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혼적응 교육 프로그램 실시 및 효과검증 -집단 마라톤식 과정으로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ducation Program for Post-divorce Adjustment - Focused on the group marathon course -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1 no.11, 2003년, pp.201 - 214  

문현숙 (부산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아동·주거학과) ,  김득성 (부산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아동·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for post-divorce adjustment and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program was consisted of eight sessions and applied to divorced parents. It was focused for the understanding of grief processes for adults, recovery by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외 이혼적응에 관한 연구도 본 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기초를 제공하였다. 문현숙.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를 둔 이혼자들을 대상으로 이혼부모들의 자기이해와 상처회복을 통한 자존감의 증진, 자녀에 대한 이해를 높여 부모 자녀 관계를 개선시키며, 이혼 후의 생활에 긍정적으로 대처하도록 돕기 위해 이혼적응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본 프로그램은 Burm와 WhiteMan의 슬픔의 단계 모델과 Bohannan의 이혼과정의 6단계 모델을 이론적 토대로 하였으며, 미국 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이혼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국내외 이혼 적응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이론적 기초로 삼았다.
  • 본 프로그램은 미성년 자녀를 둔 이혼한 부모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이혼적응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이혼한 부모들의 이혼 후의 적응과정을 돕고, 이혼자들과 자녀들이 이혼 후의 새로운 생활에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프로그램은 이혼 후 적응단계에 대한 이해, 이혼자들의 자존감 증진 및 이혼에 대한 대처능력의 향상, 그리고 부모들에게 자신의 이혼으로 자녀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이해를 높여 이혼자와 그 가족의 적응과 복지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행정기관이나 민간단체의 교육에 응용되어 이혼자들을 위한 국가 정책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프로그램은 이혼과정과 슬픔의 단계 이해, 용서를 통한 상처회복, 이혼자의 자존감 향상,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훈련, 그리고 건강한 홀로서기 등을 통해 이혼자들의 이혼 후 적응을 돕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뿐 아니라, 사회적 국가적 대책 마련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본 프로그램은 이혼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장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김득성 (2006의 이혼 후의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에서는 이혼자들이 이혼 후에 겪는 어려움으로 경제적인 문제, 자녀문제, 사회의 편견과 사회관계망의 축소의 문제 그리고 성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에서는 자녀문제를 이혼에 대한 자녀의 연령별 반응을 설명하는 부분에 반영하고,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내용을 포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경신(1999). 농촌지역 편부모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7(3), 127-142 

  2. 김득성(2002). 이혼적응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단기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1-8 

  3. 문현숙, 김득성(2000). 이혼 후 적응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3), 99-120 

  4. 문현숙, 김득성(2002). 이혼 후 적응을 위한 장기 교육프로그램의 모형개발. 대한가정학회지, 40(6), 197-211 

  5. 통계청(2003). 인구통계연보 

  6. 한경혜(1993a). 이혼과 부부문제의 이론적 고찰, 한국 가족학 연구회(편). 이흔과 가족문제. 도서출판 하우 

  7. 한경혜(1993b). 한국 가족학 연구회(편). 이혼과 가족문제, 한국 이혼부부의 적응과 관련변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하우 

  8. Albrecht, S. L. (1980). Reactions and adjustment to divorc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of males and females. Family Relations, 29, 59-68 

  9. Arbuthnot, J., & Gordon, D. (1996). Does mandatory divorce education work : A six-month outcome evaluation. Family and Conciliation Courts Review, 34, 60-81 

  10. Barry, B., Frieman, R. G., & Barbara, M. (1994). Parenting seminars for divorcing parents. Social Work, 39(5), 607-610 

  11. Blaisure, K. R. & Geasler, M. J. (1996). Results of a survey of court-connected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U.S. counties. Family and Conciliation Courts Review, 34(1), 120-131 

  12. Bohannan, P. (1970). The six station of divorce. In P. Bohannan (Ed.), Divorce and after. New York: Doubleday 

  13. Braver, S. L., Salem, P., Pearson, I., & DeLus , S. R. (1996). The content of divorce education programs : Results of a survey. Family and Conciliation Courts Review, 34(1), 41-59 

  14. Buehler, C., Betz, P., Ryne, C. M., Legg, B. H., & Trotter, B. B. (1992). Description and evaluation of the orientation for divorcing parents : Implications for postdivorce prevention programs. Family Relations, 41, 154-162 

  15. Derogatis, L., Rickels, K. & Rock, A. (1977). The SCL-90 and the MMPI : A step in the validation of a new self-report scal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128, 280-283 

  16. Geasler, M. J. & Blaisure, K. R. (1995). Court-connected programs for divorcing pamets in Michigan. Family and Conciliation Courts Review, 33, 484-494 

  17. Geasler, M. J. & Blaisure, K. R. (1998). A Review of divorce education program materials. Family Relations, 47, 167-175 

  18. Goode, W. J. (1956). After divorce. New York: Free Press 

  19. Holmes, T. S. & Rahe, R. H. (1967). The social readjustment scale. Psychosomatic Research, 11, 213-218 

  20. Kitson, G., & Raschke, H. (1981). Divorce research : What we do, What we need to know. Journal of Divorce, 4, 1-38 

  21. Kramer, L., & Washo, C. A. (1993). Evaluation of a court-mandated prevention program for divorcing parents : The Children First program. Family Relations, 42, 179-186 

  22. Kubler-Ross. (1969). Death and Dying, New York: Macmillan 

  23. Petersen, V., & Steinman, S. B. (1994). Helping children succeed after divorce : A courtmandated educational program for divorcing parents. Family and Conciliation Courts Review, 32(1), 27-39 

  24. Roeder-Esser, C. (1994). Families in transition-A divorce workshop-. Family and Conciliation Courts Review, 32(1), 40-49 

  25.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esteem. Princeton Univ. Press 

  26. Spanier, G. B. & Thompson, L. (1984). Parting: The aftermath of separation and divorce. Beverly Hills: Sage 

  27. Thabes, V. A Survey analysis of women's long-term, postdivorce adjustment.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27(3), (1997), 163-175 

  28. Weiss, R. S. (1975). Marital separation. New York: Basic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