, 지반조건, 사면경사에 따른 불포화 풍화토 사면의 침투해석을 수행하여 지반 내 모관흡수력의 변화를 관측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4와 같이 사면높이가 10m로 일정하며, 사면의 경사는 30°, 45°, 60°로 변화시켜가면서 모관흡수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면 전체 영역은 등방(isotropic)인 지반으로 가정하였으며, 좌우측면과 하부 경계면은 불투수 경계조건으로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공기와 물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좌우측면은 수평방향 변위를, 하부 경계면은 연직방향의 변위를 구속하였다.
  • 초기 지하수위는 건기 시를 가정하여 사면 바닥에서 3m 높이에서부터 7°경사를 가지고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지하수위 상부인 불포화토 영역에서 높이에 따라 최대 모관흡수력을 -75kPa로 가정하였다(Rahardjo et al., 2007; Rahardjo et al.,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우 시 사면안정 해석은 무엇을 이용하였는가? 기존의 강우 시 사면안정 해석은 지하수위를 기준으로 저면부는 포화상태로, 지하수위상부는 건조 상태로 가정 한 후 주로 한계평형법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해석은 불포화 사면 파괴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영향인자들을 적절히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침투로 인한 불포화 사면의 거동 변화를 합리적으로 고려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불포화토의 침투거동을 해석적으로 접근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Lam et al.
강우 침투에 의한 사면의 모관흡수력 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리학적-역학적 특성을 고려한 동시연계해석을 수행한 결과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국내 3가지 지역에서 채취한 풍화토를 대상으로 함수특성곡선(SWCC)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지반조건, 강우특성, 사면경사에 따른 모관흡수력의 변화를 관측하였다. 그 결과, 강우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면내의 모관흡수력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사면 경사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우강도보다 포화투수계수가 작은 지반은 표층에서 포화가 쉽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다층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도 사면표층 지반의 수리학적 특성이 모관흡수력 분포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 시 사면안정 해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기존의 강우 시 사면안정 해석은 지하수위를 기준으로 저면부는 포화상태로, 지하수위상부는 건조 상태로 가정 한 후 주로 한계평형법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해석은 불포화 사면 파괴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영향인자들을 적절히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침투로 인한 불포화 사면의 거동 변화를 합리적으로 고려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불포화토의 침투거동을 해석적으로 접근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La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J. H., Park, S. W., Jeong, S. S. and Yoo, J. H. (2002). "A study of stability analysis on unsaturated weathered slopes based on rainfall-induced wetting."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18, No. 2, pp. 123-136 (in Korean). 

  2. Kim, J. H., Hwang, W. K., Song, Y. S. and Kim, T. H. (2012). "Effect of matric suction in soils due to hysteretic soil water characteristic curves."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8, No. 4, pp. 91-100 (in Korean). 

  3. Kim, J. H. and Hwang, Y. C. (2011). "Finite element analysis of partially saturated soil considering pore-air pressure."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7, No. 3, pp. 95-102 (in Korean). 

  4. Lee, K. H, Jeong, S. S. and Kim. T. H. (2007). "Effect of fines on the stability of unsaturated soil slopes."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3, No. 3, pp. 101-109 (in Korean). 

  5. Jeong, S. S., Choi, J. Y. and Lee, J. H. (2009). "Stability analysis of unsaturated weathered soil slopes considering rainfall duration." Journal of Korean Civil Engineers Society. Vol. 29, No. 1, pp. 1-9 (in Korean). 

  6. Cho, S. E. and Lee, S. R. (2000). "Slope stability analysis of unsaturated soil slopes due to rainfall infiltration."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16, No. 1, pp. 51-64 (in Korean). 

  7. Alonso, E. E., Batlle, F., Gens, A. and Lloret, A. (1988). "Consolidation analysis of partially saturated soils-Application to earthdam construction." Numerical Methods in Geomechanics, Innsbruck, pp. 1303-1308. 

