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브랜드 분류 기준 모형에 관한 연구 - 패션업체 실무자 관점으로 -
A Model of Criteria for Classifying Fashion Brands - from the viewpoint of fashion business practice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3 no.5, 2003년, pp.155 - 169  

박송애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이선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riteria for classifying fashion brand from the viewpoint of fashion business practice in order to develop strategy of fashion brands and to manage brand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and to suggest theoretical frame for application of these criteria. Surv...

주제어

참고문헌 (29)

  1. 공석봉 (1999). 유통시장 개방 이후의 한국패션 동향. 한국생활과학연구, 제17호, pp. 205-211 

  2. 권성재 (2001). 브랜드 유형에 따른 여성의류 상품기획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여대 논문집 (24), pp. 21-30 

  3. 김춘곤 (1992). 시장세분화 접근방법의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노장오 (1994). 브랜드 마케팅. 사계절 출판사 

  5. 신현암, 강원, 김은환 공저 (2000), 브랜드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 삼성경제 연구소 

  6. 안광호. 이진용 (1997). 브랜드 파워. 한국언론자료간행회 

  7. 안광호. 황선진, 정한진 (2000). 패션 마케팅. 수학사 

  8. 안길상, 정창환 (1997). 제품범주 내의 브랜드전략 유형. 충북대 산업과 경영, 10(1), pp. 219-247 

  9. 안병기 (1998), 패션 기업 경영론(어패럴 경영학), 경춘사 

  10. 안병기 (2000). 패션브랜드 정보기획론. 학문사 

  11. 엄희덕 (1991). 시장 세분화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이은영 (1997). 패션 마케팅. 교문사 

  13. 이진용 (1998). 상표명 결정과정과 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논문집 (47). pp. 381-397 

  14. 이호정 (1992). 패션 머천다이징 시스템 개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5. 하헌국 (1990). 산업시장 세분화 접근방법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홍성태 (1998). 보이지 않는 뿌리. 박영사 

  17. Bayus, Mehta (1995). A Segmentation Model for the Targeted Marketing of Consumer Durabl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November, 1995, pp. 463-169 

  18. Bonoma, Shapiro (1983). Segmenting the Industrial Market. Lexington Books, 1983, p. 11 

  19. Bonoma, Shapiro (1984). Evaluating Market Segmentation Approache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13, p. 259 

  20. Bucklin, Gupta, Han (1995). A Brand's Eye View of Response Segmentation in consumer Brand Choice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February, p.66 

  21. Datta (1996), Market Segmentation: an Integrated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Strategic and Long Range Planning, Vol. 29, pp. 797-811 

  22. Frank, Massy, Wind (1972), Market Segmentation. Englewood Cliffs : New Jersey Prentice-Hall, pp. 27-29 

  23. Harnmond(1996). Market segmentation for competitive brand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 30 No. 12, pp. 39-49 

  24. Jernigan, M. H.. Easterling, (1997). 패션 머천다이징 & 마케팅. 임숙자, 류온정, 이승희, 이주은, 최성주, 공역. 교문사 

  25. Kotler (2000). 마케팅 관리론, 윤윤현 역, 도서출판 석정. pp. 355-397 

  26. McDonald, Dunbar (1998). Market Segmentation: How to do it, how to profit from it, Macmillan Press Ltd. 

  27. Wedel, Kamakura (1998). Market Segmentation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8. Wind, Cardozo (1974). Industrial Market Segmentation.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 pp. 153-166 

  29. Wind (1978). Issues and Advances in Segmentation Research. Journal of Markebng, 15, pp. 317-3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