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씨 추출물과 Resveratrol이 흰쥐 체내 지질 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onia Seed Extracts and Resveratro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7, 2003년, pp.1102 - 1107  

서상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향림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순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상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성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씨 추출물 및 작약씨에서 분리한 resveratrol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작약씨 메탄올 추출물을 0.1%(MP1)와 0.2%(MP2) 첨가시키거나 메탄올 추출물을 탈지시킨 후 에테르로 분획한 에테르가용성 추출물을 0.05%(EP1), 0.1%(EP2), 작약씨 resveratrol은 0.02%씩 각각 첨가시킨 식이를 조제하여 초기체중 120$\pm$11g의 Sprague-Dawley종 숫쥐에게 섭취시켜 3주간 사육하였고,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식이를 섭취시킨 control군과 비교 조사하였다. 사육 후 EP2군은 나머지 5군에 비하여 체중증가량과 식이효율이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나 나머지 5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간 무게(g/100g 체중)는 EP2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고 혈청 GOT와 GPT도 5개의 작약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EP2군과 resveratrol군이 control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고, 다른 군들은 차이가 없었으나 HDL-cholesterol은 5군의 작약군이 대부분이 높았으며 HDL-/총 콜레스테롤의 비율은 EP1군을 제외한 나머지 4군의 작약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혈청중성지방은 EP2군만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다. 간조직 콜레스테롤 함량은 5개의 작약군이 모두, 중성지방은 MP2군과 EP1, EP2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분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은 MP2, EP1 및 EP2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으나 담즙산 배설은 차이가 없었으며 EP2군에서는 오히려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작약씨에는 체내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상태를 저하시키는 물질이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HDL-콜레스테롤 대사를 활성화시켜 분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을 증가시키는 것이 주요기전으로 판단된다. 이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작약씨에 존재하는 monomer형태의 resveratrol이 일익을 담당하지만 추출물속에 함유된 resveratrol oligomer 및 비 resveratrol 화합물도 작용하였으리라고 사료되어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작약씨에 함유된 물질들의 지질대사 개선효과는 이미 보고된 항산화기능과 함께 동맥경화 예방에 유효할 것으로 기대되며 기능성 식품에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tudy the effects of substances in paeonia seeds (Paeonia lactiflora Pall.) on lipid metabolism, crude methanol extract and secondary ether-soluble fraction out of defatted methanol extract and trans-resveratrol were prepared from the seeds and added to 0.5% (w/w) cholesterol diets for rats. Ma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진이 작약씨에 들어 있는 성분들이 체내 지질을 변화시켜 동맥경화 발생을 억제시켜 줄 수 있는가를 보기 위하여 2단계의 작약추출물과 작약으로부터 분리한 res­ veratrol 을 고콜레스테롤식에 첨가하여 흰쥐에게 섭취 시켜 체내 지질상태를 조사하였다. 특히 작약씨에는 포도씨 에 존재하는 resveratrol monomer가 배당체를 포함하여 약 0, 13%가 함유된 반면 dimer, trimer 등 oligomer들이 거의 2%에 달한다는 차이점이 있어(7)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된 포도씨에서 분리된 것과 동일한 monomer인 순수 trans-resveratrol과 작용의 차이를 비교 조사하고자 하였다.
  • 증감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콜레스테롤의 체외 배설을 보기 위하여 분변내의 콜레스테롤과 대사산물인 담즙산의 배설량을 조사하였다. Table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작약 추출물들(MP, EP)의 정제도와 섭취량에 따라 분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지질상태를 조사하였다. 특히 작약씨에는 포도씨 에 존재하는 resveratrol monomer가 배당체를 포함하여 약 0, 13%가 함유된 반면 dimer, trimer 등 oligomer들이 거의 2%에 달한다는 차이점이 있어(7)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된 포도씨에서 분리된 것과 동일한 monomer인 순수 trans-resveratrol과 작용의 차이를 비교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ang BS. 1992. Bonchohak. Surim press, Seoul. p 581-583. 

  2. Shibata S, Nakahara M, Aimi N. 1963.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Japanese and Chinese paeony crude drugs. IX. Paeoniflorin, a glucoside of Chinese paeony root (2). Chem Pharm Bull 11: 379-381. 

  3. Kanada M, Iitakawa Y, Shibata S. 1972. Chemical studies on the oriental plant drugs. X. The absolute structures of paeoniflorin, albiflorin, oxypaeonilflorin and benzolylpaeonylflorin isolated from Chinese paeony root. Tetrahedron 28: 4309-4317. 

  4. Sung WY, Yoon GR, Jang SM. 2000. Comparison of effective constituents of Korean paeony roots (Paeoniae radix)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Kor Soc Postharvest Sci & Technol 7: 297-301. 

  5. Ro HS, Ko WK, Yang HO, Park KK, Cho YH, Lee YE, Park HS. 1999. Isolation of antihyperlipidemic substances from methanol extract of Paeoniae radix. J Kor Pharm Sci 29: 55-60. 

