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증강현실을 활용한 사용자참여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ticipatory design method with the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no.36 = no.36, 2003년, pp.136 - 142  

변재형 (동아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teractive Design Toolkit as a participatory design method for general customer with the applic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The Toolkit is based on a PC-based image perception system and user can make virtual models and navigate in the v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비전문가인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디자인 과정에 직접 참여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증강현실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도구(design toolkit)를 개발함으로써 그의 활용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통해 디자인 과정에 비전문가인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익숙하고 쉬운 조작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실무 현장에서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사용자 참여 디자인 방법으로서 증강현실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를 활용한 디자인 도구를 개발, 그의 활용도를 제시하는 것으로 범위를 한정한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과 도구는 현재 실무에 적용 가능한 기술수준과 내용으로 구성하며, 경제적으로도 현실성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인터랙티브 디자인 툴킷의 근본 사고는 사용자들에게 친숙한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랙션을 쉽게 하여 그들이 원하는 디자인 요구를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블록 만들기의 형식을 이용한 툴킷을 개발하고자 하며,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가상 환경에서 디자인 안에 대한 변경과 수정을 통해 일반 소비자들의 참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직관적인 인터랙션을 위한 방법으로서 증강현실에 의한 방법은 가상현실에서 느낄 수 있는 현실과의 괴리감을 해소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직접적인 조작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 디자인도구로서 인터랙티브 디자인 툴킷을 제안하였다. 인터랙티브 디자인 툴킷은 사용자로 하여금 물리적인 모형을 직접 조작하게 하고, 이의 결과를 컴퓨터의 데이터로 바꾸어 사용자에게 보다 구체적인 사실감을 부여하고 사용자의 의도대로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남택진, 협동적 디자인 기법을 활용한 사용자 중심 디자인: 참여적 디자인 워크숍에서 컨셉 도출 툴킷의 활용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통권 46, 2002 

  2. 박우장, 주거디자인의 사용자 참가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4호, 2000 

  3. 신승우 외, 건축 CAD모델링에 대한 HCI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0호, 2002 

  4. 윤재은 외, 가상현실 모델하우스 활용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3호, 2002 

  5. Fjeld, M. et aI, Design and Evaluation of Four AR Navigation Tools Using Scene and Viewpoint Handling. In Proceedings of INTERACT 2001, Eighth IFIP TC.13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Tokyo (JP), 2001 

  6. Ishii, Hiroshi, Tangible bits : Designing seamless interface between digital and physical, ICSID 2001 SEOUL Proceedings, 2001 

  7. Piper, Ben, et al., Illuminating Clay: A 3-D Tangible Interface for Landscape Analysis, CHI 2002 :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Minneapolis, April, 2002 

  8. Sanders, Elizabeth, A new design space, ICSID 2001 SEOUL Proceedings, 2001 

  9. Sato, Keiichi, Creating a new product paradigm between media space and physical space, ICSID 2001 SEOUL Proceedings, 2001 

  10. Simoff, Simeon, et al., Analysing participation in collaborative design environments, design studies 21, 2000 

  11. Wrona, S.K, Participatory in architectural design and urban planning, Wydawnictwa Politchniki Warszawskiej,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