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Atractylodes속과 혼용되는 Atractylis속 6분류군의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단립(monad)으로, 극축의 길이는 46.5-66.7$\mu\textrm{m}$, 적도면의 나비는 43.6-60.47$\mu\textrm{m}$이 었다. 발아구는 3공구형 (tri-colporate)으로서 , 구구(colpus)의 길이는 19.6-29.1 $\mu\textrm{m}$, 나비는 7.3-11.0$\mu\textrm{m}$이 었고, 공구의 직경 은 6.4-10.6$\mu\textrm{m}$ 이었다. 화분벽은 외표벽 (ektexine)은 기저층(foot layer)과 원주층(columellae), 피복층(tectum)으로 구성되고, 두에는 5.2-8.3$\mu\textrm{m}$이었다. 화분의 표면 돌기는 자상(echinate)으로서 길이가 1.4-5.8$\mu\textrm{m}$이었으며, 단위면적당(No./20$\mu\textrm{m}$$^2$) 분포는 6-33개 이었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화분, 특히 Atractylis arabica, A. aristata, A. carduus, A. microcephala의 화분형 태는 Atractylodes속의 화분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따라서 화분에 관련된 형질은 두 속을 구분하는 식별형질로 적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화분에 관련된 형질이 Atractylode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만이 속내 분류군간의 식별형질로서 기여도가 적은 반면, Atractyli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뿐만 아니라 형태 및 표면무늬와 자상돌기의 크기 등에 있어서 분류군간 의 식별형질로서 적용되어 분류학적 기여도가 다소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 중 A. cancellata와 A. prolifera는 나머지 분류군들과 달리 자상돌기가 작고 적도면상이 긴 특징은 본속의 화분의 진화경 향성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tractylodes속과 혼용되는 Atractylis속 6분류군의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단립(monad)으로, 극축의 길이는 46.5-66.7$\mu\textrm{m}$, 적도면의 나비는 43.6-60.47$\mu\textrm{m}$이 었다. 발아구는 3공구형 (tri-colporate)으로서 , 구구(colpus)의 길이는 19.6-29.1 $\mu\textrm{m}$, 나비는 7.3-11.0$\mu\textrm{m}$이 었고, 공구의 직경 은 6.4-10.6$\mu\textrm{m}$ 이었다. 화분벽은 외표벽 (ektexine)은 기저층(foot layer)과 원주층(columellae), 피복층(tectum)으로 구성되고, 두에는 5.2-8.3$\mu\textrm{m}$이었다. 화분의 표면 돌기는 자상(echinate)으로서 길이가 1.4-5.8$\mu\textrm{m}$이었으며, 단위면적당(No./20$\mu\textrm{m}$$^2$) 분포는 6-33개 이었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화분, 특히 Atractylis arabica, A. aristata, A. carduus, A. microcephala의 화분형 태는 Atractylodes속의 화분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따라서 화분에 관련된 형질은 두 속을 구분하는 식별형질로 적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화분에 관련된 형질이 Atractylode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만이 속내 분류군간의 식별형질로서 기여도가 적은 반면, Atractyli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뿐만 아니라 형태 및 표면무늬와 자상돌기의 크기 등에 있어서 분류군간 의 식별형질로서 적용되어 분류학적 기여도가 다소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 중 A. cancellata와 A. prolifera는 나머지 분류군들과 달리 자상돌기가 작고 적도면상이 긴 특징은 본속의 화분의 진화경 향성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Pollens of six taxa in the genus Atractytis L. confused with Atractylodes DC. were investigated by the light and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ollen grains of six taxa in this genus were monads, 46.5-66.7$\mu\textrm{m}$ in length of polar axis, 43.6-60.47$\mu\textrm{m}$ in...
Pollens of six taxa in the genus Atractytis L. confused with Atractylodes DC. were investigated by the light and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ollen grains of six taxa in this genus were monads, 46.5-66.7$\mu\textrm{m}$ in length of polar axis, 43.6-60.47$\mu\textrm{m}$ in equatorial width. Aperture was tri-colporate, 19.6-29.1 $\mu\textrm{m}$ in colpus length,7.3-11.0$\mu\textrm{m}$ in colpus width and 6.4-10.6$\mu\textrm{m}$ in porus diameter. The exine was composed of three layers(foot layer, columellne, tectum), and 5.2-8.3 $\mu\textrm{m}$ in thickness. The surface sculpturing pattern was echinate, the spines were 1.4-5.8$\mu\textrm{m}$ in length and 6-33 per 20$\mu\textrm{m}$$^2$ in distribution numbers over the surface. Atractylis L. was not distinguished from Atractylodes DC. by pollen morphology, especially the pollens of Atractylis arabica, A. aristata, A. carduus, A. microcephala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Atractylodes. But its taxonomic significance was different, the taxa of Atractylodes DC. were divided into 2 types by only pollen size, but the treated taxa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various types by pollen size, shape of equatorial view, surface sculpturing and spine size. The characteristics of spine size and shape of equatorial view in A. cancellata and A. prolifera were very useful for consideration of evolutionary trends in this genus.
