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대간 체계 안에 내포된 유역 개념과 문제점
Watershed Concept Embedded in The Baekdoodaegan Frame 원문보기

한국생태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v.26 no.4 = no.114, 2003년, pp.215 - 221  

이도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신준환 (임업연구원 산림생태과) ,  강신규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옛 지도와 문헌자료에는 그려질 당시에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생태적 개념이 담겨 있다. 여기서 우리는 한국의 고지도에 나타나는 유역 개념을 소개하고, 문헌 기록을 통해서 그 개념이 나타난 역사를 간단하게 소개한다. 많은 사람들이 백두대간에 대해 논의하는 글에서 산줄기에 역점을 두고 있지만 우리는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다른 관점이 그 안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것은 백두대간 체계가 유역 개념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개념은 1402년에 그려진 것으로 알려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되도"에서 나타나며, 12세기에 집필된 이인로의 청학동유람 기록에서도 이미 그런 시각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나아가 한국의 전형적인 경관짜임은 이러한 유역 개념에 바탕에서 피어났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을 키운 관점이 오늘날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경우도 있어 논의한다 선조들의 생각이 자랑스럽기는 하지만 그것들을 현명한 방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cological concepts were embedded in the old Korean maps and other documents. The concepts may represent ecological views which people had at the time. Through those ecological views, we propose that we can see a watershed concept in old Korean maps. We also discuss relevant records to underst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글은 백두대 간이라는 말 속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 중에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유역 개념을 지적하고 기술하고자 시작되었다. 이러한 접근을 시도하기 위해 옛 지도와 문헌을 살펴보고 그와 관련된 현대생태학의 개념을 설명하여 관계를 논의한다.
  • 것이다. 초고에 대한 계명대학교 김종원 교수님의 의견을 모두 수용하지 못했지만 원고 발전에 도움을 준 건설적인 비판에 감사한다.

가설 설정

  • 그것은 더 북쪽으로 길게 연장되어야 한다. 또한 동물들은 서식조건과 활동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상위단계의 포식동물이 백두대간을 느끼는 것과 하위단계의 초식동물이 느끼는 것이 다를 것이다. 같은 포식동물이라 하더라도 호랑이와 여우가 환경을 보는 방식은 다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

  1. Xiao, Xiangming, Boles, Stephen, Liu, Jiyuan, Zhuang, Dafang, Liu, Mingliang. Characterization of forest types in Northeastern China, using multi-temporal SPOT-4 VEGETATION sensor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82, no.2, 335-3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