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탁지준절"에 기록된 조선 말기 평견직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in Weaved Silks at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Shown in Takjijunjeol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3 no.5, 2003년, pp.125 - 139  

조효숙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  이은진 (배화여자대학 전통복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 of Plain Weaved Silks at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from Takjijunjeol(탁지준절) are as follows. 1. Plain Weaved Silks recorded in Takjijunjeol(탁지준절) are Ju(주) 22 types, Cho(초) 13 types and Gyeon(견) 3 types. This is same as previous research where Ju(주) and Cho(초) were subdivided and dive...

주제어

참고문헌 (46)

  1. 度支部. 度支準折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학진흥연구사업 운영위원회 編(1994). 古文書集成 12.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朝解總督府 (1915). 朝鮮彙報. 3月 

  4. 박성훈 (1999). 度支準折의 借名 表記 硏究. 한자한문교육, Vol.5, p. 186 

  5. 陳維稷 主編(1984). 中國紡織科學絲綢技術史. 北京: 科學出板社, pp. 91-94 

  6. 조효숙 (2001). 인평대군파 의원군일가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경기도박물관. p. 148 

  7. 조효숙 (1993). 韓國絹織物硏究. 세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 109-113 

  8. 세종실록 권27. 7년 2월 11일 (신해). 使臣內官尹鳳朴實入京 

  9. 세종실록 권27, 7년 2월 14일 (갑인). 尹鳳以貿易 

  10. 세종실록 권27. 7년 2월 22일 (임술). 尹鳳所出 

  11. 성종실록 권110, 10년 윤10월 9일 (신유). 使臣日 

  12. 정조실록 권2, 즉위년 10월 27일 (을축). 賜朝鮮國王妃禮物大?緞二疋 

  13. 정조실록 권15, 7년 2월 27일 (무자). 參宴諸臣?皆賞 賜亦及於臣等賜臣鄭存謙議錦三匹?絨三匹小卷八絲緞五匹小卷五絲宮紬五匹 

  14. 순조실록 권5, 3년 2월 27일 (임진). 詔曰皇帝勅諭朝鮮 國王 

  15. 高春明 編著 (1996). 中國衣冠服飾大辭典. 上海: 上海辭書出版社, p. 502 

  16. 王壯穆 主編 (1996), 中國絲綢辭典. 北京: 中國科學技術出版社. pp. 148-155 

  17. 중종실록 권97, 36년 12월 29일 (경진) 

  18. 세종실록 권36, 9년 10월 (계미) 

  19. 민족문화추진회 編 (1977). 五洲衍文長箋散稿.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2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2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873 

  21. 서울대학교규장각 (1995), 奎章閣韓國本圖書解題續集 史部2. 서울: 서울대학교규장각, p. 138 

  22. 度支部. 度支準折., p. 156 

  23. 이은경 (1994). 韓國과 中國의 布帛尺에 關한 硏究,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89 

  24.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2c). 한국한자어사전 3.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p. 940 

  25. 박성훈 (1999). 度支準折의 借名 表記 硏究. 한자한문교육, Vol.5, p. 192 

  26. 송시열 (1689). 宋書續拾遺 附錄 卷2 

  27. 亞細亞文化社 編 (1974), 譯語類解. 서울: 亞細亞文化社, p. 151 

  28. 度支部. 度支準折, p. 6 

  29. 서울대학교고전간행회 編 (1966a). 林園經濟志 1. 서올: 서울대학교고전간행회, p. 504 

  30. 이상보 주해 (1993). 春香傳. 서울. 범우사. p. 19 

  31. 김영자 외 3 (1999). 19.20 世紀 出土服飾과 풍속 朝鮮時代服飾硏究. 서울: 학연문화사, p. 131 

  3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학진흥연구사업 운영위원회 編(1994). 古文書集成 12.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6, 23 

  33. 度支部. 度支準折, p. 6. 10-13 

  34. 度支部. 度支準折, p. 3 

  35. 朝鮮總督府 (1930). 朝鮮總督府中央試驗所報告. p. 5 

  36. 度支部. 度支準折. p. 9 

  37. 한국학문헌연구소 編 (1980). 才物讀. 서울: 亞細亞文化社, p. 622 

  38. 서울대학교고전간행회 編 (1966a). 林園經濟志 1. 서올: 서울대학교고전간행회, p. 501 

  39. 度支部. 度支準折, p. 3, 9-10 

  40. 고부자 (1993), 高陽市 幸信洞 出土 陽川許氏 遺物小考. 韓國服飾. Vol.11. p. 147, 150, 152, No.7596(삼회장저고리). No.7599(누비저고리), No.7601(누비치마) 

  41. 박성실 (1994). 天安出土 豊山洪氏 遺物小考. 韓國服飾. Vol.12. p.133, 142. No.7765(겹중치막), No.7766(겹중치막). No.7788(겹금) 

  42. 조효숙 (2001). 인평대군파 의원군일가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경기도박물관, p. 149 

  43. 寺田商太郞 (1986). やさしい織物の解說. 東京: 織維硏究社. pp. 198-199 

  44. 中村耀 (1955). 織維の實際知識. 東京: 東洋經濟新報社, p. 245 

  45. 菱山衝平 (1933). 衣服材料の基礎知識. 東京: 文光社, p. 536 

  46. 寺田商太郞 (1986). やさしい織物の解說. 東京: 織維硏究社., p. 199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