Pollens of six taxa in the genus Atractytis L. confused with Atractylodes DC. were investigated by the light and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ollen grains of six taxa in this genus were monads, 46.5-66.7$\mu\textrm{m}$ in length of polar axis, 43.6-60.47$\mu\textrm{m}$ in equatorial width. Aperture was tri-colporate, 19.6-29.1 $\mu\textrm{m}$ in colpus length,7.3-11.0$\mu\textrm{m}$ in colpus width and 6.4-10.6$\mu\textrm{m}$ in porus diameter. The exine was composed of three layers(foot layer, columellne, tectum), and 5.2-8.3 $\mu\textrm{m}$ in thickness. The surface sculpturing pattern was echinate, the spines were 1.4-5.8$\mu\textrm{m}$ in length and 6-33 per 20$\mu\textrm{m}$$^2$ in distribution numbers over the surface. Atractylis L. was not distinguished from Atractylodes DC. by pollen morphology, especially the pollens of Atractylis arabica, A. aristata, A. carduus, A. microcephala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Atractylodes. But its taxonomic significance was different, the taxa of Atractylodes DC. were divided into 2 types by only pollen size, but the treated taxa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various types by pollen size, shape of equatorial view, surface sculpturing and spine size. The characteristics of spine size and shape of equatorial view in A. cancellata and A. prolifera were very useful for consideration of evolutionary trends in this genu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가 전무한 Amzcry"s속의 화분의 형태를 파악하고, 기 존에 발표된 Atractylodes 속의 화분(김과 정, 2000) 과의 차이를 통한 속구분 형질로서의 적용 여부와 유연관계 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본 속은 Lirmaeus(1754)에 의해 설정된 이후, De candolle(1838)이 속내의 일부 종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형질, 즉 굵고 마디가 있는 근경과 침상으로서 굵고 두꺼운 엽연, 선단이 가시처럼 나 있고 양측 가에 얇은 막질이 있는 총포편 등의 형질을 근거로 하여 Amictylodes속을 신설하였다. 그러나 이들 두 속명은 현재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이창복, 1976; 이우철, 1996), 다양한 형질에의한 비교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Atractylis속과 Atractylodes속이 모두 인정되고 있으며 (Dittrich, 1977), De candolle(1838)에 의하여 언급되어진 형질과 더불어 Atractylis 속은 서남아시 아와 지중해 에 만 분포하며 , 열매인 수과의 모용은 견모이고 설상화가 일부 종에서 나타나는 반면, Atractylodes 속은 동북아시 아에 국한되어 분포하며, 수과 모용은 강 모이 고 설 상화가전혀 나타나지 않는 특징(M. Kim, pers. obs.)을 근거로 하여 두 속을 구분하였다. 더불어 Atractylis 속으로 취급되고 있는 종류 중에 재료가 확보된 A.
화분은 완전히 개화한 통상화에서 약을 채취 하였으며 , 전형적 인 acetolysis과정 (Erdtman, 1960; Radford et al., 1974)을 다소 변형시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15 ml conical centrifuge tube에 채취 한약을 넣은 후 acetolysis mixture(acetic anhydride : sulfuric acid=9:l)을 넣고 80P에서 약 10분간 물 중탕한 다음, 1500~18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시키고 상 등액은 버렸다.
15 ml conical centrifuge tube에 채취 한약을 넣은 후 acetolysis mixture(acetic anhydride : sulfuric acid=9:l)을 넣고 80P에서 약 10분간 물 중탕한 다음, 1500~18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시키고 상 등액은 버렸다. 그 후 facial acetic acid로 2회, 증류수, 30%, 50%, 70% alcohol 순서로 각 1회씩 씻어 낸 후 70% alcohol에 보관하였다.
광학현미경 관찰을 위하여 보관된 시료를 소량취하여 slide glass 위에 놓고, 재료가 마르기 전에 glycerin jelly(Erdtman, 1971)로 봉입하여 영구 프레파라트를 만들었다. 개체당 20개의 화분립을 광학 현미 경(AX-70, Olympus)으로 관찰하고 크기는 Cursor generator(Ver.
