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 무제치늪의 식생: 군락분류와 군락동태
Vegetation of Moojechi Moor in Ulsan: Syntaxonomy and Syndynamics 원문보기

한국생태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v.26 no.5 = no.115, 2003년, pp.281 - 287  

김종원 (계명대학교 생물학과) ,  김중훈 (계명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산 무제치습원에 대한 생태식물상(ecological flora)과 군락유형분석이 이루어졌다. 군락유형분석은 Zurich-Montpelliar의 연구방법으로 식생유형 분류와 분포적 특성, 그리고 종조성적 군락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식생자료간의 거리(유사성)와 속성에 대한 집괴분석법 및 PCoA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좌표결정법이 적용되었다. 주요 감시종 13종을 포함한 습지성 식물종 49종과 중간습원 식물군락을 포함한 6개의 식물군락이 분류되었다. 식생유형은 쇠털골-좀고추나물군락, 바늘골-끈끈이주걱군락, 진퍼리새-하늘산제비난군집(신칭), 오리나무-진퍼리새군락, 소나무-억새군락, 졸참나무-은방울꽃군락 등이 기재되었으며, 동북아 산지성이탄습지의 중간습원을 대표하는 식생으로 진퍼리새군강이 새롭게 제창되었다. PCoA는 무제치습원 속에 현존하는 식물군락간의 종조성적 상이성이 토양의 수분구배와 식물군락의 층구조(생체량)에 대응하는 네 개의 천이식생형(쇠풀골형, 진퍼리새형, 억새형, 삼림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건생의 타생천이계열과 습생의 자생천이계열이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중간습원으로서 무제치습원에 대한 식생의 종조성과 분포의 지속성은 토사 및 영양염류의 비정상적 유입을 방지하는 습원생태계의 수문체제와 토지조건의 적극적인 고려로부터 가능하다는 것을 밝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sent the first analysis of moor vegetation on the Moojechi of Ulsan including syntaxonomy and syndynamics. We classified plant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ecological alteration processes and changing species compositions along successio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고층습원을 제외한 산지 습원에 대하여 그리고 그러한 습원 식생의 군락분류학적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Gee 1993, 고 등 1995, 최 2001). 본 연구의 목적은 무제치습원의 웅늪(제 1번 늪)과 자늪(제 2 번 늪)에 대하여 식생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 대한 종조성적 유사성과 환경조건 그리고 군락구조를 비교분석하여 식생 동태를 파악함으로써 무제치습원의 보전을 위한 생태학적 핵심 전략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습원에 대한 식생유형의 분류는 습원을 보존하기 위한 생태계 관리에서의 생태 단위를 제공하게 되며, 결국 장기생태연구 또는 생태계 모니터링과 같이 정량 정성적으로 토지의 생태적 관리를 성취하는 데에 가장 핵심적 요소 또는 과정으로 기여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상준. 1970. 대암산 고층습원의 생태학적 연구. 식물군락과 토양과의 관계. 식물학회지 13: 20-24. 

  2. 강상준. 1987. 대암산 고충습원의 식물생태학적 연구. 휴전선일대의 자연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 p. 169-201. 

  3. 강상준. 1988. 대암산 고충습원의 식생변천 및 성인에 관한 화분분석학적 연구. 대암산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환경청. p. 101-146. 

  4. 고재기, 이은복, 전의식. 1995. 수원 칠보산 습원의 식생과 습원 및 주변부의 식물상. 자연보존. 89: 39-50. 

  5. 김수남, 이경서. 1997. 한국의 난. 교학사. p. 106. 

  6. 김종원. 1993. 우리나라의 자연환경현황분석. 한국환경기술개발원. p. 83. 

  7. 김종원. 1997. 정족산 무제치늪의 식생. 정족산 무제치늪 조사결과 보고서 (1차년도 보고서). 환경부 p. 40-73. 

  8. 김종원. 2002. 식생 및 식물상. 부산자연환경조사 및 관리시스템 개발(1차년도 보고서). 부산광역시편. p. 65-137. 

