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 및 출산 풍습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한국, 홍콩 및 미국의 어머니-할머니 세대를 중심으로
Cross-Cultural Study on the Pregnant and Childbirth Practices in Mother-Grandmother Generations of Korea, Hong-Kong, and the United State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1 no.4, 2003년, pp.157 - 168  

민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유안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r similarities in pregnant and childbirth practices of Korea,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and of mother-grandmother generations in each culture. The subjects were young mothers(YM) have baby from 2 to 2.5 years and their mothers or mothers-in-law(GM)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2) 임신 및 출산 풍습은 한국, 홍콩, 미국의 세 문화내 어머니-할머니 세대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에서는 임신 및 출산과 같은 아동양육의 문화적 요소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려는 노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 내에 전승되고 있는 임신 및 출산2)에 관한 기술적 (descrip­ tive) 자료(유안진, 민하영, 2000)를 문화간으로 확장시켜,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있는 아동양육 풍습의 문화적 고유성 또는 문화적 보편성(문화간 유사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각 문화내 세대간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임신과 출산 풍속의 세대간 전이의 안정성을 문화간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 내에 전승되고 있는 임신 및 출산2)에 관한 기술적 (descrip­ tive) 자료(유안진, 민하영, 2000)를 문화간으로 확장시켜,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있는 아동양육 풍습의 문화적 고유성 또는 문화적 보편성(문화간 유사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각 문화내 세대간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임신과 출산 풍속의 세대간 전이의 안정성을 문화간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우리 나라와 같이 유교 문화권으로 분류되지만 100년 동안 기독교 문화권인 영국의 통치를 통해 서구 문화를 일찍 받아들인 홍콩(남수중, 1996)을 비교 문화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문제 1) 임신 및 출산 풍습은 한국, 홍콩, 미국의 세 문화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고선주, 옥선화(1993). 부모기 전이에 관한 연구 II: 부모기 전이에 따른 부부 결혼 적응의 변화. 대한가정학회지. 31(3), 127-141 

  2. 김용덕 (1994) . 한국의 풍속사 서울: 밀알 

  3. 김용숙 (1993). 한국여속사. 서울: 민음사 

  4. 나은주 역 (2002). 출산과 육아의 풍속사. 서울: 사람과 사람 

  5. 남수중 (1996). 홍콩편람. 96-16. 서울: 대외경제연구원 지역정보센터 

  6. 박문일 (1999). 태교는 과학이다.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7. 박숙자 (1992). 첫 자녀 출생과 부부관계의 변화. 여성사회연구회편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 pp. 141-180).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8. 유안진 (1983). 한국전통사회의 특성과 초기 사회화. 한국인의 초기 사회화과정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9-116 

  9. 유안진 (1983). 한국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0. 유안진 (1994) 한국의 전통육아방식.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1. 유안진, 민하영(2000). 출산 풍속에서의 모-조모의 세대간 차이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8), 99-109 

  12. 장순복, 박영주, 최연순, 정재원(1996). 한국 임부의 태교요인-동양 민속행위적인 임부의 자가관리-. 대한간호학회지, 26(2), 345-358 

  13. 홍혜경(1980). 한국여성의 태교인식도에 관한 조사 연구. 이동학회지, 1, 1-14 

  14.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15. Brazelton, T. B. (1990). Commentary: Parent-infant co-sleeping revisited. Ab Initio, 2(1), 1-7 

  16. Bronfenbrenner U. (1986).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ent: Research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lwlogy, 22, 723-742 

  17. Ho, D. Y. F. & Kang T. K. (1984) Integral comparison of child rearing attitudes and practices in Hong Kong, Developmental Psychology, 20, 1004-1016 

  18. Holterman, M. J., Ashiru, O., Abdulla, Ra-id, Blew, G., Sundararajan, S., & Rao, S. (1999), Clinical relevant embriology: New approaches to education, Pediatrics, Vol. 104 i3 784 

  19. Miller, P. J. & Goodnow, J. J. (1995). Cultural practice: Toward an integration of culture and development. In J. J. Goodnow, P. J. Miller & F. Kessel(Eds.), Cultural practices as a contexts for development.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vol, 67(pp.5-16). San Francisco: Jossey-Bass 

  20. Morelli, G. A., Rogoff, B., Oppenheim, D., & Goldsmith, D. (1992). Cultural variation in infants' sleeping arrangements: Questions of independ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28, 604-613 

  21. Ninio, Anat, & Nurith Rinott. (1988). Fathers' involvement in the care of their infants and their attributions of cognitive competence to infants. Child Development, 59, 652-663 

  22. Okagaki, L. & Sternberg, R. J. (1993). Parental beliefs and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Child Development, 64, 36-56 

  23. Rogoff, B. (1990). Apprenticeship in thinking: Cognitive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 NY: Oxford Univ, Press 

  24. Rogoff, B., Gauvain, M., & Ellis, S. (1984). Development viewed in its cultural context, In M. H. Bearnstein & M. E. Lamb Developmental psychology: An advanced textbook. Hillsdale, NJ: Lawerence Erlbaum Associates 

  25. Super, C. M. & Harkness, S. (1986). The developmental nitch: A conceptualization at the interface of child and cul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9, 545-569 

  26. Super, C. M. & Harkness, S. (1997). The cultural structuring of child development In J. W. Berry, P. R. Dasen, & T. S. Saraswathi, (2nd Eds.), Handbook of cross-eultural psychology (Vol.2) , Basic process and human develop ment(pp.1-40) Needham Heights, MA: A Viacom Compan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