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성인의 주관적 스트레스와 식품 및 영양소 섭취와의 관련성
Food and Nutrient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Adults Based on their Levels of Self Reported Stres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8 no.3, 2003년, pp.340 - 348  

김영옥 (동덕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fferences in food and nutrient intake among Korean adults based on different stress levels were investigated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7,370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199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twenty-four hour recall method was used for this dietary survey.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인 등이 받는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양상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식생활 반응이 서양인과 차이가 있는지 여부도 검토 되었다.
  • 뿐만 아니라 위의 연구자들의 연구대상이 특정 연령층이나 집단에 제한되어있고 표본의 규모도 작아서 한국인의 스트레스가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에는 그 대표성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8년도 전국민을 모집단으로 조사된 국민건강 · 영양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스트레스 실태와 이들이 받는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식품 및 영양소 섭취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 수행되었다. 한국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식생활 반응이 서양인과 차이가 있는지 여부도 검토 되었다. 전 국민을 모집단으로 1998년 수행된 국민 건강, 영양조사 대상자 중 20세 이상 성인남녀 7,370명의 스트레스 인식 정도 및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가설 설정

  • 3) 조금 느끼는 편이다. 4) 거의 느끼지 않는다 중 택일하게 하였다. 본 분석에서는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을 high, middle, low 세 수준으로 분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ana D, Cline G, Richard J (1998): Stress fractures in female army recruits: Imlications of bone density, calcium intake and exercis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17(2): 128-135 

  2. Cho WJ, Kwon IS, Lee HJ (1998):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stres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J of Korean Soc of School Health 11 (2) 

  3. Choi MK, Jun YS, Kim AJ (2001): A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alcohol drinking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5), 978-985 

  4. Heatherton TF, Herman CP, Polivy J (1991): Effect of physical threat and ego threat on eating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138-143 

  5. Hyun WJ, Lee JY, Kwak CS (1997): Dietary intakes and psychological stress of pregnant women in Taejon in relation to neonatal birth weigh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 (2): 169-178 

  6. Jaana L, Ellen EK, Ulla S (2000): Stress-related eating and drinking behavior and body mass index and predictors of this behavior. Preventive medicine 34: 29-39 

  7. Kim Y, Suh I, Nam C (1996): Macronutrient intake and blood pressure of adolescent in rural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 366-375 

  8. Korean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0): Report of Food Composition Data Base Development Project, pp. 49-333, Seoul 

  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0): International Statistical Year Book, ISSN 1228-9817: 284-286 

  10. Jin BH, Kim Y (1997): Evaluation of dietary risk factors for abnormal serum cholesterol in Korean sedentary male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5) :671-679 

  11. Kim Y(1991) : Changing patterns of diet in Korea. The Korean Central Jounal of Medicine 56(12): 865-873 

  12. Kim MK, Rho KA (1996): Effects of examination-stress on nitrogen metabolism of college students. Korea J nutr 29 (7) : 788-805 

  13. Lee YS (1990): Study on association between self reported stress level and health relared behaviors among facory workers. The Korean Joumal of Preventive Medicine 23 (1) :33-42 

  14.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1996): Food Consumption Table 5th Edition, pp. 1-696, Sangrook Publishing Co., Suwon 

  15. Nola S, Stafford L. Lightman (2001): The maternal-neonatal neuro-im-mune interface: Are there long-term implication for inflammatory or stress-related disease? J Clin Invest 108: 1567-1573 

  16. Melinda AB (2000): Nutritionally induced oxidative stress: effect on viral disease Am J Clin Nutr 71: 1676S-9S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74): Report of 1973 National Nutrition Survey, pp. 1-131, Namyoung Publishing Co., Seoul 

  18. Michael M (1996): Effects of high and low energy meals on hunger, physiological processes and reactions to emotional stress. Appetite 26: 71-88 

  19. McKenna RJ (1972): Some effect of anxiety level and food cue on the eating behavior of obese and normal subject; a comparison of the schachterian and psychosomatic concep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2: 311-319 

  20. Oh JK (2000): Structural modeling of stress, life style and health status in industrial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2 (1): 26-40 

  21. Rosenfield SN, Stevenson JS (1988): Perception of daily stress and oral coping behaviors in normal, overweight, and recovering alcoholic women.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1: 165-174 

  22. Schachter S, Goldman R, Gordon A (1972): Effects of fear, food depri-vation and obesity on eat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 91-97 

  23. Sevcikova L, Stefanikova Z, Jurkovicova J (2001): Stress and health-related behaviour, presonality characteristics and blood pressure in older school children. Bratisl Lek Listy 102 (9) : 420-423 

  24. Sherwood A, Johnson K, James A (1999): Endothelial function and he-modynamic responses during mental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61: 365-370 

  25. Siochower J. Kaplan SP, Mann L (1981): The effect of life stress and weight on mood and eating. Appetite 2: 115-125 

  26. Susan L, Henrietta L, Lester K (2000): Effect of relation and stress on the capsaicin-induced local inflammatory response. Psychosomatic Medicine 62: 524-534 

  27. Tanja G, Vrijkotte, Lolenz J (1999): Work stress and metabolic and hemostatic risk factors. Psychosomatic Medicine 61: 796-805 

  28. William A, Philip R, Edwin TH (2000): The value of problem-based learning as an orientation. Academic Medicine 75 (6) 

  29. Willett W (1990): Nutritional Epidemiology, pp. 272-291,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30. Weinstein SE, Shide OJ, Rolls BJ (1997): Changes in food intake in response to stress in men and women: psychological factors. Appe-tite 28: 7-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