  6. Kim HJ, Chung SK, Choi SW. 1999. Lipoxygenase inhibitiors from Paeonia lactiflora seed. J Food Sci Nutr 4: 163-166. 

  7. Kim HJ, Chang EJ, Cho SH, Chung SK, Park HD, Choi SW.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resveratrol and its derivatives isolated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Biosci Biotechnol Biochem 66: 1990-1993. 

  8. Pattichis K, Louca LL, Jarman J, Sander M, Glover V. 1993. Inhibition of human LDL oxidation by resveratrol. Lancet 341: 1103-1104. 

  9. Bertelli AAE, Giovannini L, Giannessi D. 1995. Antiplatelet activity of synthetic and natural resveratrol in red wine. Int J Tissue React 17: 1-3. 

  10. Ferrero ME, Bertelli AAE, Fulgenzi A, Pellagatta F, Corsi MM, Bonfrate M, Ferrara F, De Caterina R, Giovannini L, Bertelli A. 1998. Activity in vitro of resveratrol on granulocyte and monocyte adhesion to endothelium. Am J Clin Nutr 68: 1208-1214. 

  11. Jang M, Cai L, Udeani GO. 1997.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resveratrol, a natural product derived from grapes. Science 275: 218-220. 

  12. Cheong HO, Ryu SY, Kim KM. 1999. Anti-allergic action of resveratrol and related hydroxy stilbenes. Planta Med 65: 266-268. 

  13. Gehm BD, McAndrews JM, Chien P-Y, Jameson JL. 1997. Resveratrol, a polyphenolic compound found in grapes and wine, is an agonist for the estrogen receptor. Proc Natl Acad Sci 94: 14138-14143. 

  14. Miura D, Miura Y, Yagasaki K. 2003. Hypolipidemic action of dietary resveratrol, a phytoalexin in grapes and red wine, in hepatoma-bearing rats. Life Sci 73: 1393-400. 

  15. Pal S, Ho N, Santos C, Dubois P, Mamo J, Croft K, Allister E. 2003. Red wine polyphenolics increase LDL receptor ex-pression and activity and suppress the secretion of ApoB100 from human HepG2 cells. J Nutr 133: 700-706. 

  16. Reeves PG, Nielsen FH, Fahey GC Jr.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 Nutr 123: 1939-1951. 

  17.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8. Sale FO, Marchesini S, Fishman PH, Berra B. 1984. A sensitive enzymatic assay for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in lipid extracts. Anal Biochem 142: 347-350. 

  19. Crowell MJ, Macdonald IA. 1980. Enzymatic determination of 3 $\alpha$ -, 7 $\alpha$ -, and 12-hydroxyl groups of fecal bile salts. Clin Chem 26: 1298-1300. 

  20. Bermyer HM. 1995.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verlag chemic. Academic Press, Weinheim. p 20-28. 

  21. Sotheeswaran S, Pasupathy V. 1993. Distribution of resvertrol oligomers in plants. Phytochem 32: 1083-1092. 

  22. Pryce RJ, Langcake P. 1977. $\alpha$ -Viniferin; an antifugal resveratrol trimer from gapevines. Phytochem 16: 1452-1454. 

  23. Kitanaka S, Ikezawa T, Yasukawa K, Yamanouchi S, Takido M, Sung HK, Kim IH. 1990. (+)- $\alpha$ -Viniferin, an anti-inflammatory compound from Caragana chamlagu root. Chem Pharm Bull 38: 432-435. 

  24. Lamon-Fava S. 2002. High-density lipoprotein: effects of alcohol, estrogen and phytoestrogens. Nutr Rev 60: 1-7. 

  25. Cho SH, Choi SW, Choi Y, Lee WJ. 2001. Effects of defatted safflower and perilla seed powders on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female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12-118 

  26. Cho SH, Jung SE, Lee HK, Ha TY. 1999.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prosomillet on cholesterol and fatty acid metabolism in rat. J Food Sci Nutr 3: 188-192. 

  27. Kozarsky KF, Donahee MH, Rigott A, Iqbal SN, Edelman ER, Krieger M. 1997. Overexpression of the HDL receptor SR-B1 alters plasma HDL and bile cholesterol levels. Nature 387: 414-418. 

  28. Bok SH, Lee S-H, Park YB, Bae KH, Son KH, Jeong TS, Choi MS. 1999. Plasma and hepatic cholesterol and hepatic acitivity of 3-hydroxy-3-methylglutaryl CoA reductase and acyl CoA-cholesterol transferase are lower in rat fed citrus peel extract or a mixture of citrus bioflavonoids. J Nutr 129: 1182-1185. 

  29. Lee JM, Choi SW, Cho SH, Rhee SJ. 2003. Effects of Paeonia lactiflora Pall. seeds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of liver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Korean J Nutr 36 (in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