  8. Borja, R.I. (2004). "Cam-clay plasticity. Part V : A Mathematical Framework for Three-phase Deformation and Strain Localization Analyses of Partially Saturated Porous Media." Computer Methods in Applied Mechanics and Engineering, Vol. 193, pp. 5301-5338. 

  9. Chen, L. and Young, M. H. (2006). "Green-Ampt infiltration model for sloping surfac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2, pp. 1-9. 

  10. Cho, S. E. and Lee, S. R. (2001). "Instability of unsaturated soil slopes due to infiltration." Computers and geotechnics, Vol. 28, No. 3, pp. 185-208. 

  11. Coussy, O. (2010). Poromechanic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2. Duncan, J. M. (1996). "State of the art: Limit equilibrium and finiteelement analysis of slope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Vol. 122, No. 7, pp. 577-596. 

  13. Hughes, T. J. R. (1987). The finite element method, Prentice-Hall, New Jersey, pp. 1-51, 57-75. 

  14. Geo-slope International. (2012). Seep/w for finite element seepage analysis, users guide, Calgary, Alta., Canada. 

  15. FEFLOW (2012). FEFLOW for fluid flow analysis, user's guide, DHI-WASY, GmbH, Germany. 

  16. Jeong, S. S., Kim, J. H. and Lee, K. H. (2008). "Effect of clay content on well-graded sands due to infiltration." Engineering Geology, Vol. 102, No. 1-2, pp. 74-81. 

  17. Kim, J. (2010). Plasticity modeling and coupled finite element analysis for partially-saturated soils, Ph.D. Thesis,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US. 

  18. Kim, J., Jeong, S. and Richard, A.R. (2012). "Instability of partially saturated soil slopes due to alternation of rainfall pattern." Engineering Geology, Vol.147-148, pp.28-36. 

  19. Kim, J., Jeong, S., Park, S. and Sharma, J. (2004). "Influence of rainfall-induced wetting on the stability of slopes in weathered soils." Engineering Geology, Vol. 75, No. 3-4, pp. 251-262. 

  20. Laloui, L., Klubertanz, G. and Vulliet, L. (2003). "Solid-liquid-air coupling in multiphase porous media." International Journal for Numerical and Analytical Methods in Geomechanics, Vol. 27, No. 3, pp. 183-206. 

  21. Lam, L., Fredlund, D. G. and Barbour, S. L. (1987). "Transient seepage model for saturated - unsaturated soil systems : A Geotechnical Engineering Approach."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24, No. 4, pp. 565-580. 

  22. Lambe, P. C. (1996). Residual soils, In: special report 247. Landslides: Investigation and Mitigation, Washington DC: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pp. 507-524. 

  23. Ng, C. W. W. and Shi, Q. (1998). "A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stability of unsaturated soil slopes subjected to transient seepage." Computers and geotechnics, Vol. 22, No. 1, pp. 1-28. 

  24. Pham, H.Q. and Fredlund, D.G. (2004). "New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s." Proceedings of the 57th Canadian Geotechnical Conference, Quebec, Quebec City, Canada. 

  25. Rahardjo, H. and Leong, E.C. (1997).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s and flux boundary problems." Unsaturated Soil Engineering : Practice-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Vol. 68, pp. 88-112. 

  26. Rahardjo, H., Nio, A. S., Leong, E. C. and Song, N. Y. (2010). "Effect of groundwater table position and soil properties on stability of slope during rainfall."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36, No. 11, pp. 1555-1564. 

  27. Rahardjo, H., Ong, T. H., Rezaur, R. B. and Leong, E. C. (2007). "Factors controlling instability of homogeneous soil slopes under rainfall."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33, No. 12, pp. 1532-1543. 

  28. Rahardjo, H., Rezaur, R. and Leong, E. (2009). Mechanism of rainfall-induced slope failures in tropical regions, 1st Italian Workshop on Landslides, Vol. 1. 

  29. van Genuchten, M. (1980). "Closed-form equation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 44, No. 5, pp. 35-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