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색 석류석 보석의 보석.광물학적 특징
Gemological and Minearlogical Properties of the Red Garnet Stones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16 no.1 = no.35, 2003년, pp.19 - 31  

김금조 (부산대학교 지질학과) ,  김진섭 (부산대학교 지질학과) ,  김원사 (충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최진범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석으로 사용되고 있는 파이로프-알만딘 계열의 보석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화학성분, 결정구조, 굴절율, 비중, 색, 광택 등의 광물학적 성질을 알아보았다. 또한 위 고용체의 광물학적 성질이 화학성분의 치환 정도에 따라 점이적인 변화 양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 연구하였고, 발색소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특별히 보석업계에서 관행적으로 분류 기준으로 삼아 온 굴절율과 비중 값이 광물학적으로 오류가 없는 것인지를 검증하는 것 등도 주요 연구목적에 포함되었다 적색석류석 시료 중 화학성분에 따른 분류기준에 의하면 17개가 파이로프이며, 6개가 알만딘임을 알 수있다. 파이로프의 굴절율은 1.77까지이며, 알만딘은 그 이상임을 알 수 있으며, 비중은 파이로프인 경우 3.88까지의 범위이며, 파이로프는 적어도 4.11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석업계에서 파이로프와 알만딘을 구분하여 온 굴절율 기준(R.I. 1.75)은 오류이며, 비중값 기준(S.G. 3.88)은 무난한 것으로 밝혀졌다. 단결정 X-선회절분석 결과에 따르면, 파이로프-알만딘 석류석이 모두 등축정계의 Ia3d 공간군에 속하며, 화학성분의 변화에 따른 단위포의 크기는 변화를 느낄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굴절율과 비중은 파이로프-알만딘 고용체에 있어 특히 FeO 함량에 따라 일정한 변화양상을 나타내는데, FeO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굴절율과 비중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화학분석 자료에 의하면, 적색 및 보라색은 $Fe^{+2}$, 황색은 $Mn^{+2}$ 함량에 따라 크게 좌우됨을 알 수 있다. 적색 석류석내에 들어있는 결정 내포물은 주로 저어콘과 금홍석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mical composition, crystal structure, refractive index, specific gravity, color, and luster were studied fur pyrope-almandine series garnets. The main coloring agents determining the reddish or brownish garnets were also investigated. It was also examined if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mine...

주제어

참고문헌 (21)

  1. 김원사(1993) 보석학, 우성문화사, 562p. 

  2. 近山品(1982) 賓右 貴金蜀 大 僻典, 株式會社 學習 ?究社.840p. 

  3. 金?協 ?究?(1994)Gcmmology.金?協 技術 ?究? I-ll,'.120-121. 

  4. Amthaucr, G., Kurtz, W., Rost, F. and Schloemer, H.(1974) Chemismus und Genese ded Andrafits aus dem Serpentinit des Val Malenco (Bernina-Gebiet, Oberitalien). Schweiz. Min. Petr. Mitt, 54, 691-706. 

  5. Barker, F. (1961) Anthophyllite-biotite-hypersthenerhodolite assemblage, Mason Mountain. North Carolina. Prof. Paper US. Geol, Surv., 424-C,336-338. 

  6. Brauns, R. (1907) Lichtschein bei Granat Zirkon und Saphir. Ncucs. Jahrb. Min., 1, p. 13. 

  7. Bridges, C. R. (1974) Green grossulariic garnets ('tsavorites') in East Africa. Gems and Gemology,14, 10, 291-296. 

  8. Clark, A.M. (1993) l Icy's Mineral Index.. 3rd cd. Chapman & Hall, London. 

  9. Crowningshicld, R. (1970) A rare alexandrite garnet from Tanzania. Gems and Gemology, 13, 174-177. 

  10. Deer, W.A., Howic, RA, and Zussman, J. (1992) An introduction to the rock forming minerals, 2nd Edition. 

  11. Deer. W.A., Howie. R.A., and Zussman, J. (1982) Rock-forming Minerals, Vol. l A, Ortho silicates, Longman group limited, 467-616. 

  12. Gem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1990) GEM Reference Guide, G.I.A. 

  13. Koibula, .J.I. and Gubelin, E..J. (1986) PHOTOATLAS of inclusion in Gemstone, 532p. 

  14. Meager, E.P. (1980) Silicate garnets, Reviews m Mineralogy, 5. OrthosilicatcrRibbc Ed.). Chap. 2.Mineral. Soc. Am., 25-66. 

  15. Menzer, G. (1926) Die Giucrkonstantcn dcr Granatc,Centr. Min., Abt, A. 343-345. 

  16. Novak. G.A. and Gibbs, G.V. (1971) The Crystal Chemistry of the silicate garnets. Am. Mineral., 56,791-825. 

  17. Stockton C.M. (1985) A proposed new classification for gem-quality garnets. Gems and Gemology, 21,4. 205-218. 

  18. Trumper. L.C, (1952) Rhodolite and the pyropealmandine series. Gemmologist 21, 26-30. 

  19. Webster, R. (1980) GEMS, Butterworth & Co. Ltd,939p. 

  20. Winchell, H. (1958) The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garnet Am. Mineral., 43, 595-600. 

  21. Zwaan, P.C. (1974) Garnet, corundum and other gem minerals from Umba, Tanzania. Scripta Geol., 20,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