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진단과 연계된 간호중재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 5개 간호진단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n Nursing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Nursing Interventions linked to Nursing Diagnoses-focused on 5 NANDA Nursing Diagnose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3 no.2, 2003년, pp.210 - 219  

이은주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  최인희 (광주 보건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ing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of nursing interventions linked to five nursing diagnoses and find out core nursing interventions to each of the five nursing diagnosis. The five nursing diagnoses were Pain, Diarrhea, Constipation, Hyperther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다. 그리고 간호중재의 중요도와 수행도에서의 차이를 비교하여 봉으로써 중요한 간호중재라고 인식되고 있지만 실제로 많이 수행되지 못하고 있는 중재는 무엇인지를 화인하여 부족한 간호중재부분올 강화할 수 있도록 도울 뽄 아니라 간호진단과 중재의 연계과정올 통해 간호정보시스템의 개발을 돕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본 연구는 병원임상환경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간호진단 5개(통증 변비, 설사, 고체온, 감염의 고위험)를 선택하여 이러한 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간호 중재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고, 또 이러한 간호중재의 중요 도와 수행 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화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4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153 영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십되었으며,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등올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이상의 결과에 따라 다옹과 같온 제언올 하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NANDA 의 간호진단 중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제시된 5가지 간호진단 (Choi, Rhee, Kim, Kim & Park, 1996; Kim, Choi, Kim & Song, 1999; Park & Lee, 1989)올 선택하여 이를 간호중재 분류체계(Nursing Interventions Class由cation: NIC)와 연결하였으며 이들 연결된 간호중재가 간호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느 정도 중요하고 또 실제 얼마나 자주 수행되고 있는 지를 화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간호중재의 중요도와 수행도에서의 차이를 비교하여 봉으로써 중요한 간호중재라고 인식되고 있지만 실제로 많이 수행되지 못하고 있는 중재는 무엇인지를 화인하여 부족한 간호중재부분올 강화할 수 있도록 도울 뽄 아니라 간호진단과 중재의 연계과정올 통해 간호정보시스템의 개발을 돕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quilino, M., & Keenan, G. (2000). Having our say: nurisng's standardized nomenclatures. Am J Nurs, 100(7), 33-38 

  2. Chang H. S. (1990). Measurement of the nursing workload in a tertiary hospital. Unpublished ma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 Choi, S. H., Choi, I. H., Kim, M. H. (1993). A study on the degrees of importance perception and performance depending on nursing activities in nursing students. J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38, 123-140 

  4. Choi, Y. H., Rhee, H. Y., Kim, H. S., Kim, S. S., Park, K. O. (1996). A survey study of nursing diagnosis use in clinical practice. J Korean Acad Nurs, 26(4), 930-945 

  5. Griffith, H. M., & Robinson, K. R. (1993).Current Procedural Terminology (CPT) coded services provided by nurses specialists. Image: Journal of Nursing Scholar, 25(3), 178-186 

  6. Ham, J. H. (1997). The Analysis oj nursing workload according to the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i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Hanyang, Seoul, Korea 

  7. Henry, S. B., & Mead, C. N. (1997).Nursing classification systems: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for representing 'what nurses do' for inclusion in computer-based patient record systems. J Am Med Inform Assoc, 4(3), 222-232 

  8. Kim, C. J., & Lee, J. K. (1997). A study on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linkaged to nursing diagnoses. J Korean Acad Adult Nurs, 9(3), 353-365 

  9. Hong, C. S., & Kim, J. I. (1984). A Study on Degree of Importance in Nursing Activities for the Quality of Nursing. J Korean Acad Nurs, 14(2), 19-27 

  10. Kang, J. H. (1993).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nursing cost for critical Patients in a hospital. Unpublis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11. Kim, J. J. Choi, Y. K., Kim, K. R., & Song, H. Y. (1999). A Study on nursing diagnoses and intervention classification. J Korean Acad Nurs, 29(1), 72-83 

  12. Kim, K. Y. (2001). The study of critical indicator development for establishing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I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Korea 

  13. Lee, M. W., & Choi, I. H. (1998). Survey of the nursing workload by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in a secondary hospital. Journal of Kwang Ju Health College, 23, 329-346 

  14. Lee, Y. S. (1992). Measurement of the nursing workload in a special nursing unit. Unpublished ma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Lee, Y. S., & Park, J. H. (1992).Measurement of the nursing staff needed for two specialized nursing units in a university hospital. J Korean Acad Nurs, 22(4), 589-603 

  16. McCloskey, J. C., and Bulechek, G. M. (Eds.)., (2000).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St Louis: Mosby, Inc 

  17.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2001). NANDA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2001-2002. Philadelphia: Author 

  18. Park, H, A., Kim, J. E., Cho, I. S., Choi, Y. H., Lee, H. Y., Kim, H. S., & Park, H. K. (1999). Standardization and validity study of korean nomenclature of NIC. J Korean Acad Adult Nurs, 11(1), 23-38 

  19. Park, K. S., & Lee, J. H. (1989). An analysis of nursing diagnoses using NANDA Classification. J Korean Acad Adult Nurs, 1(1), 72-89 

  20. Park, S. A., Park, J. H., Jung, M. S., Joo, M. K., Kim, B. J., Lee, E. S., Lee, H. J., Park, S. H., & Yoo, M. (2001). A validity study for linkage of nursing diagnosis and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JKANA, 7(2), 315-346 

  21. Park, S. A., Park, J. H., Jung, M. S., Park, S. H., & Yom, Y. H. (1999). Validation of the NIC taxonomy structure in Korea. The Seoul Journal oj Nursing, 13(2), 193-204 

  22. Park, Y. R. (2001). A study oj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the icu nurses to the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orders. unpublished maste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3. Rha, M. H. (1983).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nursing manpower requirement by nursing care unit in a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Ro, M. K., & Park K. S. (1999). A study on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adult nursing units nurses. J Korean Acad Adult Nurs, 11(2), 331-342 

  25. Ryu, E. J., Choi, K. S., Kwon, Y. M., Joo, S. N., Yun, S. R., Choi, H. S., Kwon, S. B., Lee, J. H., Kim, B. J., Kim, H. Y., Ahn O. H., Rho, E. S., & Park, K. S, (1998) Analysis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done by MICU and SICU nurses using NIC. J Korean Acad Nurs, 28(2), 457-467 

  26. Shin, K. J. (1974).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hospital nursing activities. J Korean Acad Nurs, 4(1), 135-148 

  27. Son, H. M., Hwang, J. I., Kim, S. Y., Park, S. M., Suh, M. J., & Kim K. S, (1998). A survey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med by hospital nurses using the NIC in Korea,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2(1), 75-96 

  28. Yom, Y. H. (1999). Analysis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hospital nurses using NIC. J Korean Acad Nurs, 29(2), 346-360 

  29. Yoo, H. S. (2001). Construction of linkage database on nursing diagnoses, interventions, outcomes in abdominal surgery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30. Yom, Y., Kim, M., Park, J., & Park, S. (1998).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Trans.). Seoul: Hyumoon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