만들었다. 개체당 20개의 화분립을 광학 현미 경(AX-70, Olympus)으로 관찰하고 크기는 Cursor generator(Ver. 2.0; Tokyo Electronic Industry Co.)로측정하였다.
주사 전자현미경 관찰을 위해서는 대기 중에서 건조한 화분을 ion sputter(Cressington sputter coater 108)로 gold-coating후 주사전자현미경 (Hitachi; S-2500C, Japan; 15kv; working distance; 20 mm)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은 극축의 길이(P)와 적도면의 길이 (E)의 비율, 즉 P/E에 의하여 2가지 유형 으로 구분된다(Table 1, Table 2).
본 연구에서는 Atractylodes속과 혼용되는 Atractylis 속 6분류군의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단립 (monad)으로, 극축의 길이는 46.
대상 데이터
실험에 사용된 석엽 표본은 영국의 Royal Botanic Garden(E), Duke University(DUKE)의 표본을 대여 하여 이용하였다 (Appendix).
본 속의 화분은 단립(monad)이며 극축의 길이는 평 균 46.5-66.7μm, 적도면의 나비는 평균 43.6-60.47 μm이고, 화분의 형태는 P/E가 1.04-1.30으로서 약장 구형 (prolate-spheroidal)-아장구형(subprolate)이 다. 발아구는 3공구형(tri-colporate)으로서, 외표 벽으로 구성된 구구(colpus)의 길이는 평균 19.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단립 (monad)으로, 극축의 길이는 46.5-66.7μm, 적도 면의 나비는 43.6-60.47㎛ 이 었다. 발아구는 3공구형 (tricolporate)으로서, 구구(colpus)의 길이는 19.
성능/효과
그러나 화분에 관련된 형질이 Atractylodes 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만이 속내 분류군 간의 식별형질로서 기여도가 적은 반면, Atractyli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뿐만 아니라 형태 및 표면무늬와 자상 돌기의 크기 등에 있어서 분류군간의 식별형질로서 적용되어 분류학적 기여도가 다소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 중 A. ccmcellata와 A. prolifera는 나머지 분류군들과 달리자상돌기가 작고 적도면상이 긴 특징은 본 속의 화분의 진화 경 향성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하였다.
)을 근거로 하여 두 속을 구분하였다. 더불어 Atractylis 속으로 취급되고 있는 종류 중에 재료가 확보된 A. arabica, A. aristata, A. cancellata, A. carduus, A. microcephala, A. prolifera의 6종의 화분 형태를 관찰하였다.
반면 Afnbrosia속(Payne and Skavarla, 1970)과 Eupatorium 속(Sullivan, 1975)에서는 속내 종들 간의 화분의 형태가 일정하여 분류학적 형질로서 정보를 지니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Atractylis속 6분류군의 화분은 크기와 형태, 표면 무늬와 돌기의 크기가 종 을식 별 하는 형질로서 가치를 지니 나, 구구와 공구의 형태, 화분벽의 두께 등은 분류군 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으로써 분류형질로서 적용할 수 없었다.
또한 Dittrich(1977)은 본 속이 심한 Cynareae족의 화분에 대한두 가지 진화 경향성, 즉 외표 벽 원주의 변화 없이 자상돌기가 작아지며, 적도면상에서 화분의 형태가 길어지는 방향과 외표벽의 원주만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 군중 A. cancellata와 A. prolifera는 나머지 분류군들과 달리 자상돌기가 작고 적도면상이 긴 특징으로 미루어 보아 화분에 있어서 진화된 분류군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Atractylis 속 화분에 관한 분류학적 형질은 Atractylodes속의 경우에 비하여 분류군의 식별형 질 뿐만 아니라 진화 경 향성을 파악하는 데 다소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20㎛) 분포는 6-33개이었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화분, 특히 Atractylis arabica, A. arietata, A. carduus, A. microcephala의 화분형태는 Atractylodes 속의 화분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따라서 화분에 관련된 형질은 두 속을 구분하는 식별 형질로 적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화분에 관련된 형질이 Atractylodes 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만이 속내 분류군 간의 식별형질로서 기여도가 적은 반면, Atractyli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뿐만 아니라 형태 및 표면무늬와 자상 돌기의 크기 등에 있어서 분류군간의 식별형질로서 적용되어 분류학적 기여도가 다소 큰 것으로 판단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