  9. 김종원. 2003(투고중). 무제치늪의 식생. 현존식생도와 오리나무 개체군의 분포. 

  10. 김종원, 이율경, 제갈재철, 최기룡. 1999. 제주도 칼데라 습지에 대한 국가보호지역 지정을 위한 군락생태학적 연구. 계명대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18: 89-100. 

  11. 김종원, 이은진. 1997. 다항목 매트릭스 식생평가 기법 - 식생의 자연성 평가에 대한 새로운 기법과 그 적용. 한국생태학회지 20: 303-313. 

  12. 김종원, 제갈재철, 이병열, 이율경, 문경희. 2001. 목도의 식생: 그 보전을 위한 식물군락의 공간분포와 모니터링. 한국생태학회지 24: 259-265. 

  13. 김주용, 양동윤, 이동영, 최한성. 1997. 울산 정족산 무제치늪의 성인과 자연환경 조사. 정족산 무제치늪 조사결과 보고서 (1차년도.). 환경부 p. 21-39. 

  14.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 V.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p. 346. 

  15. 이영노. 1969. 대암산의 습원식물. 식물분류학회지 1: 7-14. 

  16.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 624. 

  17. 조규송. 1987. 대암산 고충습원의 육수생태학적 고찰. 휴전선일대의 자연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 p. 203-233. 

  18. 최기룡. 1998. 정족산 무제치늪의 화분분석 연구. 정족산 무제치늪 조사결과 보고서 (2차년도.). 환경부 p. 54-61. 

  19. 최기룡. 2001. 무제치늪의 화분분석 연구. 제4기학회지 16: 13-20. 

  20. 최기룡, 고재기. 1989. 대암산 습원의 식생. 한국생태학회지 12: 237-244. 

  21. 한상훈. 1995. 습지생태계와 그 중요성. 자연보존. 91: 42-50. 

  22. 환경부. 1997. 정족산 무제치늪 조사 결과 보고서. 1차년도. 행정간행물등록번호 38000-67140-57-9703. p. 133. 

  23. 환경부. 1998. 정족산 무제치늪 조사 결과 보고서. 2차년도. 행정간행물등록번호 38000-67140-57-9807. p. 84. 

  24. Bond, W.K., K.W. Cox, T. Heberlein, E.W. Manning, D.R. Witty and D.A. Young. 1992. Wetland evaluation guide. - 1. North American wetlands conservation council. Canada. p. 121. 

  25.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 3. Aufl. 865 pp. Springer, Wien. 

  26. Kim, J.W. 1990. Syntaxonomic scheme for the deciduous oak forests in South Korea. Abstracta Bot. 14: 51-81. 

  27.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Dissertation of the University of Vienna. p. 314. 

  28. Kim, J.W. 1993. An ecological strategy to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of the Korean biological diversity. J. of Environ. Sci. (Kyungpook Natl. Univ. 7: 1-22. 

  29. Kim, J.W. and Y.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 Ecol. 17: 391-413. 

  30. Lee, W.B. 1993. The ecological investigation of Kodan-ri swamp at Myongju-gun, Kangwon-do: I. In the view point of flora. Bulletin of the KACN ser. 12: 5-18. 

  31. Podani, J. 2001. Syn-Tax 2000. Computer program for data analysis in ecological and systematics. Budapest. p. 53. 

  32. Spellerberg, I.F. 1992. Evaluation and Assessment for Conservation. Chapman & Hall. London. p. 260. 

  33. Wilmanns, O. 1978. Okologische Pflanzensoziologie. UTB. Quelle & Meyer Heidelberg. p. 351. 

  34. 北村四郞, 村田源, 小山鐵夫. 1981. 原色日本植物圖鑑. 草本編 III. 單子葉類. 保育社. 東京. p. 465. 

  35. 宮脇昭(편). 1977. 日本の植生. 學硏. 東京. p. 232-248. 

  36. 宮脇昭, 藤原一繪. 1970. 尾瀨ケ原の植生. p. 152. 國立公園協會, 東京. 

  37. 宮脇昭, 奧田重俊(편). 1990. 日本植物群落圖說. 至文堂. p. 8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