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입원환자에게 적용된 간호진단분석 - NANDA 간호진단 분류 이용 -
Analysis of Nursing Diagnoses Applied to Emergency Room Patients - Using the NANDA Nursing Diagnosis Classification -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2 no.1, 2015년, pp.16 - 24  

김영아 (전남대학교병원) ,  최순희 (전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essential nursing diagnoses using NANDA and their related factors and defining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were cared in an emergency room. Methods: The research checklis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consisted of 44 nursing diagnoses with defining cha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응급실에 근무하면서 응급실에 입원한 환자에게 NANDA 간호진단 분류를 적용하여 이들에게서 나타난 간호진단분류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응급간호단위의 간호진단 전산화 작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가 독자성을 확보하고 자율성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간호 수혜자가 양질의 간호를 받을 권리를 주장하고 있는 간호현장 속에서 질적인 서비스를 위해 고도의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한 독자적인 간호수행이 필요하다. 간호가 독자성을 확보하고 자율성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간호과정을 통해 간호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실무능력을 갖추어야 한다[1].
간호진단체크리스트 중 간호진단명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본 연구자는 대상자에게 적용 가능한 이 44개 간호진단명 각각에 해당된 NANDA [21] 간호진단분류대로 관련/위험요인 및 특성정의 내용을 간호기록 체크리스트로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도구의 간호진단명은 비효과적인 자기건강 관리, 영양불균형: 영양부족, 불안정한 혈당치 위험성, 간 기능 손상위험성, 전해질 불균형 위험성, 체액부족, 체액과다, 체액불균형 위험성, 배뇨장애, 변비, 설사, 가스교환장애, 수면양상 장애, 신체적 기동성장애, 출혈위험성, 비효율적 호흡양상, 심박출량 감소, 비효율적 말초조직 관류, 비효율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성, 쇼크의 위험성, 호흡기능 부전, 용변 자가간호 결핍, 편측성 마비, 급성혼돈, 지식부족, 외상 후 증후군 위험성, 불안, 비효율적 대응, 슬픔, 감염의 위험성, 흡인위험성, 낙상위험성, 손상위험성, 피부통합성 장애, 피부통합성 장애위험성, 중독위험성, 고체온, 오심, 급성 통증, 비효율적인 신장관류의 위험성, 활동지속성 장애, 비효율적 기도청결, 언어소통 장애 및 감각지각 장애 이다.
간호과정이란? 간호과정은 간호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사정하여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건강문제를 진단하는 독자적인 임상적 판단이며, 확인된 문제들에 대해 개별화된 간호를 계획하고 수행하며, 제공된 간호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을 평가하는 단계를 거치는 과학적인 문제해결방법이다[2,3]. 간호과정에 대한 표준화의 일환으로 분류체계들이 개발되었는데, NANDA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간호진단 분류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진술 뿐만 아니라 간호중재를 선택하고 측정하는 기초 자료가 되고 있으며[4], 간호중재 분류체계인 NIC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과 간호결과 분류체계인 NOC (Nursing Outcome Classification)는 Iowa 간호대학에서 개발한 체계들로 간호가 발생하는 여러 상황에 적용이 가능하여 개개인의 간호계획이나 임상경로 개발에 사용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Park MJ. Identification of nursing diagnosis-outcome-intervention (NANDA-NOC-NIC) linkage in MICU inpatients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0. 

  2. Choi SH, Kim YJ, Mun H, Park MJ, Sun JJ, Yang YO, et al. Nursing process. 3rd ed. Seoul: Hyunmunsa; 2013. 

  3. Wilkinson JM. Nursing process and critical thinking.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07. 

  4. Park SA, Park JH, Jung SM, Joo MK, Kim BJ, Lee ES, et al. A validity study for linkage of nursing diagnosis and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1;7(2):315-347. 

  5. Moorhead S, Johnson M, Maas M.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 3rd ed. St. Louis, MO: Mosby; 2004. 

  6. Carpenito-Moyet L. Nursing diagnosis: Application to clinical practice. 14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2012. 

  7. Ko E, So HS.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nursing information system using NANDA-NOC-NIC linkage in medical.surgical nursing uni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4):365-376. http://libproxy.jnu.ac.kr/90a6552/_Lib_Proxy_Url/www.riss.kr/link? idA99783405 

  8. Kim PJ. Application model of the nursing process to electric medical records for cardiodiovascular patien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6. 

  9. Oh HG, Choi KW. A validation study of nursing diagnosis in emergency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3;10(2):145-153. 

  10. Oh HS. Analysis of nursing diagnoses and nursing interventions for patients in ER with abdominal pai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6. 

  11. Lee JY.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computerized nursing diagnosis/intervention system for nutritional and eliminative proble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4):1078-1087. 

  12. de Assis CC, de Barros ABL. Nursing diagnoses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Terminologies and Classifications. 2003;4(4):1-6. 

  13. de Carvalho EC, Martins FT, Dalri MC, Canini SR, Laus AM, Bachion MM, et al. Relations between nursing data collection, diagnoses and prescriptions for adult patients at an intensive care unit. Revista Latino-Americana de Enfermagem. 2008;16(4):700-706. 

  14. Rivera JC, Parris KM. Use of nursing diagnoses and interventions in public health nursing practice. Nursing Diagnosis. 2002;13(1):15-23. 

  15. Cho EJ, Kim NC. Validation of major nursing diagnosis-outcome-intervention (NANDA-NOC-NIC) linkage for adult surgery patients of post anesthetic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3):141-151. 

  16. Bae YS. An analysis of nursing diagnoses practically applied to open heart surgery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94;6(1):70-80. 

  17. Kim MH. An analysis of nursing diagnoses practically applied to cerebrovascular patients. Daegu Health College. 1996;16:527-539. 

  18. Yu HS, Lee CH. A study for application of pain and anxiety diagnosis using NANDA classific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90;2(1):107-123. 

  19. Park HJ.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omputerized nursing process program using nursing diagnosis-outcome -intervention (NANDA-NOC-NIC) linkage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3. 

  20. Marini M, Chaves EH.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nursing diagnoses in a brazilian emergency servi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Terminologies and Classifications. 2011;22(2):56-67. 

  21.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International. Nursing diagnoses 2009-2011: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Philadelphia: John Wiley & Sons;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